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록(功臣錄)에 대하여 (2004. 태영(군), 윤식(문), 주회(안)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5:58 조회1,291회 댓글0건본문
<공신록>
■ 작성자 : 김태영(2004. 3. 20)
1. 개국공신(開國功臣) 태조원년(1392) : 1등 金士衡(익) ***원종 金哲(정)
2. 정사공신(定社功臣) 정종원년(1398) : 1등 金士衡(익)
3. 좌익공신(左翼功臣) 세조원년(1455) : 3등 金 石質(김질, 익)
4. 좌리공신(佐理功臣) 성종 2년(1471) : 2등 金 石質(김질, 익), 3등 金壽寧(전)
5. 정국공신(靖國功臣) 중종원년(1506) : 2등 金壽童(익), 3등 金壽卿(익), 4등 金 石武(김무, 익) ***원종 金百鈞(분파?)
6. 광국공신(光國功臣) 선조23년(1590) : 3등 金澍(안)
7. 호성공신(扈聖功臣) 선조37년(1604) : 3등 金龍(?군), 金繼賢(익)
8. 선무공신(宣武功臣) 선조37년(1604) : 2등 金時敏(제) ***원종 金欽(익) 金益哲(익)
9. 정사공신(靖社功臣) 인조원년(1623) : 1등 金自點(후일追奪, 익), 3등 金鍊(익)
10. 진무공신(振武功臣) 인조 2년(1624) : 2등 金慶雲(문), 3등 金光 火肅(김광수, ?군) ***원종 金自剛(익) 金涉(김섭, 안)
11. 분무공신(奮武功臣) 영조 4년(1728) : 3등 金浹(김협, 부) ***원종 ?양무 金天柱(안) 金天章(안) 金聲玉(안) 金聲秋(안), 金時達(안)
<공신명 소개>
□ 原從功臣(원종공신) : 조선 때 공신의 施賞(시상)에 있어서 각 등급의 주장이 되는 正功臣(정공신)이외에 작은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공신의 칭호. 이는 공신의 子弟(자제) 및 사위 또는 그 隨從者(수종자)에 대한 시상으로, 본래는 元從(원종)공신이라 하였으나 명나라 태조의 諱(휘)인 「元」자를 피하여 「原」으로 고쳐 썼다. 그 기원은 이태조가 건국한 후 開國功臣(개국공신)을 정하고 이 개국공신을 도와 태조의 潛邸(잠저)에서 일을 보거나 공신의 자제로서 공이 있는 자 천 여명에게 開國原從功臣(개국원종공신)의 칭호를 준 것이 처음이다. 이들 원종공신을 3등으로 나누어 각각 이 등급에 따라 錄券(녹권)·노비·토지를 주었다. 이것이 선례가 되어 그후에도 공신의 상훈이 있을 때마다 원종공신을 정하였는데 그 수
는 공신에 따라 천명을 넘는 경우도 있었다.
■ 작성자 :김윤식 작성일 : 2004/03/20 14:00 (from:211.204.49.3) 조회 : 35
공 신 (功 臣)
공신이란 국가니 왕실을 위하여 공을 세운 사람등에게 주던 칭호이며 이러한 공신들에게는 공을 세운 정도에 따라 영작(榮爵:영예스러운 작위), 토지, 노비, 금 등을 지급하고 자손들에게도 후대하였다.
1) 개국공신(開國功臣) : 1392년(태조 원년) 태조가 송경의 수창궁에서 즉위하면서 조선 개국에 공이 많은 신하들에게 3등급으로 공신을 책록함.
2) 정사공신(定社功臣) : 1938년(정종 즉위년) 정도전(鄭道傳), 남은, 유만수 등이 정종의 동생인 방석(芳碩)을 세자로 옹립하려다가 주살(誅殺)되고 난 뒤, 그에 대한 공이 큰 신하들에게 2등급으로 공신을 책록함.
3) 좌명공신(佐命功臣) : 1400년(태종 원년) 회안대군[懷安大君:방간(芳幹)]의 난을 평정시킨 신하들에게 4등급으로 나누어서 공신을 책록함.
