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02 (2세 세한)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08 21:02 조회1,643회 댓글0건본문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02 (2세 세한)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해 보고자 합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신라국 서기60년 탄생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7. 末仇(말구)
8. 奈勿王(내물왕)
9. 卜好(복호)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17. 魏文(위문)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2. 세한(勢漢)
●열한(熱漢)
생몰년 미상. 신라김씨의 시조. ★세한(勢漢)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그는 알지(閼智)의 아들이고, 아도(阿都)의 아버지가 된다.
또 신라 13대 미추이사금은 그의 6세손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그를 ‘세한’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세한’이 여러 금석문에 보이는 ‘★성한(星漢, 聖韓)’과 음이 비슷하여 혹 그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성한은 김인문묘비문(金仁問墓碑文)과 흥덕왕릉비문(興德王陵碑文)에는 ★태조(太祖)라고 지칭하고 있는만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이사금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韓國金石全文―古代·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新羅上古世系와 그 紀年(金哲埈, 歷史學報 17·18, 1962)
新羅太祖星漢의 問題와 興德王陵碑의 發見(李基東, 大丘史學 15·16합집, 1978)
新羅太祖星漢의 재검토(金昌鎬, 歷史敎育論集 5, 경북대학교역사교육과, 1983)
新羅始祖王의 硏究(文暻鉉, 新羅史硏究, 慶北大學校出版部, 1983)
新羅王の世次と其名について(前間恭作, 東洋學報 15―2, 1925)
新羅始祖系譜の構成(木下禮仁, 朝鮮史硏究會論文集 2, 1966). 〈李道學〉
●성한(星漢){1}
생몰년 미상. 신라 김씨(金氏)의 시조. 일명 성한(聖韓).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모두 김씨시조를 알지(閼智)라 하고, 그의 아들이 세한(勢漢, 혹은 熱漢), 세한의 아들이 아도(阿道, 혹은 阿都), 아도의 아들이 수류(首留), 수류의 아들이 욱보(郁甫, 혹은 郁部), 욱보의 아들이 구도(仇道, 혹은 俱道), 구도의 아들이 미추(味鄒)로, 그가 김씨로 최초의 왕이 되었다고 하였을 뿐, 성한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무왕릉비문·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진공대사탑비문(眞空大師塔碑文), 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흥덕왕릉비문 등에는 예외 없이 성한이 김씨 왕실의 시조로 되어 있다.
특히, 문무왕릉비문에는 성한왕이 그의 15대조로 되어 있고, 흥덕왕릉비문에는 성한을 태조(太祖)라고 지칭하는 한편, 흥덕왕은 그의 24대손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김인문묘비문(金仁問墓碑文)에 보이는 ‘태조한왕(太祖漢王)’도 태조 성한왕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요컨대, 금석문(金石文)자료에는 모두 김씨시조를 성한이라 한 것이 분명한데, 이는 《삼국사기》에 보이는 알지의 아들 세한과 음이 비슷하여 그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며, 한편 성한을 태조라고 지칭하고 있는 만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朝鮮金石總覽 上, 韓國金石遺文, 新羅太祖 星漢의 問題와 興德王陵碑의 發見(李基東, 大丘史學 15·16합집, 1978;新羅 骨品制社會와 花郎徒, 韓國硏究院, 1980)
新羅 太祖 星漢의 재검토(金昌鎬, 歷史敎育論集 5, 慶北大學校歷史敎育科, 1983). 〈李基東〉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미조(未祖, 未照) 혹은 미고(未古)·미소(未召)라고도 한다.
미추의 계보는 알지(閼智)에서부터 비롯하여, 알지→세한(勢漢, 熱漢)→아도(阿道)→수류(首留)→욱보(郁甫)→구도(仇道)→미추로 이어진다.
그러나 문무왕릉비문을 비롯한 금석문(金石文)자료에는 김씨(金氏)왕실의 시조를 성한(星漢, 聖漢)이라 하여, 이를 세한으로 보는 설과 반대의 설이 있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 김윤만 - 한자화를 비롯한 이 많은 자료의 워드화 역시 주회 아우님입니다.
