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회 대부님 보세요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03-03-26 06:17 조회1,595회 댓글0건본문
방목류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데에다 그나마 전하지 않는 것도 있어서 어려움이 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방목을 살펴보려다 준비를 단단히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검색해 보니 잡과방목에 대한 다음 자료가 있습니다.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혹 아직 못 보셨으면 참고하시라고 적습니다. 저도 어떻게든 시간을 내서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朝鮮時代雜科合格者總覽>
표제/저작사항 朝鮮時代雜科合格者總覽 : 雜科榜目의 電算化 / 李成茂 ; 崔珍玉 ; 金喜福 [共]編 ; [韓國精神文化硏究院]歷史硏究室 編輯
발행사항 城南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총서사항 古典資料叢書 ; 90-5
형태사항 693p. ; 28x39cm
총서사항 古典資料叢書 ; 90-5
주기사항 권말附錄으로 "標題試驗名", "試驗官", "系譜圖" 수록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 350.48 듀이십진분류법 -> 350.2
청구기호 350.48-한613ㅈ=2
자료있는곳 서고자료신청대
<목차>
序文
凡例
目次
朝鮮時代 雜科設行과 入格者 分析 / 崔珍玉
Ⅰ. 科別 年代順 雜科合格者 = 1
譯科 = 2
醫科 = 96
雲科 = 146
律科 = 174
籌學 = 198
Ⅱ. 科別 本貫姓氏別 雜科合格者 = 251
譯科 = 252
醫科 = 276
雲科 = 288
律科 = 295
籌學 = 301
Ⅲ. 全體 本貫姓氏別 雜科合格者 = 315
Ⅳ. 가나다 順 雜科合格者 = 377
附錄
標題試驗名 = 625
試驗官 = 628
系譜圖 = 635
▣ 김주회 - 윤식 종친님! 감사합니다. 저는 처음 보는 자료입니다. 지금까지 문과, 무과, 사마방목은 생각해 봤어도 잡과방목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앞으로는 잡과방목 공부하러 <국중도=국립중앙도서관>나 <정문연=정신문화연구원>에 많은 발걸음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윤식 형님! 오늘은 우리 홈페이지가 용광로처럼 펄펄 끓어서 이렇게 간단한 리플달기도 힘이 듭니다. 참으로 대단한 하루입니다. 매일 이러면 지치겠지요.
▣ 김재원 - 윤식님 반갑습니다.자주홈에 들르지 못해서 송구합니다. 컴네꺼 사이트주소( com.ne.kr), 코리아 사이트주소 ( korea.com ), 입니다.
▣ 솔내영환 - 복사본이라도 구해서 자료화 해야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은회 -
▣ 김재이 -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