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사연 소개

본문

p02.png 43) 제15회 산행(남산 및 낙산)

           (2005. 1. 23. 주회(안), 발용(군) 제공)

 

■ 산행개요

○ 일시 : 2005. 1. 23(일) 09:00-21:00

○ 장소 : 서울 남산, 낙산 일대

○ 코스 :

-남산(백범광장, 정상 봉수대 국사당터)

-명동(명례방길, 수하동, 대은암터 추정지)

-낙산(정상, 비우당)

○ 참여 : 김상석, 김윤만, 김우회, 김발용, 김주회, 김태우, 김항용

○ 결과총평 : 대은암터 추정지 발견 및 새해계획 토론 결정

 

■ 산행후기

겨울철 어느 휴일날의 서울 아침은 인적도 드물다 적막한 휴일날 아침을 깨우며 모여드는 역군들.

사모님을 대동하신 우회 님은 정성이 가득하고 모여든 얼굴얼굴에는 모처럼의 홀가분함이 가득하다.

그동안 쌓였던 일상의 찌꺼기와 스트레스는 저멀리 던져 버리고 호기심과 흥분을 짊어지고 한발한발 옮기는 걸음들은 조용하고도 가볍다.

백범광장을 지나고 남산식물원을 거쳐 오르는 계단에는 겨울 아침의 시원함이 가득하고 내려보는 서울도 시리도록 푸르다.

 

ankim04-22z995.jpg

 

남산 정상의 봉수대와 국사당터는 옛 생각나게 하고 눈대중으로 가늠해 내려보는 명례방 수하동은 손에 잡힐 듯 말 듯.

 

 ankim04-22z996.jpg

 

 ankim04-22z997.jpg

 

 ankim04-22z998.jpg

 

 ankim04-22z999.jpg

 

 ankim04-22z1000.jpg

 

명동성당 지나 명례방길을 따라 걸어 내려간 외환은행 본점 광장에는 나석주 의사 동상 우뚝하고, 장악원터 표지석이 반갑고도 고맙다.

 

 ankim04-22z1001.jpg

 

 ankim04-22z1002.jpg

 

 ankim04-22z1003.jpg

 

길건너가 수하동이다. 前對南山 正直國祀中麓 이라 했던가. 되돌아 보니 그대로다.

눈빛들이 긴장하기 시작하고 발걸음들이 분주해지기 시작한다.

 

 ankim04-22z1004.jpg

 

東州先生文集卷之二  

 

大隱庵序

大隱庵在明禮坊水下洞。枕橋臨溪。前對南山。正直國祀中麓。始國家定鼎漢陽。有金公孟獻。上洛公方慶五(*六의 오기)代?若齋九容之子(*孫子의 오기)。以直提學在徙中。撤松都屋材。結構于?。傳僉正自讓,郡守禮生,節度使胤宗,進士震紀。至吾外王父都事公大涉。家再傳爲吾(=이민구)有。內屋經先君(=이수광)中繕。名之曰大隱庵。客堂則吾所創置。今歸外孫申弼華 -----

 

대은암은 명례방 수하동에 있는데, 침교(枕橋)가 계곡에 닿아 있고, 앞으로는 남산(南山)을 마주보고 있는데, 곧바로 국사당(國祀) 중록(中麓)으로 이어진다. 나라를 한양에 도읍으로 하여 정립할 즈음, 김방경의 6대손이며 김구용의 손자인 김맹헌이 직제학으로 있을때 개성(松都)에 있는 가옥의 자재를 뜯어다가 지었다.。첨정 김자양, 군수 김예생, 절도사 김윤종, 진사 김진기에 전해 내려와 이민구의 외할아버지 도사 김대섭(1549-1594)에 이르렀다. 집은 다시 전해져 이민구에게 있는데, 내옥(內屋經)은 선군 이수광(1563-1628) 시절에 수선하여 이름 짓기를 대은암 이라 하였다. 객당(客堂)은 이민구(1589-1670)가 처음 지어 세운 것인데, 지금은 이민구의 외손 신필화(申弼華, ?-?)에게 돌아갔다.  ---이하 생략---

 

수하동 지역에 들어선다.

