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안동영주 역사문화 탐방 상품 소개 (참고)

페이지 정보

김정중 작성일02-08-01 19:48 조회1,783회 댓글0건

본문

 

 

 

history_001_01.jpghistory_001_02.jpg

hongik_line01.gif

hongik_m01.gif

 

안동 하회마을 관광열차

hongik_line01.gif

hongik_m02.gif

 

매주 월, 수, 금, 토요일

hongik_line01.gif

hongik_m03.gif

 

1박 2일

hongik_line01.gif

hongik_m04.gif

 

-

hongik_line01.gif

history_reserve.gif

 

 

history_t01.gif

 

 

일정

시간

내용

비고

첫째날

  09:00 ~ 13:02

  청량리역 출발 → 안동역도착

새마을호

  13:20 ~ 14:00

  중식제공

관광버스

  14:00 ~ 14:10

  안동댐 관광

 

  14:10 ~ 14:30

  태조왕건 해상 촬영장 관광

 

  14:30 ~ 14:40

  촬영장 출발 → 민속박물관 도착

 

  14:40 ~ 15:00

  민속박물관 관광

 

  15:00 ~ 15:40

  박물관 출발 → 하회마을 도착

 

  15:40 ~ 17:00

  하회마을 관광

 

  18:00 ~

  학가산 자연휴양림 숙박

 

제2일

  08:00 ~

  조식제공

 

  09:30 ~ 10:30

  숙소출발 → 소수서원 도착

 

  10:30 ~ 11:20

  소수서원 관광

 

  11:20 ~ 12:00

  소수서원 출발 → 부석사 도착

 

  12:00 ~ 14:00

  중식제공 및 부석사 관광

 

  14:00 ~ 14:40

  부석사 출발 → 풍기 인삼시장 도착

 

  14:40 ~ 15:10

  풍기 인삼시장 관광

 

  15:20 ~ 18:36

  풍기역 → 청량리역 도착

새마을호

hongik_line.gif

( * 상기 일정은 현지 사정으로 인하여 변경 될 수도 있습니다.)

 

 

 

 

history_t02.gif

 

 

구 분

2인 1실

3인 1실

4인 1실

예약금

월,수 출발

135,000

130,000

125,000

15,000

금,토 출발

140,000

135,000

130,000

15,000

※ 어린이는 성인요금의 70% 적용

 

 

history_t03.gif

 

 

왕복새마을호, 연계버스료, 숙식료(1박4식), 관광지입장료

 

 

history_t04.gif

 

 

청량리역 안내 창구 앞, 출발 30분전 모임

 

 

history_t05.gif

 

 

-

 

 

history_t06.gif

 

 

history_001_station.jpg풍기역은 1942. 4. 1. 중앙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주변에 소백산국립공원, 소수서원, 부석사와 특산품인 풍기인삼으로 유명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아들고 있다.

 

 

history_t07.gif

 

 

hongik_line03.gif

소수서원

history_001_03.jpg

   거   리 : 101km
   소요시간 : 25분(버스)
   안내전화 : 054-634-3310

hongik_line04.gif

서원은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선생이 고려말 유현인 회헌 안향 선생의 연고지에다가 조선 중종 37년(1542년) 사묘를 세우고 안향선생을 주향하였으며, 다음 해에는 안향선생의 영정을 봉안하고 학사를 이건하여 주자의 백록동서원을 창건한 데서 비롯되었다. 중종 39년(1544년)에는 안축선생과 안향선생을 배향하였으며, 명종원년(1545년) 안향선생의 후손 안현이 경상감사가 되어 서원의 사당을 참배하고 각종 경비를 지원하였다. 명종 4년(1549년) 퇴계 이황선생이 풍기군수로 배임하여 경상감사 심통원에게 서원의 편액과 토지·노비를 하사해 주도록 계청하자 감사 심통원이 조정에게 청함으로서 이듬해 명종 5년(1550년) 5월 왕명으로 대제학 신광한이 서원의 이름을 「소수(紹修)」 라 지으니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다시 닦게 하였음"이란 뜻이다. 명종 임금이 손수 「紹修書院」 편액 글씨를 써서 하사하였으니 곧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자 공인된 사학기관으로 인정되었다. 인조 11년(1633년)에는 서원을 창건한 주세붕선생을 추향하였다 회헌 안향(1243-1306)선생은 고려 원종 원년(1260년) 진사과에 급제한 후 우사의 등을 거치면서 문교진흥에 전력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이며 문신이다. 신재 주세붕(1495-1554)선생은 많은 저서를 남겼고 황해도 관찰사,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면서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경내에는 강당, 동·서재, 학구재, 서고, 문성공묘 등이 있고 회헌 영정(국보제111호),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보물 제458호) 등 중요유물과 각종 전적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경내에는 이곳이 통일신라시대이래의 사찰이었음을 알려주는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제59호), 주세붕 영정(보물 제717호) 등이 남아 있다.

hongik_line03.gif

부석사

history_001_04.jpg

   거   리 : 25km
   소요시간 : 40분(버스)
   안내전화 : 054-633-3464

hongik_line04.gif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으뜸 사찰이다. 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교학을 펴기 위해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그런데 이 절은 신라 화엄종의 도량임에도 불구하고 본전인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모셨고, 무량수전 앞에 안양문을 세웠으니 「安養」은 곧 「極樂」을 일컬음이니 이 절은 바로 땅 위에 극락세계를 놓은 격이 되는 것이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무량수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 1916년 해체 보수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1358년)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 2년(1377) 조사당이 재건되었다고 적혀 있다. 경내에는 신라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 석조여래좌상, 당간지주 등이 있고, 고려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여래좌상, 조사당 벽화, 고려각판, 원륭국사비, 삼층석탑 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 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전시관에 보존되어 있다.

hongik_line03.gif

풍기인삼시장

history_001_05.jpg

   거   리 : 0.3km
   소요시간 : 5분(도보)
   안내전화 : -

hongik_line04.gif

1965년부터 정기시장이 개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부리 시내 도로변에 5일장이 아침부터 오후 3시까지 열리고 있으며 인삼 및 사과, 고추, 참깨, 배추, 무, 파 등 주변에서 생산되고 있는 신선한 농산물이 거래되고 타 지역 상인들도 정기적으로 드나든다.

hongik_line03.gif

 

 

history_t08.gif

 

 

홍익여행사 02-717-1002, 철도고객센타 1544-7788

 




▣ 김재익 -
▣ 김재원 - 감사합니다.
▣ 김태서 -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 김은회 - 정중님 이번 하계 캠프에 정말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태영/문 - 정중 형님, 뒤에서 조용히 이끌어 주시니 든든합니다. 감사합니다. ^_^
▣ 김윤만 - 넘어진 김에 쉬어 간다고 내친김에 영주. 풍기까지. .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