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4. 주요 행사 자료 소개
11) 충무공 김시민 장군 <공신교서> 환수 고유제 봉행기 (2006. 7. 글-상석(제), 사진-윤만(문)) *때---2006년 7월 25일(화) 오후 2시 *곳---국립중앙박물관 앞뜰 특설제단 *주최--MBC 문화방송 <!느낌표>제작팀 (고유제는 안동김씨 문중회 주관) *행사 총 기획 및 운영--안동김씨 문중회-김항용(제) *후원-충무공 김시민 기념 사업회, 안동김씨대종회 *참석하신 분들은 400여 명으로 다음과 같습니다.(무순,존칭생략)
문중회-홍식 대종회장,태인 전대종회장,영묵 제학공파 회장외 각파 파종회장 다수,문영공 학응회장외 종회임원,관묵 사무총장,인천종친회 춘교회장,대구 청장년회 재만회장,제학공파 능촌종중,병천종중,제학공파 비안공문중 두응회장,상천외 다수,문단공 기념사업회 영식 총무,상용외 회원 다수,문온공 광도 종손외.
김시민 기념사업회-허용기 회장외 다수(약 50명) 진주지역 시민과 서울시민외 다수(약 150명) 천안지역 양승조 국회의원외 다수 문화방송-<!느낌표>제작팀외 방송관계자 다수 정부부처-유홍준 문화재청장,이건무 국립중앙박물관장외 다수 문화연대-황평오 소장외 안사연-영환,영윤,재이(강진거주),상석,윤만가족,은회,태우,태영,항용,용주.
오후 1시,지하철 4호선 이촌역에 내려서 2번 출구를 찾아 나오니 행사장을 알리는 화살표가 길안내를 해줍니다(아침에 항용님이 준비. 당일 09:00시 부착)
일제의 잔재를 정리한다고 자리를 옮겨 새로이 건립한 국립중앙박물관이 우뚝 서있습니다. 정문을 지나자 안동김씨 문중회와 김시민 기념 사업회의 프랜카드가 나란히 게시(재이,은회,태우님이 작업)되어 참예자들을 반겨주고 있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 기념식장 입구
▲ 고유제 제단
▲ 공신교서 실사 복사본(기념사업회 준비)
우측 행사장 입구에 마련한 접수창구엔 미리 도착하신 성회님(안)과 만길님(익)이 자리하고 계십니다.인사를 나누고 행사장으로 들어갑니다.시종 흐린날씨로 불안한 가운데 주최측에서 준비한 시설의 제단 위에 괴산의 <충민사>에서 모셔온 충무공의 영정 아래에 제학공파 능촌종중에서 진설을 하고 계십니다.
▲ 도기(到記)를 보시는 만길님. 성회님과 태인 전대종회장님.
▲ 행사진행에 대해 숙의 중 - 서경석. 항용님. 영환님.
▲ 무슨 가르침이 있었는지 궁금.
▲ mbc 느낌표의 성치경 PD와 진행(축관)을 맡은 서경석님
▲ 참사자(천응, 홍식 대종회장님. 영환 전감사님. 태인 전대종회장님)
▲ 집례자 항용님, 좌집사 천식님.
▲ 우집사(태옥-충무공 12대손,제학공파 총무) 초헌관(성치경-mbc 느낌표 PD) 아헌관(김효식-충무공 14대 종손) 종헌관(허용기-김시민 기념사업회장)
오후 두시 정각에 충무공의 <공신교서>를 싣고 온 차가 알루미늄 박스를 내려 <공신교서>가 들어있는 오동나무 목곽을 꺼내어 제단위에 모시고 행사가 시작됩니다.
행사장에 도착된 <공신교서>의 안전장치를 해체하고 있는 모습
MBC <!느낌표> 프로그램의 "위대한 유산 74434" 코너의 진행자 서경석의 내빈소개에 이어 공동 진행자인 정형돈이 환수과정에 대한 경과를 보고합니다.
