본문
|
1389년(창왕1)∼1431년(조선 세종13)--(제)
자는 경보(警甫). 제학공(휘 익달)의 아들이다. 1404년(태종4)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1408년(태종8) 수령부승(壽寧府承)으로서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좌사간(左司諫)에 오르고 통정(通政)에 이르렀다. 향년은 43세이며 묘는 경기도 장단군 소남면 도리촌 우봉계(長湍郡 小南面 桃李村 牛峰界) 이익재(李益齊)묘 아래(휴전선 북방)임. 속칭 수회촌(水回村)으로 현 개성시 소남면 약정동 (開城市 小南面 藥井洞) 자좌(子坐)이다. 1987년 4월 경남 산청군 생초면 월곡리(山靑郡 生草面 月谷里)에 설단했다. 시제일은 음력 3월 15일이다.
<사간공 묘소 사진> (1992. 7. 13. 항용(제) 촬영 제공)
<단묘>
<묘비>
<묘비문>
<묘소에서 바라본 마을 전경> (생초면 월곡리 일대)
<재실>(홍의재)
<동방 급제자명단> (2005. 11. 8. 항용(제) 제공) 기록 순서 :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태종8년 식년시때는 33명의 합격자를 냈다.
1.강리(康理) 미상(未詳) 同進士17 2.구강(具綱) 능주(綾州) 同進士19 3.권맹손(權孟孫) 효백(孝伯) 송당(松堂) 예천(醴泉) 同進士20 4.김고(金顧) 경보(警甫) 안동(安東) 同進士16 5.김원로(金元老) 미상(未詳) 丙科1 6.김유무(金由畝) 광주(光州) 同進士2 7.김익렴(金益廉) 안동(安東) 乙科3 8.김자(金赭) 언양(彦陽) 同進士10 9.김장(金廧) 미상(未詳) 乙科2 10.김재(金滓) 광주(光州) 同進士12 11.나유수(羅有綬) 미상(未詳) 同進士6 12.박융(朴融) 유명(惟明) 밀양(密陽) 丙科2 13.배소(裵素) 흥해(興海) 同進士15 14.설순(偰循) 경주(慶州) 丙科5 15.신인손(辛引孫) 조윤(祚胤) 석천(石泉) 영산(靈山) 同進士8 16.어변갑(魚變甲) 1381 신유 자선(子先) 함종(咸從) 乙科1 17.우승범(禹承範) 단양(丹陽) 同進士11 18.유계문(柳季聞) 숙행(叔行) 문화(文化) 同進士3 19.유상리(兪尙理) 창원(昌原) 同進士13 20.유효통(兪孝通) 행원(行源) 기계(杞溪) 丙科6 21.윤수(尹粹) 파평(坡平) 丙科3 22.이각(李㴶) 미상(未詳) 同進士14 23.이미(李敉) 미상(未詳) 同進士18 24.이숙복(李叔福) 한산(韓山) 同進士4 25.이심(李審) 여흥(驪興) 同進士21 26.이정문(李正文) 미상(未詳) 同進士9 27.이훈(李薰) 미상(未詳) 丙科4 28.정개보(鄭介保) 동래(東萊) 同進士7 29.정려(鄭旅) 해주(海州) 同進士5 30.정린(鄭鄰) 미상(未詳) 同進士22 31.정승서(鄭承緖) 초계(草溪) 丙科7 32.정신(鄭信) 미상(未詳) 同進士23 33.최맹량(崔孟良) 전주(全州) 同進士1
<09년 시제 장면 사진> (09.4. 12. 한식(제. 파종회 부회장) 제공) 시제일 : 2009년 4월 10일(음 3월 15일) 진설. 2008년 10월 새로 제작한 영정을 이날 재실에 모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