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문화유적 총람(2001. 8. 29. 김주회(안)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4:51 조회2,049회 댓글0건본문
참고자료01 (문화유적총람)
가문의 역사를 찾아보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문화재연구소에서 CD롬으로 제작한 문화유적총람에 나와 있는 우리 가문의 관련자료 목록을 게재합니다.
★ 표시는 직접적으로 확실한 경우, ☆ 표시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경우, ?표시는 관련이 있을 것 같으나 확인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 문화유적총람1 (서울,부산,대구,인천,대구,광주,대전,경기,제주)
⊙ 경기도
★ § 의왕 김장 영단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 81
(고려)김장 : 김방경 증손, 김수 부
★ § 의왕 김수 영단(金綬靈檀)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 81
(서운) 김수
★ § 의왕 김자행 영단(金自行靈檀)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 81
(서운) 김자행 : 김수 손자, 김질 아들
★ § 의왕 김희수 묘(金希壽墓)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 81
(서운) 김희수 : 아들 김노
★ § 의왕 김노 묘(金魯墓)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산 81
(서운) 김노 : 김희수 아들
☆ § 양주 한세환 신도비(韓世桓神道碑)
주소지: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삼상리
(서운) 김노(金魯)가 썼으며
? § 의왕 김유 묘 및 신도비
주소지: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
★ § 구리 명빈 묘(明嬪墓)
주소지: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14
(안정) 명빈 : 김구덕의 딸
★ § 광주 허난설헌 묘(許蘭雪軒墓)
주소지: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지월리 산 29-5
(서운) 허난설헌 : 김성립의 배위
☆ § 여주 김석 묘갈(金奭墓碣)
주소지: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서운) 김수 撰
? § 여주 김영구 가옥(金榮龜家屋)
주소지: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190
★ § 연천 숭의전지(崇義殿址)
주소지: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성미2리 7
(고려조) 김방경 배향
★ § 연천 신라 경순왕릉(新羅敬順王陵)
주소지: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백홍면 고량포리
(신라) 경순왕
★ § 포천 금수정지(抱川錦繡亭址)
주소지: 경기도 포천군 창수면 오가리 555
관리자: 김광도
(문온) 김확
★ § 포천 김질 묘
주소지: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엄현리
(익원) 김질 : 김사형 증손
? § 포천 안동 김씨 열녀 정문(安東金氏烈女旌門)
주소지: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교현리
홍의도(洪義道)의 처 안동 김씨(김업의 누이)의 열녀 정문.
⊙ 제주도
★ § 북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지(缸坡頭里抗蒙遺蹟址)
주소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 1024
(고려조) 김방경
★ § 북제주 항파두리성(缸坡頭里城)
주소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 상귀리
(고려조) 김방경
⊙ 대전광역시
☆ § 대전 송여해 묘비(宋汝諧墓碑)
주소지: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서운) 김희수 씀
⊙ 서울특별시
★ § 서울 김구 묘(金九墓)
주소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孝昌公園 內
(익원) 김구
▣ 문화유적총람2집상 (충북,충남)
⊙ 충청북도
★【유적명칭】 안동 김씨묘 출토의복(安東金氏墓 出土衣服)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충북대학교
(서운) 김첨, 김대경
★【유적명칭】 청원 송천 서원(淸原 松泉書院)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안렴) 김사렴
★【유적명칭】 진천 사충문(鎭川 四忠門)
【소 재 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서석리 775
(안렴) 김천주, 김천장, 성추, 성옥