4) 정난공신(靖難功臣) : 1453년(단종 원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황보인, 김종서 및 안평대군 등을 주살하여 세종의 총신(寵臣)을 제거한 공으로 책록함.
5) 좌익공신(佐翼功臣) : 1454년(세조 원년) 정인지, 한명회, 권남 등이 단종을 폐하고 세조(世祖)를 추대시킨 공으로 책록함.
6) 적개공신(敵愾功臣) : 1467년(세조 13년)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시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책록함.
7) 익대공신(翊戴功臣) : 1468년(예종 즉위년) 남이, 강순 등이 반역을 음모한다 하여 이들을 처단하는 데 공을 세운 신숙주, 한명회 등에게 내린 훈명(勳名)
8) 좌리공신(佐理功臣) : 1469년(성종 2년) 신숙주, 한명회 등의 신하들이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하였다 하여 공으로 내린 훈명(勳名)
9) 정국공신(靖國功臣) : 1506년(중종 원년) 박원종, 성희안 등이 연산군을 폐출하고, 진성대군을 추대하여 중종반정을 이룬 공으로 책록함.
10) 정난공신(定難功臣) : 1507년(중종 2년) 이과(李顆)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책록함.
11) 위사공신(衛社功臣) : 1546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를 일으키고 윤임 등 대윤파를 몰아낸 공으로 내린 훈명
12) 광국공신(光國功臣) : 1590년(선조 23년) 종계변무(宗系辨誣) 즉 명나라 역사에 이씨 세계가(世系)가 잘못 기록된 것을 고친 공으로 내렸던 훈명
13) 평난공신(平難功臣) : 1589년(선조 22년) 정여립의 모반 기미를 박충간(朴忠侃)이 알아채고 상소하여 평정한 공으로 책록함.
14) 호성공신(扈聖功臣) : 1592년(선조 25년) 선조(宣祖)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책록함.
15) 선무공신(宣武功臣) :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모든 대신들이 나라의 중흥에 일조를 하였다 하여 책록함.
16) 청난공신(淸難功臣) : 1596년(선조 29년) 이몽학이 일으킨 난을 홍가신(洪可臣)이 평정한 공으로 책록함.
17) 위성공신(衛聖功臣) : 1613년(광해군 5년) 병자호란 중에 광해군을 수종한 공으로 책록함.
18) 익사공신(翼社功臣) : 1613년(광해군 5년) 이이첨, 정인홍 등이 모해하여 임해군, 영창대군, 김제남 등을 살해한 공으로 내린 훈명
19) 정운공신(定運功臣) : 1613년(광해군 5년) 정인홍 등이 모함하여 유영경(柳永慶)을 처형한 공으로 책록함.
20) 형난공신(亨難功臣) : 1613년(광해군 5년) 대북파가 소북파의 세력을 없애려고 김직재 등을 모반협의로 처형시킨 공으로 책록함.
21) 정사공신(靖社功臣) : 1623년(인조 원년) 김류, 이귀 등이 광해군을 폐출하고 능양군을 옹립하여 인조반정을 결행한 공으로 책록함.
22) 진무공신(振武功臣) : 1624년(인조 2년) 이괄이 일으킨 난을 진압한 공으로 책록함.
23) 소무공신(昭武功臣) : 1627년(인조 5년) 이인거가 일으킨 난을 적발한 공으로 책록함.
24) 영사공신(寧社功臣) : 1628년(인조 6년) 유효립, 정심 등을 죽이는 데 공이 있는 사람들에게 책록함.
25) 영국공신(寧國功臣) : 1645년(인조 22년) 심기원의 역모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내린 훈명
26) 보사공신(保社功臣) : 1680년(숙종 6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훈명
27) 부사공신(扶社功臣) : 1723년(경종 3년) 임인(任寅)의 옥사를 일으키며 노론을 제거한 공으로 내린 훈명
28) 분무공신(奮武功臣) : 1728년(영조 4년) 이인좌, 정희량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오명항 등에게 내린 훈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