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조소개--金場
*파종회장 :
*연 락 처 :
<분파 소개>
중시조 충렬공(方慶) 현손(玄孫)代에서 21파로 분파되어 그 중 15파가 현존하고 있다. 그 중에서 문숙공(文肅公-永暾)의 손자인 익달(益達)의 제학공파(提學公派), 정간공(貞簡公-永煦)의 손자 사렴(士廉)의 안렴사파(安廉使派), 사형(士衡)의 익원공파(翼元公派)가 안동김씨 인구의 60-70%를 차지하며 통칭 <提安翼 3派>라 부른다. 이밖에 군사공파(郡事公派-七陽), 문온공파(文溫公派-九容), 도평의공파(都評議公派-九鼎) 등 3파가 그에 버금 간다. 그 파계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忠
烈
公
方
慶
|
判書公
小宣
|
都僉議公 資
|
|
|
大提學公
承用
|
評理公 厚
|
密直司使公
七祐 (100여명)
(밀직사사공 칠우)- 이북,경기도일원
|
開城尹公
七霖 (100여명)
(개성윤공
칠림)-이북, 경기도
일원
|
郡事公
七陽 (1만여명)
(군사공
칠양)-전남 강진,경기
파주
|
掌令公 玖
|
典書公
成牧 (1만여명)
(전서공
성목)-충남
전의(조치원)
|
副使公
天順 (1만여명)
(부사공
천순)-이북, 강원 철원,전북
순창
|
良簡公 承澤
|
平章事公
昻
|
文溫公
九容 (6만여명)
(문온공
구용)-경기 포천,충북 음성,전북 정읍.경북
포항
|
知製敎公
齊顔
(지제교공
제안)
|
安靖公
九德 (100여명)
(안정공
구덕)-충남 공주
정안
|
郞將公 冕
|
都評議公
九鼎 (6만여명)
(도평의공
구정)-경북 의성,
대구
|
尙書公 承祐
|
左尹公
之衍
|
縣監公
潤
(현감공
윤)
|
都僉議公
之瑞
|
大護軍公
儒 (3만여명)
(대호군공
유)-전남 함평,
보성
|
都僉議公 小斤
|
判官公 承固
|
|
|
文英公
恂
|
文肅公 永暾
|
上洛伯公
縝
|
提學公
益達 (10만여명)
(제학공
익달)-충북 괴산, 충남 천원, 경북 성주,밀양, 거창,
대구
|
尙書公 永暉
|
書雲正公
荇
|
判三司公
場 (90여명)
(판삼사공
장)-경기 부천 일원
|
慈恩師 思順
|
|
|
貞簡公 永煦
|
領三司公
貳
|
判事公
士謙
(판사공
사겸)
|
按廉使公
士廉 (9만여명)
(안렴사공
사렴)-충북 오창,증평,
괴산,진천
|
忠康公 士安
(충강공
사안)
|
翼元公
士衡 (20만여명)
(익원공
사형)-경기 용인,충북 청원 강내,충남 부여,경북 안동 영주,경남 의령
산청, 전북 고창
|
掌令公 長
|
書雲觀正公
綏 (2만여명)
(서운관정공 수)-서울,경기 광주
초월,부천
|
司事公
小侖
|
永照
|
|
|
大將軍公
永曜
|
檢校公 杏
|
判書公
吉
(판서공
길)
|
正儀公
哲 (2천여명)
(정의공
철)-경북 예천 봉화 안동,
서울
|
摠郞公 松
|
|
中郞將公
栢
|
兵使公
達
(병사공
달)
|
惇
|
永諱
|
|
|
* 맨 우측의 짙은 글자의 종파가 현존하고 있는 15개 분파임.
* 파명 옆의 ( )의 인원은 2001년 8월 현재, 추정 인원임.
* -표는 해당 파 종인들의 주 거주지임.