★【유적명칭】 김시민 장군 충민사(金時敏 將軍 忠愍祠)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57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종중)
(제학) 김시민, 김제갑
★【유적명칭】 취묵당(醉默堂)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제학) 김득신
★【유적명칭】 김시양 신도비(金時讓 神道碑)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제학) 김시양
★【유적명칭】 충렬사(忠烈祠)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제학) 김제갑, 김시민
★【유적명칭】 연천사(連川祠)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제학) 김가행
★【유적명칭】 경모재·안동 김씨사(敬慕齋·安東金氏祠)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출장소 남하리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 ? ) 김성무(金聲武), 김굉(金宏), 김의석(金義錫), 김여구(金汝龜), 김의로(金義路)
? 【유적명칭】 한사정(閑士亭)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출장소 죽리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 ? ) 검죽 김호석(儉竹 金好奭)
★【유적명칭】 김만협 효자각(金萬協 孝子閣)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신기리
(안렴) 김만협(金萬協)
★【유적명칭】 김철응 부부 효열각(金哲應 夫婦 孝烈閣)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중흥리
(제학) 김철응 부부
★【유적명칭】 김상혁 부부 효열각(金相爀 夫婦 孝烈閣)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중흥리
【관 리 자】 기타(안동 김씨 문중)
(제학) 김상혁(金相爀)
★【유적명칭】 사감정(四感亭)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소수면 수리 522
(제학) 김상일
★【유적명칭】 경준정(鏡准亭)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지경리
【관 리 자】 개인(김상묵)
( ? )김의신(金義臣)
★【유적명칭】 괴산 김기응 가옥(槐山 金璣應 家屋)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율원리 907-10
【관 리 자】 개인(김기응)
(제학) 김기응
★【유적명칭】 화암 서원(花巖書院)
【소 재 지】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
(제학) 김제갑
⊙ 충청남도
? 유적명칭】 김인석지문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봉항리 1구
주초석 위에 원주를 세웠다. 그의 손자 경손도 또한 효행이 있었다.
★【유적명칭】 노은정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도원 2리
(안렴) 김상기
★【유적명칭】 연기 미곡리 김휴 유허비
【소 재 지】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미곡리 학당리 마을
(전서) 김휴
★【유적명칭】 연기 양곡리 김익정·김사준 정려
【소 재 지】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양곡리 양지촌
(전서)김익정, 김사준
? 【유적명칭】 연기 내판리 김백열 효자문
【소 재 지】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내판리 2구
( ? ) 김백열
▣ 문화유적총람2집하 (전북 전남)
⊙ 전라북도
★【유적명칭】 정읍 무성리 송정(松亭)
【소 재 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 4번지
(군사) 김감
★【유적명칭】 정읍 무성리 송산사(松山祠)
【소 재 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265번지
【관 리 자】 개인(김종선)
(군사) 김감
조선 정조 12년(1788)에 창설하여 월봉 김대입(月峰金大立), 췌세 김정(贅世 金鼎), 부휴재 김감(浮休齋 金堪)
★【유적명칭】 고창 김정회 고가(高敞 金正會 古家)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151
【관 리 자】 개인(김병말)
(익원) 김정회
★【유적명칭】 도암사(道岩祠)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관 리 자】 개인(김동회)
(익원)김세
⊙ 전라남도
★【유적명칭】 월남사지 석비(月南寺址石碑)
【소 재 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고려조) 김효인 서
★【유적명칭】 남도 석성(南桃石城)
【소 재 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고려조) 김방경
★【유적명칭】 용장 산성(龍藏山城)
【소 재 지】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도평리
(고려조) 김방경
▣ 문화유적총람3집 (강원, 경북, 경남)
