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위창오세창과 1981<근묵>上下권, 1995<근묵>仁권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4-01 23:02 조회1,657회 댓글0건본문
위창오세창과 1981<근묵>上下권, 1995<근묵>仁권
●위창 오세창의 [槿墨]
1943년 [槿墨]에 제자 및 낙관편 편집 (1981년 간행)
[槿域書彙]와 [槿域畵彙]에 들지 않았던 나머지 글씨와 그림은 1943년에 [槿墨]으로 따로 묶어 본인이 끝까지 간수하고 있다가 유족에게 물려주었는데, 그의 후손이 1964년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기증, 1981년 성균관대 박물관에 의해서 상,하 2책으로 출판되었으며, 1995년 이를 다시 한지에 仁,義,禮,智,信 권으로 나누어 출판할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仁권만이 再版되었다.
이 [근묵]은 [근역서휘],[근역화휘]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작품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서,화휘 속편의 성격을 띠고 있다.
자신이 1943년 續帖에 <근묵>이라고 표제를 쓰고 제자 밑에 八十葦라고 落款하여 소중히 보관하다가 유족에게 물려주었으나 1964년 성균관대학에 기증되어 1981년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서 상,하 2권으로 영인 출판하였고 원래의 서첩은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근묵]은 당대 최고의 감식안을 가진 위창의 안목에 의해 걸러진 작품들로 원래 서예작품으로 의도되어진 것만 수록된 것은 아니어서 사대부뿐만아니라 각 게층의 다양한 서체를 볼 수 있으며, 서간을 비롯한 각 지역의 글씨를 총망라하였기 때문에 한국서예사의 흐름과 서체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1) 1981년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서 상,하 2권으로 영인 출판하였고 원래의 서첩은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소장
---1981년 출판
근묵 상권에는 김주, 김제갑, 김수, 김확, 김시양, 김응하, 김소 필적이 있음
근묵 하권에는 김구만 필적 확인
---김항용
<근묵>(1981. 성균관대간. 1125P)도 상하(부록 상하) 모두를 2일간에 걸쳐 복사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2부를 작성하여 1부는 저와 우리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시고 한문 서적의 해독과 번역을 해 주시는 제주의 익수 현종님께 드렸습니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4권 737 김수(1547-1615)의 글씨 <근묵>에서
4권 760 김시양의 글씨 <근묵>에서
김확 글씨 <근묵>에서
2) 1995년 이를 다시 한지에 仁,義,禮,智,信 권으로 나누어 출판할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仁권만이 再版
---1995년 출판
근묵(仁)에는 김주, 김제갑, 김수 필적을 확인
앞으로 발간한다고 하는 근묵(義), 근묵(禮), 근묵(知), 근묵(信) 편이 속히 발간되기를 기대
●槿墨(仁) (995,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안렴)金澍 중종7년-명종18년 (1512-1563)
안동인 자應霖 호寓菴 서간,묵,초서 (30&34.5cm)
(제학)金悌甲 중종20-선조25 (1525-1592)
안동인 자順初 호毅齋의재 서간(공문), 묵, 행서(33.5*11.5cm)
(서운)金目+卒 중종32-광해군7 (1537-1615)
안동인 자子昴 호夢村 시,묵,해서(26*37cm)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