SK본사 마당과 쁘렝땅백화점 뒷 마당이 제법 널찍하다.

 

그 아래로 중구문화원을 지나니 복구공사 한창인 청계천이다. 청계천에 올라서 되돌아 본다.

지나온 길 아래로 물소리가 요란하다. 복개된 하천이다. 枕橋臨溪라 했으니, 枕橋는 이곳 청계나 저 아래 복개된 하천에 걸쳐 있었을 것이다.

대은암 터를 거의 확인하고 점심을 해결하러 다시 수하동 지역으로 들어선다. 이곳은 발용 님께서 젊을때 사모님하고 자주 다니던 곳이란다.

 

단골집이었던 곰탕집으로 들어서는 순간..... 청계천에서 곰탕집 가는 일방통행로 초입에 중구문화원 맞은편에 ‘평산申씨대종중’ 간판이 붙어 있다.

 

ankim04-22z1005.jpg

 

今歸外孫申弼華. 신필화가 평산신씨라면 (평산신씨대종회 확인 필요) 이곳이 대은암(大隱庵)을 물려받아 전해 내려온 곳이리라.

 

大隱庵序 기록과 주변정황이 정확히 맞아 들어감에 절로 신바람이 더해간다. 발걸음들이 더욱 빨라지고 사진찍어대기 바쁘다.

찾아든 곰탕집 하동관(중구 수하동 26번지)은 사람들로 바글바글. 이곳에서 60년 넘게 자리를 잡아 왔단다.

60대 중반의 강씨 성을 가진 주인은 1950년대 중반부터 살아 왔다는데 이곳 수하동 상황을 비교적 많이 알고 있었다.

남산에서 내려오는 하천이 현재는 복개된 일방통행로 아래로 흐르는데 평산신씨회관을 지나 청계천에 닿아 있었고,

 

 ankim04-22z1006.jpg

 

 ankim04-22z1007.jpg

 

그리고 수하동 끄트머리 지점 청계천에는 광통교가 있었는데 현재는 바로 앞 조흥은행 본점에 축소본이 전시되어 있다고.

평산신씨회관 자리는 전에는 수하삼각동 동사무소가 들어섰던 자리이며, 중구문화원과 쁘렝땅백화점 자리는 현재는 장교동 지역으로

전부터 대감댁이라고 불리는 큰 저택이 있던 자리라고 한다.

이곳 수하동(水下洞)은 옛날의 한 마을 이름이었다. 구역도 아주 작은 곳으로 마을 전체가 재개발중에 있다.

주상복합단지인가를 짓는다고 하는데 재개발이 완료되면 그나마의 흔적도 찾아볼 수 없으리라.

 

기록과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서 대은암 터를 추정하여 보았다.

 

ankim04-22z1008.jpg

 

평산신씨회관, SK본사, 중구문화원에서 청계천에 이르는 지역을 대은암(大隱庵) 터로 잠정 결론을 내리고 기념사진 팍팍!!

 

 ankim04-22z1009.jpg

 

다음 일정을 위해서 청계천을 가로질러 인사동 앞 종로까지 걸어가서 버스를 타고 동대문으로 이동.

이화여대 부속병원 인근에서 내려 낙산 오르는 창신성곽길을 오른다.

 

ankim04-22z1010.jpg

 

낙산 정상에 올랐다. 사실은 언덕 정도인데(해발 129m)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뜨 언덕을 연상시키는 곳으로

 

 ankim04-22z1011.jpg

 

많은 드라마 촬영이 이루어진 곳이라고 하고 낮은 언덕이지만 사방 서울시내 전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ankim04-22z1012.jpg

 

포토 아일랜드(사진촬영장소)에 서서 대학로 넘어 성균관 위아래를 살펴본다. 김뉴 선조님의 쌍계재 터를 지형지세를 따져가며 눈으로만 더듬어 보다가,

 

 ankim04-22z1013.jpg

▲ 낙산에서 쌍계재를 바라보다

 

김대섭 선조님의 사위 이수광이 <지봉유설>을 집필하였다는 비우당을 찾아가기로 했다.