⊙ 강원도
☆【유적명칭】실직군왕릉(悉直郡王陵)
【소 재 지】강원도 삼척시 성북동 213-5
【관 리 자】기타(삼척 김씨 종중)
(신라) 실직군왕은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여덟 번째 아들인 일선군(一善
君)의 아들 위옹(渭翁)
을 일으키고 뇌성벽력이 진동하니 두려워 도망쳤다고 전한다. 실직
군왕은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여덟 번째 아들인 일선군(一善
君)의 아들 위옹(渭翁)으로서 고려 왕건이 경순왕의 복속을 받아들
이자 인정을 베푸는 정책적 차원에서 실직군왕으로 책봉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현재 삼척시 당저동에 재사왕묘(齋舍王廟)가 있어
☆【유적명칭】상원사(上院寺)
【소 재 지】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 2리 781
(신라) 신라말 경순왕의 왕사(王師)였던 무착대사(無着禪師)
★【유적명칭】원주 황산사지(原州黃山寺址)
【소 재 지】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주포리 산 25-2
(신라) 경순왕의 공주가 이 절에 와서 부왕의 존상을 산정 석벽에
조각케 하였고, 그후 경순왕이 직접 이곳에
와서 존상을 보고 환경한 후부터 산명을 대왕산(大王山)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귀한 분이 왔다 하여 동리 이름을 귀래(貴來)라고 하였다
★【유적명칭】김제갑 목사 충렬비(金悌甲牧使忠烈碑)
【소 재 지】강원도 원주시 태장 2동(원주역 광장)
(제학) 김제갑
★【유적명칭】안동 김씨 정려(安東金氏旌閭)
【소 재 지】강원도 강릉시 교2동
(익원) 김몽상, 김석진, 김구
?【유적명칭】강릉 단봉재(江陵單峯齋)
【소 재 지】강원도 강릉시 지변동
【관 리 자】기타(안동 김씨 문중)
안동 김씨의 재실이다. 지금의 재실은 전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 【유적명칭】열녀 김소사 정려(烈女安東金召史旌閭)
【소 재 지】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용산리
안동 김씨는 김필원의 딸로 박병은의 처이다. 어린 나이에 시집을
★【유적명칭】요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遼東伯金應河將軍廟碑)
【소 재 지】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 9리 산 1-1
(부사) 김응하
★【유적명칭】강릉 이광로 가옥(江陵李光魯家屋)
【소 재 지】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3/2
【관 리 자】개인(이광로)
(서운) 허난설헌
⊙ 경상남도
?【유적명칭】김복업 기념비(金福業記念碑)
【소 재 지】경상남도 사천시 신벽동 232-8번지
의 전면 중앙에는"유인안동김씨복업시혜기념비(孺人安東金氏福業施
惠記念碑)"라고 적혀 있다. 옆면에는"사천군 남양면 신벽리 입 소화
★【유적명칭】낙포영각(洛圃影閣)
【소 재 지】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매각마을
(익원) 김사형, 낙포의 영정은 원래 고창(高敞)의 종손가
김영필(金榮珌) 집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1936년에 17세손 참봉 김영
주(金榮珠) 등이 종손과 상의하여 이곳에 옮겨와 1938년에 영정각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17세손 김영석(金榮錫)이 영정각서를 1955년에 최훈교(崔薰敎)가 영정각기를
지었다.
★【유적명칭】김시민장군 전공비(金時敏將軍戰功碑)
【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499-7번지
(제학) 김시민
★【유적명칭】촉석정 충단비(矗石旌忠壇碑)
【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본선동 500-1번지
(제학) 김시민
★【유적명칭】진주성(晋州城)
【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제학) 김시민
★【유적명칭】창렬사(彰烈祠)
【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212-8번지
(제학) 김시민
☆【유적명칭】윤경남 신도비(尹景男神道碑)
【소 재 지】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제학) 김시민
윤경남은 조선 선조때 임진왜란을 당하여 거창을
본거지로 삼고 인접 3군의 의병을 모집하여 김시민 장군을 돕고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였다.
★【유적명칭】대사헌 제계 김선생 신도비(大司憲蹄溪金先生神道碑)
【소 재 지】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까막섬
(익원) 김성동 : 김질의 아들, 강희맹의 사위, 12대손 김정원
제계(蹄溪) 김성동[金孫(1452-1495)]은 사육신 참화를 일으킨 김질
(1422-1478)의 아들이고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사위로
12대손 김정원(金正源)이 글씨를 써서 세웠다.