▲ 내빈소개(서경석)
▲ 경과보고(정형돈)
MBC측과 문화재청장,국립중앙박물관장의 인사말씀이 이어집니다. 이건무 관장은 축사에서 국가위기 시 보여주신 충무공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고 후세들은 그 정신을 학습해야 마땅하다는 말과 함께 <공신교서>는 이달 27일~29일 서울에서 특별전시 후에 진주박물관으로 옮겨진다는 절차경로를 설명해 줍니다.
▲ 인사말(유홍준 문화재청장)
▲ 인사말(이건무 국립 박물관장)
이어 문화연대의 황평오 소장은 환수를 위해 국민에게 부담을 지우는 정부의 안일한 태도를 탓하며 인사를 마쳤습니다.
허용기 기념사업회장의 인사에 이어 홍식 대종회장은 MBC측에 그동안 5회에 걸쳐 방영된 <공신교서>의 환수과정과 함께 범국민적 성금모금운동 진행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였고 <김시민 기념사업회>의 그간의 노력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였습니다.
▲ 허용기(김시민장군 기념사업회장)
▲ 인사말(김홍식 대종회장님)
각계 대표들의 인사말씀이 끝나고 사회자인 서경석이 <공신교서>의 번역문(본 홈 참조)을 낭랑하고 또랑또랑한 목소리로 낭독하여 참석자들 대부분이 그 자리에서 외우게 되었습니다.
▲ 공신교서를 낭독하는 서경석님. 고유제를 올립니다.
집례-김항용<충무공 기념사업회 자문위원,양덕공(휘時說)의 14대손,안동김씨 홈 관리자> 축관-서경석<위대한 유산 74434>진행자
초헌관-성치경<위대한 유산 74434>연출자
아헌관-김효식<충무공(휘 時敏)의 14대 종손>
종헌관-허용기<충무공 기념사업회 회장,충익공(휘 時讓)의 12대손의 사위>
좌집사-김천식<충무공 14대손,괴산 능촌거주> 우집사-김태옥<충무공 13대손,제학공파 총무, 능촌거주> 참사자-MBC측(공동 진행자 정형돈외), 학계(황평오 소장외) 문중(홍식 대종회장, 태인 전대종회장, 영환 전대종회 감사, 영묵 제학공파회장, 학응, 천응, 용두) 고유제를 올리고 <공신교서>를 MBC측에서 국립박물관장에게 기증하는 의식을 갖습니다. 헌관을 비롯하여 참가자들의 기념사진 촬영이 끝나고 음복을 합니다.
이로써 충무공 김시민 장군 <공신교서>의 환수와 진주박물관에서의 상설전시를 위한 고유제 봉행의 정식행사가 모두 끝이납니다.문화방송의 <!느낌표>에서 2006년 7월 매주 토요일 5주 연속 방영하는 <충무공 김시민 장군 공신교서 환수를 위한 범국민적 성금 모금운동>의 행사 중 마지막회(29일 방송분)인 <고유제>가 끝이납니다.
<위대한 유산 74434>를 통해 보여준 전국민의 염원 속에 <충무공 김시민 장군 공신교서 환수>가 모든 절차를 끝내고 대장정의 막을 내렸습니다.
글을 마치면서 성금을 보내주신 국민여러분과 격려를 아끼지 않은 많은 분들,MBC 관계자 여러분,끝까지 성원해 주신 <충무공 김시민 장군 기념사업회>와 안동김씨 대종회와 종회,특히 대구지역 청장년회의 재만 회장님 그리고 멀리 강진에서 오신 재이님,진주시민,천안시민,끝으로 농번기에도 불구하시고 찾아주신 능촌의 일가 분들께 머리숙여 감사의 말씀 전해 올립니다.
熾? 청장년회의 재만 회장님 그리고 멀리 강진에서 오신 재이님,진주시민,천안시민,끝으로 농번기에도 불구하시고 찾아주신 능촌의 일가 분들께 머리숙여 감사의 말씀 전해 올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