낙산에서 삼선동 쪽으로 내려 가다가 동대문쪽 기슭 중턱에 있다는 비우당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다.

내리락 오르락을 두 번씩이나 거듭하고 옆길로도 내려갔다 올라와도 보이지 않는다.

다시 시작하기로 하고 처음에 지나가다 본 초가집으로 무작정 내려갔다.

 

 ankim04-22z1014.jpg

 

 ankim04-22z1015.jpg

 

 ankim04-22z1016.jpg

 

 ankim04-22z1017.jpg

 

거기가 바로 비우당이었다. 옆에는 보문사인가 하는 절이 있고. 너무 거창하게 생각한 것이 실수였다. 어쨋든.....

 

태조 때부터 세종까지 4대 임금을 섬긴 정승 유관(柳寬, 1484-1545)이 살았던 집이 있었는데, 이 집은 그 후 유관의 외손으로 물려져 4대손인 판서 이희검(1516-1579)이 살았고, 임진왜란 후 이 집을 찾아든 것이 이희검의 아들이요 대학자인 이수광(1563-1628)으로, 비를 근근이 가린다는 뜻인 비우당(庇雨堂)으로 당호를 짓고 청빈철학을 계승하며 지봉유설을 집필한 곳으로 서울시가 최근 복원했다.

 

비우당을 둘러보고 나서 자리를 깔고 모여 앉았다 뒤켠 우물은 단종비의 한이 서려있는 우물이라고 하고.

 

 ankim04-22z1018.jpg

 

 ankim04-22z1019.jpg

 

배는 고프고, 다리도 후들거리고 막걸리와 안주, 그리고 김밥과 떡을 먹어 치운다.

겸하여 새해 정기산행계획과 활동계획을 논의하다가 공익요원에게 들켜서(?) 자리를 내주고 동대문으로 이동.

지친 다리를 이끌고 청계천 황학동 골동품가 고서점가를 헤매다가 동대문운동장 속으로, 해장국집으로, 호프집으로....

호프집에서는 윤만 님께서 한방 쏘았다.

 

직선조 18대조(김맹헌)부터 15대조(김윤종)까지 거주해 오신 집터이고 음성입향조이신 14대조(김진강)께서도 어린시절 거주하신 곳으로 보이는 대은암 터를 찾아낸 가슴벅찬 희열과 뿌듯함, 그리고 무엇보다도 무거운 짐 두 가지를 벗은 홀가분함(?).....

오늘도 어김없이 어느새 밤 9시가 넘어가 있다.

 

새해 정기산행 등반대장은 상석 님께서 흔쾌히(?) 수락. 지난해 수고하신 윤만 님께는 큰 감사의 박수를 (새해에는 매우 바쁘시다고)

여름캠프 기획총괄도 역시 상석 님께서 맡아 주셨다. 시기는 8월 첫째주, 장소는 연기군지역 잠깐(?) 들렸다가

청양 거쳐 대천 해수욕장 인근 조용한 곳에서 오로지 가족을 위하여...

 

지난해 편람집 취합은 항용 님께서, CD제작은 발용 님께서 수고하기로 하고.

지난해 편람집 게시물은 각자 전년 방식대로 편집해서 (3주일 정도) 설날 연휴(2월 둘째주)가 끝남과 동시에 항용 님 앞으로 제출.

청계천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기념벽화 등재 추진 등등등

이상 후기를 마칩니다.

산행이라기 보다는 산책하듯 하였는데, 그러나 다리품은 많이 팔았습니다. 지금도 뻐근...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