⊙ 경상북도
★ 보경사 원진국사비
(고려) 김효인 書
★【유적명칭】지례 향교 대성전(知禮鄕校大成殿)
【소 재 지】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교리 739
【관 리 자】기타(지례 향교)
(신라) 문성왕
을 배면쪽으로 세워 문성왕의 위패를 강조한 것이 특이하다. 겹처
【유적명칭】신라 진지.문성왕릉(新羅眞智.文聖王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산 92-2
(신라) 문성왕, 신무왕의 태자
☆【유적명칭】신라 헌안왕릉(新羅憲安王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산 92-2
(신라) 헌안왕 : 신무왕의 이복 동생
선도산 기슭의 진지왕릉 하단에 유존한다. 헌안왕은 신라 제47대
왕으로 신무왕의 이복 동생이다. 왕이 등극한 후 3년째 극심한 흉
☆【유적명칭】숭복사지(崇福寺址)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말방2리(윗마을)
(신라) 원성왕
良)이 건립하여 곡사(鵠寺)라 하였다가 원성왕(元聖王)이 죽자 이곳
에 능을 하고 지금 위치로 절을 옮겼다. 그 후 경문왕(景文王)이 즉
위하여 꿈에 원성왕을 보고 개건(改建)하여 능역(陵域) 수호와 명복
☆【유적명칭】희강왕릉(僖康王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34
(신라) 희강왕 : 원성왕의 손자
신라 43대 왕인 희강왕은 휘(諱)가 제륭(悌隆)이다. 원성왕(元聖王)의
손자로 흥덕왕(興德王)이 사자(嗣子)가 없이 죽자 아우 정균(貞均)을
★【유적명칭】경주 괘릉(慶州掛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 17
(신라) 원성왕
비문과 이 능과의 위치 등으로 보아 독서이품과 설치, 벽골제(碧骨
堤) 증축 등 치적을 남긴 신라 38대 원성왕(元聖王)의 릉으로 보기
도 한다. 삼국유사에 '능은 토함산 서쪽 동곡사(洞鵠寺)에 있는데 지
★【유적명칭】무장사지(藏寺址)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 산 1
(신라) 신라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의 부(父) 대아간 고양
(大阿干考讓)이 창건
암곡동(暗谷洞) 고선사지(高仙寺址)에서 북으로 약 7km 지점에 위치
한 무장사지는 신라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의 부(父) 대아간 고양
(大阿干考讓)이 창건하였다. 이 절의 명칭은 태종(太宗)이 통일한 후
★【유적명칭】신라 신무왕릉(新羅神武王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동방동 660
(신라) 신무왕
신라 제45대 신무왕의 능으로 형제산 아래에 있는데 봉토(封土)만
있고 특별한 능묘시설이나 호석같은 것이 없다. 신무왕의 휘는 우
징(祐徵)이고 상대등 균정(均貞)의 아들이니 곧 원성왕의 증손이 된
★【유적명칭】신라 내물왕릉(新羅奈勿王陵)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4
(신라) 내물왕
내물왕릉은 경주 향교 북방 얕은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재위시
★【유적명칭】내물왕릉.계림.월성지대(奈勿王陵.鷄林.月城地帶)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신라) 내물왕, 김알지
★【유적명칭】계림 김씨 시조 탄강 유허비(鷄林金氏始祖誕降遺墟碑)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교동(계림내)
【관 리 자】기타(계림 김씨 문중)
(신라) 김알지
★【유적명칭】경주 계림(慶州鷄林)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
(신라) 김알지
★【유적명칭】계림세묘(鷄林世廟)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신라) 김알지
★【유적명칭】왕피성지(王避城址)
【소 재 지】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왕피리
(신라) 경순왕, 마의태자, 마의태자 모후
왕피성지(王避城址)는 석성(石城)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형태가
불분명하다. 신라 말에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자 태자는 부왕에게
그 불가함을 역설하였으나 불가항력으로 부득이 천년사직이 넘어가
게 되자 마의(麻衣)를 입고 모후(母后) 송씨와 함께 이 성에 과 있
다가 모후는 이곳에서 작고하고 태자는 금강산으로 들어갔다 한다.
