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e:洪萬宗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3-03-19 19:59 조회1,530회 댓글0건본문
홍만종(洪萬宗)
1643(인조 21)∼1725(영조 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시평가(詩評家).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우해(宇海), 호는 현묵자(玄默子)·몽헌(夢軒)·장주(長洲).
아버지는 영천군수(榮川郡守) 세주(世柱)이며, 어머니는 참판 정광경(鄭廣敬)의 딸이다. 정두경(鄭斗卿)의 문인으로, 김득신(金得臣)·홍석기(洪錫箕) 등과 교유하였다.
1675년(숙종 1) 진사시에 합격, 부사정·참봉 등을 지냈다.
1680년 부사정으로서 허견(許堅)의 사건에 연루되어 간원(諫院)의 탄핵을 받고 유배, 1682년에 풀려났다.
1707년 그가 편찬한 《동국역대총목 東國歷代總目》이 참람되고 권문에 의탁한다는 등의 죄목으로 지평 김시환(金始煥)에 의하여 논계(論啓)되었으나, 최석정(崔錫鼎)의 신구(伸救)로 모면된 뒤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그는 문한(文翰)의 집안에 태어나 문재가 있었는 데다가 벼슬을 버리고 학문과 문장에 뜻을 두어 역사·지리·설화·가요(歌謠)·시 등의 저술에 전념하였다. 특히, 시평(詩評)에 있어서는 소년기부터 노년까지 깊은 연구를 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한, 장생술을 찾다가 도교에 심취되기도 하였다.
편서로는 《해동이적 海東異蹟》·《소화시평 小華詩評》·《순오지 旬五志》·《시평보유 詩評補遺》·《동국역대총목》·《증보역대총목》·《시화총림 詩話叢林》·《동국악보 東國樂譜》·《명엽지해 蓂葉志諧》·《동국지지략 東國地志略》 등 10종이 있다.
▣ 김윤만 -
▣ 김주회 - 잘 보았습니다. 편서가 대단하네요. 내용중에 최석정은 최유경의 후손이며 최명길의 손자로 1708년 송천서원 건립을 주관하였고 배향 7현의 향축문도 찬하였으며, 후에 명곡 최석정 선생도 송천서원에 배향되었습니다.
▣ 김윤식 -
▣ 솔내영환 - 최유경----최석정--최명길 이렇게 후손이군요. 주회씨 감사..
▣ 솔내영환 - 최유경....최명길...최석정... 수정..
▣ 김은회 -
1643(인조 21)∼1725(영조 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시평가(詩評家).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우해(宇海), 호는 현묵자(玄默子)·몽헌(夢軒)·장주(長洲).
아버지는 영천군수(榮川郡守) 세주(世柱)이며, 어머니는 참판 정광경(鄭廣敬)의 딸이다. 정두경(鄭斗卿)의 문인으로, 김득신(金得臣)·홍석기(洪錫箕) 등과 교유하였다.
1675년(숙종 1) 진사시에 합격, 부사정·참봉 등을 지냈다.
1680년 부사정으로서 허견(許堅)의 사건에 연루되어 간원(諫院)의 탄핵을 받고 유배, 1682년에 풀려났다.
1707년 그가 편찬한 《동국역대총목 東國歷代總目》이 참람되고 권문에 의탁한다는 등의 죄목으로 지평 김시환(金始煥)에 의하여 논계(論啓)되었으나, 최석정(崔錫鼎)의 신구(伸救)로 모면된 뒤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그는 문한(文翰)의 집안에 태어나 문재가 있었는 데다가 벼슬을 버리고 학문과 문장에 뜻을 두어 역사·지리·설화·가요(歌謠)·시 등의 저술에 전념하였다. 특히, 시평(詩評)에 있어서는 소년기부터 노년까지 깊은 연구를 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한, 장생술을 찾다가 도교에 심취되기도 하였다.
편서로는 《해동이적 海東異蹟》·《소화시평 小華詩評》·《순오지 旬五志》·《시평보유 詩評補遺》·《동국역대총목》·《증보역대총목》·《시화총림 詩話叢林》·《동국악보 東國樂譜》·《명엽지해 蓂葉志諧》·《동국지지략 東國地志略》 등 10종이 있다.
▣ 김윤만 -
▣ 김주회 - 잘 보았습니다. 편서가 대단하네요. 내용중에 최석정은 최유경의 후손이며 최명길의 손자로 1708년 송천서원 건립을 주관하였고 배향 7현의 향축문도 찬하였으며, 후에 명곡 최석정 선생도 송천서원에 배향되었습니다.
▣ 김윤식 -
▣ 솔내영환 - 최유경----최석정--최명길 이렇게 후손이군요. 주회씨 감사..
▣ 솔내영환 - 최유경....최명길...최석정... 수정..
▣ 김은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