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청주 신항서원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2-06 03:04 조회1,412회 댓글0건본문
▣ 문화재청 홈페이지
종 목 시도기념물 42호
명 칭 ●신항서원 (莘巷書院)
분 류 서원(부동산)
수 량 1동
지정일 1984.12.31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120
소유자 사유
관리자 유도회
조선 중기 대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와 고려 후기의 학자로서 성리학 발전에 공헌한 목은 이색을 비롯하여 경연·박훈·김정·송인수·한충·송상헌·이득윤 등 아홉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조선 선조 3년(1570)에 ‘유정서원’으로 세웠고 현종 원년(1660)에 나라에서 ‘신항’이라는 이름을 받은 사액서원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되었다가 1957년 복원하였고, 1987년 새롭게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과 강당 등 주요 건물과 비석이 안치된 비각, 관리인이 주거하는 수호사 등이 있다. 외삼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서면 교육 공간인 강당이 있고 뒤편에 별도의 담장을 두른 제사 공간으로 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강당은 교육 장소 겸 제관들의 숙소로 사용되었다. 사당은 낮은 기단 위에 조성된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안쪽에는 이이를 중심으로 좌우에 여덟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해마다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낸다.
문화재명 신항서원(莘巷書院)
이 서원은 조선(朝鮮) 선조(宣祖) 3년(1570) 창건(創建)되어 현종(顯宗) 원년(元年)(1660)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고종(高宗) 8년(1871)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폐지되었다가 1957년 지방 유지들에 의해 재건(再建)되었다. 지방의 선현(先賢)들을 봉향(奉享)하고 자제들의 강학(講學)을 장려하던 곳으로 이이(李珥), 이색(李穡), 경연(慶延), 박훈(朴薰), 김정(金淨), 송인수(宋麟壽), 한충(韓忠), 송상현(宋象賢), 이득윤(李得胤)의 9현을 매년 봄·가을에 제사지내고 있다. 사당(祠堂)에는 신항서원(莘巷書院)이란 현판(懸板)을 달았는데 정면(正面) 3칸의 맞배집에 퇴칸(退間)을 둔 일반적(一般的)인 사당건물(祠堂建物) 형식이다. 서원 마당에는 숙종(肅宗) 11년(1685)에 세운 화묘서원묘정비(華墓書院廟庭碑)가 있다.
▣ 김재이 -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윤만 -
▣ 김정중 -
종 목 시도기념물 42호
명 칭 ●신항서원 (莘巷書院)
분 류 서원(부동산)
수 량 1동
지정일 1984.12.31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120
소유자 사유
관리자 유도회
조선 중기 대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와 고려 후기의 학자로서 성리학 발전에 공헌한 목은 이색을 비롯하여 경연·박훈·김정·송인수·한충·송상헌·이득윤 등 아홉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조선 선조 3년(1570)에 ‘유정서원’으로 세웠고 현종 원년(1660)에 나라에서 ‘신항’이라는 이름을 받은 사액서원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되었다가 1957년 복원하였고, 1987년 새롭게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과 강당 등 주요 건물과 비석이 안치된 비각, 관리인이 주거하는 수호사 등이 있다. 외삼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서면 교육 공간인 강당이 있고 뒤편에 별도의 담장을 두른 제사 공간으로 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강당은 교육 장소 겸 제관들의 숙소로 사용되었다. 사당은 낮은 기단 위에 조성된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안쪽에는 이이를 중심으로 좌우에 여덟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해마다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낸다.
문화재명 신항서원(莘巷書院)
이 서원은 조선(朝鮮) 선조(宣祖) 3년(1570) 창건(創建)되어 현종(顯宗) 원년(元年)(1660)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고종(高宗) 8년(1871)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폐지되었다가 1957년 지방 유지들에 의해 재건(再建)되었다. 지방의 선현(先賢)들을 봉향(奉享)하고 자제들의 강학(講學)을 장려하던 곳으로 이이(李珥), 이색(李穡), 경연(慶延), 박훈(朴薰), 김정(金淨), 송인수(宋麟壽), 한충(韓忠), 송상현(宋象賢), 이득윤(李得胤)의 9현을 매년 봄·가을에 제사지내고 있다. 사당(祠堂)에는 신항서원(莘巷書院)이란 현판(懸板)을 달았는데 정면(正面) 3칸의 맞배집에 퇴칸(退間)을 둔 일반적(一般的)인 사당건물(祠堂建物) 형식이다. 서원 마당에는 숙종(肅宗) 11년(1685)에 세운 화묘서원묘정비(華墓書院廟庭碑)가 있다.
▣ 김재이 -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윤만 -
▣ 김정중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