▣ 김은회 - 그러게 말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김주회 - 감사합니다. 제가 타이핑한 것이 아니고 퍼온글을 순서를 정해서 다시 정열만 한 것입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해 보고자 합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신라국 서기60년 탄생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7. 末仇(말구)
8. 奈勿王(내물왕)
9. 卜好(복호)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17. 魏文(위문)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2. 세한(勢漢)
●열한(熱漢)
생몰년 미상. 신라김씨의 시조. ★세한(勢漢)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그는 알지(閼智)의 아들이고, 아도(阿都)의 아버지가 된다.
또 신라 13대 미추이사금은 그의 6세손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그를 ‘세한’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세한’이 여러 금석문에 보이는 ‘★성한(星漢, 聖韓)’과 음이 비슷하여 혹 그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성한은 김인문묘비문(金仁問墓碑文)과 흥덕왕릉비문(興德王陵碑文)에는 ★태조(太祖)라고 지칭하고 있는만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이사금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韓國金石全文―古代·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新羅上古世系와 그 紀年(金哲埈, 歷史學報 17·18, 1962)
新羅太祖星漢의 問題와 興德王陵碑의 發見(李基東, 大丘史學 15·16합집, 1978)
新羅太祖星漢의 재검토(金昌鎬, 歷史敎育論集 5, 경북대학교역사교육과, 1983)
新羅始祖王의 硏究(文暻鉉, 新羅史硏究, 慶北大學校出版部, 1983)
新羅王の世次と其名について(前間恭作, 東洋學報 15―2, 1925)
新羅始祖系譜の構成(木下禮仁, 朝鮮史硏究會論文集 2, 1966). 〈李道學〉
●성한(星漢){1}
생몰년 미상. 신라 김씨(金氏)의 시조. 일명 성한(聖韓).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모두 김씨시조를 알지(閼智)라 하고, 그의 아들이 세한(勢漢, 혹은 熱漢), 세한의 아들이 아도(阿道, 혹은 阿都), 아도의 아들이 수류(首留), 수류의 아들이 욱보(郁甫, 혹은 郁部), 욱보의 아들이 구도(仇道, 혹은 俱道), 구도의 아들이 미추(味鄒)로, 그가 김씨로 최초의 왕이 되었다고 하였을 뿐, 성한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무왕릉비문·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진공대사탑비문(眞空大師塔碑文), 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흥덕왕릉비문 등에는 예외 없이 성한이 김씨 왕실의 시조로 되어 있다.
특히, 문무왕릉비문에는 성한왕이 그의 15대조로 되어 있고, 흥덕왕릉비문에는 성한을 태조(太祖)라고 지칭하는 한편, 흥덕왕은 그의 24대손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김인문묘비문(金仁問墓碑文)에 보이는 ‘태조한왕(太祖漢王)’도 태조 성한왕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요컨대, 금석문(金石文)자료에는 모두 김씨시조를 성한이라 한 것이 분명한데, 이는 《삼국사기》에 보이는 알지의 아들 세한과 음이 비슷하여 그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며, 한편 성한을 태조라고 지칭하고 있는 만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朝鮮金石總覽 上, 韓國金石遺文, 新羅太祖 星漢의 問題와 興德王陵碑의 發見(李基東, 大丘史學 15·16합집, 1978;新羅 骨品制社會와 花郎徒, 韓國硏究院, 1980)
新羅 太祖 星漢의 재검토(金昌鎬, 歷史敎育論集 5, 慶北大學校歷史敎育科, 1983). 〈李基東〉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미조(未祖, 未照) 혹은 미고(未古)·미소(未召)라고도 한다.
미추의 계보는 알지(閼智)에서부터 비롯하여, 알지→세한(勢漢, 熱漢)→아도(阿道)→수류(首留)→욱보(郁甫)→구도(仇道)→미추로 이어진다.
그러나 문무왕릉비문을 비롯한 금석문(金石文)자료에는 김씨(金氏)왕실의 시조를 성한(星漢, 聖漢)이라 하여, 이를 세한으로 보는 설과 반대의 설이 있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 김윤만 - 한자화를 비롯한 이 많은 자료의 워드화 역시 주회 아우님입니다.
▣ 김은회 - 그러게 말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김주회 - 감사합니다. 제가 타이핑한 것이 아니고 퍼온글을 순서를 정해서 다시 정열만 한 것입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