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04 (6세 구도)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10 17:19 조회2,074회 댓글0건

본문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04 (6세 구도)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하고 있습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신라국 서기60년 탄생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7. 末仇(말구)

8. 奈勿王(내물왕)

9. 卜好(복호)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17. 魏文(위문)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6. 구도갈문왕(仇道葛文王)



생몰년 미상. 신라 상고시대(上古時代)의 갈문왕. 성은 김씨(金氏). 미추이사금의 아버지.



172년(아달라이사금 19)에 파진찬(波珍飡)이 되었으며, 185년(벌휴이사금 2)에는 군사(軍事)를 맡는 좌군주(左軍主)가 되어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하였다.



188년과 189년에는 신라를 침공한 백제군을 물리쳤으나, 190년에는 도리어 대패하여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구도의 딸은 조분이사금의 왕비인 옥모부인(玉帽夫人)이며, 아들은 미추이사금과 각간(角干) 말구(末仇)이다. 각간 말구의 아들이 내물마립간이다.



이러한 구도의 활약과 그의 가문은 석씨왕시대(昔氏王時代)에 김씨족(金氏族)이 중요한 정치세력집단으로 신라의 중앙정계에 등장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적 배경에서 김씨로서 맨 처음 미추이사금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고, 미추는 263년(미추이사금 2)2월 아버지 구도를 갈문왕으로 추봉(追封)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왕실이 이성(異姓)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왕실의 첫 왕이 자기의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책봉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신라의 지배세력이 씨족을 단위로 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박씨왕시대(朴氏王時代)보다는 지배세력의 사회적 기반이 더욱 넓어졌음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國家形成史硏究(李鍾旭, 一潮閣, 1982)

新羅時代의 葛文王(李基白, 歷史學報 58, 1973;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74). 〈金龍善〉







갈문왕 葛文王

신라 때에 왕의 근친(近親)에게 주던 봉작(封爵).



혈통을 달리하여 왕위를 이은 왕의 생부나 왕의 장인 등에게 추봉(追封)하던 것으로 조선시대의 대원군(大院君) ·부원군(府院君)과 같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갈문왕은 왕의 생부의 경우, 골정(骨正:助賁王의 부) ·세신(世神:沾解王의 부) ·습보(習寶:智證王의 부) ·입종(立宗:眞興王의 부) ·국반(國飯:진덕여왕의 부) 등이 추봉되었고, 왕의 장인의 경우, 일지(日知) ·허루(許婁) ·마제(摩帝) ·지소례(支所禮) ·내음(奈音) ·이칠(伊柒) ·복승(福勝) 등이 추봉되었다.

왕의 생부나 장인이 모두 갈문왕으로 추봉된 것은 아닌 듯하며, 28대 진덕여왕 이후 갈문왕이란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학자에 따라 갈문왕은 대왕(代王) ·군장(君長)을 뜻할 것이라는 등 이설(異說)도 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단군과 고구려가 죽어야 민족사가 산다 : 김성호, 2002, 조선일보사>

p73

아달라왕의 북방진출을 계기로 경북 고타군 (안동)을 기반으로 한 김씨족이 새로 부상했으니, 벌휴왕2년(185)에 군주가 된 파진찬 구도(仇道)가 바로 김씨시조 미추의 아버지였다.



그는 일길찬 구수혜(仇須兮)와 함께 소문군(召文國, 의성)을 장악한 후 동왕 5년에 모산성(母山城)으로 쳐들어온 백제군을 격퇴하였다. 이 모산성을 이병도씨는 충북 진천의 대모산성으로 보았지만, 청주시내 와우산도 일명 대모산으로 산 위에 성지가 전해 오니, 전일 아달라왕이 장악한 곳이어서 백제가 친 곳이었다. 다음해에도 구도는 구양(옥천)으로 침입한 백제군을 또 막았던 것이다.



당시 비류백제는 청주와 옥천의 두 방면으로 보은 돌파를 꾀했다가 모두 실패하자, 190년에 원산향(圓山鄕)을 기습하고서 부곡성(缶谷城)을 에워싸자 또 구도가 정기 500으로 막아 백제군은 거짓으로 달아나다 와산(보은)에서 반격을 가해 구도를 격파하였던 것이다.



이때 백제가 보은으로 후퇴했으니 비류백제는 보은 동쪽의 경북 내륙으로 진출한 것이었다. 따라서 원산향은 오늘까지 나게간 격전지로 전해오는 경북 예천 용궁면 향석리의 원산성이며, 그 남쪽 상주 공검면에 부곡리가 있다.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미조(未祖, 未照) 혹은 미고(未古)·미소(未召)라고도 한다.

