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호는 양한재(養閒齋), 익원공(휘 사형) 후손으로 좌의정 수동(壽童)의 동생. 1482년(성종13)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원각사(圓覺寺)에 가서 중들에게 행패를 부리다가 장형(杖刑)에 처해 졌고, 1495년(연산군1) 숭불정책(崇佛政策)에 반대하여 장배(杖配)되었다. 후에 풀려나 1498년 사평(司評)이 되었다가 공조좌랑으로 옮겼으며,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영양군(永陽君)에 봉해지고 병조참지(兵曹參知)가 되었다. 그 해 박원종(朴元宗) 등에 의해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형인 수동의 뒤를 따라 반정군에 가담하여 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 3등에 녹훈되고 영안군(永安君)에 책봉되었으나, 연산군 말년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단상(短喪)으로 끝내고 이조판서 임사홍(任士洪)에게 구걸하여 벼슬을 얻은 데다 상중에도 근신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홍문관부제학 이윤(李胤)의 탄핵을 받고 벼슬에서 물러났다.
마전군수(麻田郡守)를 거쳐 1519년(중종14) 영흥부사(永興府使)가 되고, 이 해 무공자(無功者)라는 조광조(趙光祖)의 탄핵으로 공신록에서 삭제되었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 일파가 축출되자 복직되었다. 그 뒤 장단(長湍)·연안(延安)의 부사를 거쳐 1523년 이천부사(利川府使)가 되었다.
<각종 역사 자료 소개> 1. <연려실기술>내 기록 내용 종합 (2003. 11. 11. 윤만(문) 제공)
1) ▣ 연려실기술 제6권 연산조 고사본말(燕山朝故事本末) 병인년에 정국(靖國)하여 중종(中宗)을 추대하다 ▣
○ 폐인(嬖人 임금에게 총애 받는 내시 등) 전동(田同)ㆍ김효손(金孝孫)ㆍ강응(姜凝)ㆍ심금손(沈今孫) 등을 군영(軍營) 앞에서 베어 죽였다. 감옥의 문을 열어 죄수들을 내놓아 모두 군에 참가하게 하였다. 날이 밝을 무렵에 대궐 밖으로 진군하였다.
○ 해가 뜰 무렵에 벼슬아치들이 모두 모였으나 무슨 이유인지 모르는 자도 있었다. 입직한 도총관 민효증(閔孝曾)과 참지 유경(柳涇)은 먼저 나가고 승지 이우(李堣)는 그 다음에 나갔다. 처음에 대궐 안에서는 변고가 났다는 말을 들었으나 그 까닭을 헤아리지 못하였다. 임금은 차비문(差備門) 안에 앉아 승지를 불러 들어와 앉게 하고서, “이 같이 태평한 때에 어찌 다른 변고가 있으랴. 아마 흥청(興淸)의 본부(本夫)들이 서로 모여서 도적질하는 것이니 빨리 정승과 금부 당상을 불러 처치하도록 하라.” 하였다. 이에 이우를 명령하여 열쇠를 가지고 대궐문을 돌아 다니면서 살피게 하였다. 이우는 먼저 사람을 보내어 사태를 알아 보게 하고 조정이 벌써 소속된 데가 있는 것을 자세히 알고는 그만 몸을 피해 밖으로 나가 버렸다. 폐주는 이우가 벌써 나갔다는 말을 듣고 갑자기 앞으로 나아가서 윤장(尹璋)과 조계형(曹繼衡)의 옷소매를 잡았다. 두 사람은 거짓으로 공손히 하는 척하면서 소매를 뿌리치고 문구멍으로 빠져 나가려고 하였으나 조계형은 이때 임금의 총애를 받던 신하이므로, 문을 지키던 장사들이 상을 받으려고 붙들어 군영 앞에 나아갔다. 성희안(成希顔) 등은 그들을 모두 용서해 주었다. 입직한 군사들은 혹은 수구(水口)로 빠져 나오기도 하고 혹은 성에서 줄에 매달려 넘어오기도 하며 다투어 군영 앞으로 달려갔다. 환관과 여러 색인(色人 궁중의 잡무를 맡는 사람들) 등은 모두 나가고 다만 후궁과 기생의 무리만이 서로 모여 목놓아 우니 소리가 밖에까지 진동하였다. 이에 군문(軍門) 안에서 회의를 열어 유자광(柳子光)ㆍ이계남(李季男)ㆍ김수경(金壽卿)ㆍ유경(柳涇)으로 하여금 머물러서 대궐 문을 지켜 도주할지 모르는 폐주를 지키게 하고, 성희안 등은 백관을 거느리고 경복궁 문 앞에 나아가서 자순대비(慈順大妃 성종의 계비이며 중종의 어머니)에게 처분을 청하니 조금 후에 문을 열고 그들을 들어오게 하였다.
○ 대비에게 아뢰기를, “지금 임금이 임금의 도리를 잃고 정사가 어지러워 백성이 도탄에 빠지고 종사가 매우 위태하므로 모든 관원과 백성들은 진성대군을 추대하여 임금을 삼기 위하여 감히 대비의 명을 받으려고 합니다.” 하니, 대비는 “우리 아이가 어찌 중한 책임을 감당하겠오. 지금 세자가 나이 장성하였으니 왕위를 이을 만하오.” 하고 사피하였다. 이에 유순(柳洵) 등이 여러 번 아뢰어서 명을 받았다.《국조보감》
☞ 수경(壽卿)의 호는 양간재(養間齋), 영의정 수동의 동생. 중종반정시 정국공신 3등으로 영양군(永陽君)에 봉해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