당시 모후를 따라온 송씨들의 후손들이 지금도 울진군내에 살고 있
★【유적명칭】봉암사 극락전(鳳巖寺 極樂殿)
【소 재 지】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신라)경순왕
극락전은 신라 경순왕(慶順王)이 피난할 때 원당(願堂)으로 사용한 것이라 전한
★【유적명칭】백흥암(百興菴)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549
(신라) 경순왕
경순왕이 견훤의 난리를 피하여 이곳에 은거하기도 하
★【유적명칭】자인전(慈仁殿)
【소 재 지】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99
(신라) 경순왕
자인전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으며
☆【유적명칭】김선궁 유허비(金宣弓遺墟碑)
【소 재 지】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완전리 59
(신라) 김선궁 : 경순왕의 재종질
김선궁은 신라 알지왕 29세손이며 경순왕의 재종질이다. 고려 태조
★【유적명칭】경순왕 송덕비(敬順王頌德碑)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216
【관 리 자】개인(김성헌)
(신라) 경순왕
★【유적명칭】숭혜전(崇惠殿)
【소 재 지】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216
【관 리 자】기타(신라숭혜전보존회)
(신라) 경순왕, 김시양
숭혜전(崇惠殿)은 신라 미추(味鄒)·문무(文武)·경순왕(敬順王)의 어
진 정치를 회모(懷慕)하여 영당(影堂)을 건립하고 춘추(春秋)로 후손
들이 모여 제사하는 곳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중건(重建)하였
는데 인조(仁祖) 4년(1626)에 관찰사 김시양(金時讓)이 예손(裔孫)으로
서 유민(遺民)들과 협의하여 유사(有司)를 두어 제사를 더욱 건성(虔
誠)케 하였다. 그리고 정묘(丁卯)년에 다시 통신(通臣)에 명하여 금
★【유적명칭】영호루 유허비(映湖樓遺墟碑)
【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
(고려) 김방경
★【유적명칭】고려 충렬왕 김방경 유허비(高麗忠烈王金方慶遺墟碑)
【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회곡리
【관 리 자】기타(안동김씨대종회)
(고려) 김방경
★【유적명칭】김방경 묘(金方慶墓)
【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 335
【관 리 자】개인(김원재)
(고려) 김방경
☆【유적명칭】승장사지(勝長寺址)
(고려) 김방경
있다"고 하였고, 김상직의 중창기에는 "고려 충렬왕이 중국 조정의
명을 받아 상락공 김방경을 명하여 동으로 왜구를 정벌할 때 왕이
김해부에 가서 전송하고 돌아올 때 이 절에 유숙하였다"고 하는 내
용을 함께 수록해 두었다.<< 범우고>>에는 "지금은 폐사되었다"고
☆【유적명칭】옥류정(玉流亭)
【소 재 지】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고려) 김방경
일명 옥류폭포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고려조의 승장사가 있었던 곳
이며, 충렬왕이 이곳에 쉬며 산을 '영남의 으뜸산'(甲長山)이라 하였
종때 부제학을 역임한 김상직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승장사중
수기>를 남겼는데 "고려 충렬왕이 중국 조정의 명을 받아 상락공
김방경을 명하여 동으로 왜구를 정벌하는데 왕이 김해부에 거동하
여 전송하고 어가가 돌아올 때 이 절에서 유숙하고 드디어 천태종
에 붙이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유적명칭】삼소재(三素齋)
【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57
【관 리 자】개인(김석교)
(익원) 김종락 : 김용추 5대손
★【유적명칭】장대서원(藏待書院)
【소 재 지】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
(도평) 김광수
★【유적명칭】의성 만취당(義城晩翠堂)
【소 재 지】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7
【관 리 자】기타(안동 김씨 만취당파 문중)
(도평) 김사원
★【유적명칭】의성 사촌리 향나무(義城沙村里香木)
【소 재 지】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5
【관 리 자】기타(의성 김씨 사촌파 문중)
(도평) 김광수
★【유적명칭】영귀정(詠歸亭)
【소 재 지】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 319
【관 리 자】기타(안동 김씨문중)
(도평) 김광수
★【유적명칭】상산관지(商山館址)
【소 재 지】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
(고려) 김영후
★【유적명칭】상주 상산관(尙州商山館)
【소 재 지】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 산 73-1
(고려) 김영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