미추의 계보는 알지(閼智)에서부터 비롯하여, 알지→세한(勢漢, 熱漢)→아도(阿道)→수류(首留)→욱보(郁甫)→★구도(仇道)→미추로 이어진다.

그러나 문무왕릉비문을 비롯한 금석문(金石文)자료에는 김씨(金氏)왕실의 시조를 성한(星漢, 聖漢)이라 하여, 이를 세한으로 보는 설과 반대의 설이 있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미추의 조상으로 역사에 나타나는 인물은 아버지인 ★구도로서 그는 8대 아달라이사금에서부터 9대 벌휴이사금 때까지 활약한 인물이며, 263년(미추왕 2) 갈문왕(葛文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

★구도는 이칠(伊柒)갈문왕의 딸인 술례부인(述禮夫人, 혹은 生乎) 박씨(朴氏)와 혼인하였고, 그의 딸인 옥모부인(玉帽夫人)은 골정(骨正) 갈문왕과 혼인하였다. 미추이사금의 비(妃)는 조분이사금의 딸인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결국 그는 조분이사금의 사위라는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 셈이다.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 ?∼196

■ 신라 제9대왕

■ 재위 184∼196

185년에 ★구도(仇道)와 구수혜(仇須兮)를 처음 군주(軍主)로 삼아 소문국(召文國)을 치고, 이어 188년 모산성(母山城:지금의 충청북도 진천 혹은 경상북도 의성 부근), 189년 구양성(狗壤城:지금의 괴산 또는 옥천), 190년 원산향(圓山鄕:지금의 예천군 용궁)·부곡성(缶谷城:지금의 군위군 부계) 등지에서 백제와 공방전을 치렀다고 전한다.



왕비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머니가 김씨인 점으로 보아, 이제 박씨계는 고립되고 석씨와 김씨와의 제휴시대를 맞게 된 것으로 보인다.







구수혜(具須兮)

생몰년 미상. 신라 상대의 군주(軍主).

172년(아달라이사금 19) 정월에 일길찬(一吉飡)에 임명되었다.

185년(벌휴이사금 2) 2월에 파진찬(波珍飡) ★구도(仇道)와 함께 좌우군주(左右軍主)에 임명되어 소문국(召文國:지금의 의성)을 쳤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군주를 둔 것은 이것이 처음이라 한다.

그러나 사실은 505년(지증마립간 6) 2월에 실직주(悉直州)를 두어 이사부(異斯夫)를 군주로 임명한 것이 군주의 효시가 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新羅軍主考(申瀅植, 白山學報 19, 1975). 〈文暻鉉〉













아달라 이사금

19년(172) 봄 정월에 ★구도(仇道)를 파진찬으로 삼고 구수혜(仇須兮)를 일길찬으로 삼았다. 2월에 시조묘에 변고가 있었다. 서울에 돌림병이 크게 번졌다.

十九年 春正月 以仇道爲波珍 仇須兮爲一2)吉 二月 有事始祖廟 京都大疫

--------------------------------------------------------------------------------

▶ 2) 原本 缺刻. 三國史節要·鑄字本에 의거 보충.





벌휴 이사금

2년(185) 봄 정월에 몸소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2월에 파진찬 ★구도(仇道)와 일길찬 구수혜(仇須兮)를 임명하여 좌우군주(左右軍主)로 삼아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하였는데, 군주의 이름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二年 春正月 親祀始祖廟 大赦 二月 拜波珍仇道 一吉仇須兮爲左 右軍主 伐召文國 軍主之名始於此





미추 이사금

2년(263) 봄 정월에 이찬 양부(良夫)를 서불한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월에 몸소 국조묘(國祖廟)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죽은 아버지 ★구도(仇道)를 갈문왕으로 봉하였다.

二年 春正月 拜伊良夫爲舒弗邯 兼知內外兵馬事 二月 親祀國祖廟 大赦 封考仇道爲葛文王





초고왕

25년(190) 가을 8월에 군사를 내서 신라의 서쪽 국경의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고 나아가 부곡성(缶谷城)을 포위하였다. 신라 장군 ★구도(仇道)가 말탄 군사[馬兵] 500명을 거느리고 막았다. 우리 군사가 거짓 퇴각하자 ★구도가 와산(蛙山)까지 추격하여 오므로 우리 군사가 되돌아 쳐서 크게 이겼다.

二十五年 秋八月 出兵襲新羅西境圓山鄕 進圍缶5)谷城 新羅將軍仇道帥馬兵五百拒之 我兵佯退 仇道追至蛙山 我兵反擊之 大克

--------------------------------------------------------------------------------

5) 原本 「」. 「缶」의 俗字.









▣ 김항용 -

▣ 김발용 -

▣ 김윤식 -

▣ 솔내 - 공부 잘햇습니다.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