판삼사공(判三司公) 파계도(2002. 10. 3. 정보미님 제공)
시조,충렬공,파조
11世
5世
1世
|
12世
6世
2世
|
13世
7世
3世
|
14世
8世
4世
|
15世
9世
5世
|
16世
10世
6世
|
17世
11世
7世
|
18世
12世
8世
|
19世
13世
9世
|
20世
14世
10世
|
21世
15世
11世
|
22世
16世
12世
|
23世
17世
13世
|
장(場)
判三司公
|
일(鎰)書雲
觀副正公
|
|
|
|
|
|
|
|
|
|
|
|
|
전 (鈿)
贊成事公
|
봉(奉)
進士公
|
맹종
(孟宗)
進士公
|
처지
(處智)
進士公
|
한노
(漢老)
牧使公
|
학(鶴)
|
|
|
|
|
|
|
|
|
|
|
|
|
곤(곤)
|
|
|
|
|
|
|
|
|
|
|
|
|
단(亶+鳥)
持平公
|
효충
(孝忠)
承旨公
|
승세
(承世)
參判公
|
질
(老+至)
|
하명
(夏鳴)
|
영(泳)
|
상래
(尙來)
|
|
|
|
|
|
|
|
|
|
|
|
연(淵)
|
명래
(命來)
|
|
|
|
|
|
|
|
|
|
|
|
|
응래
(應來)
|
|
|
|
|
|
|
|
|
|
|
|
|
창래
(昌來)
|
|
|
|
|
|
|
|
|
|
|
|
호(灝)
|
봉래
(鳳來)
|
|
|
|
|
|
|
|
|
|
|
|
|
형래
(亨來)
|
|
|
|
|
|
|
|
|
|
|
|
|
극래
(剋來)
|
|
|
|
|
|
|
|
|
|
|
하성
(夏聲)
|
택(澤)
|
양래
(陽來)
|
|
|
|
|
|
|
|
|
|
|
|
홍(鴻)
進士公
|
진래
(晋來)
軍資監正公
|
|
|
|
|
|
|
|
|
|
|
|
|
노래
(魯來)
|
|
|
|
|
|
|
|
|
|
규(奎)
僉樞公
|
하주
(夏疇)
|
형(泂)
|
의래
(義來)
|
|
|
|
|
|
|
|
|
|
소(塑)
同樞公
|
하구
(夏九)
|
흡
(물수+翕)
|
익래
(益來)
|
|
|
|
|
|
|
|
|
|
|
|
|
복래
(復來)
|
|
|
|
|
|
|
|
|
|
|
|
|
각래
(覺來)
|
|
|
|
|
|
|
|
|
|
|
|
난
(물수+奕)
|
약래
(若來)
|
|
|
|
|
|
|
|
|
|
|
|
|
적래
(迪來)
|
|
|
|
|
|
|
|
|
|
|
|
섭(涉)
|
빈래
(빈來)
|
|
|
|
|
|
|
|
|
|
|
|
|
훈래
(薰來)
|
|
|
|
|
|
|
|
|
|
|
|
|
유래
(有來)
|
|
|
|
|
|
|
|
|
|
|
|
|
학래
(學來)
|
|
|
|
|
|
|
|
|
|
|
하범
(夏範)
|
운
(물수+運)
|
대래
(大來)
|
|
|
|
|
|
|
|
|
|
|
|
|
제래
(濟來)
|
|
|
|
|
|
|
|
|
|
|
|
원
(물수+遠)
|
일래
(一來)
|
|
|
|
|
|
|
|
|
|
|
|
|
백래
(百來)
|
|
|
|
|
|
|
|
|
|
|
|
|
억래
(億來)
|
|
|
|
|
|
|
|
|
|
|
|
선
(물수+選)
|
갑래
(甲來)
|
|
|
|
|
|
|
|
|
|
|
|
|
을래
(乙來)
|
|
|
|
|
|
|
|
|
|
|
|
|
경래
(慶來)
|
|
|
|
|
|
|
|
|
|
|
|
근
(물수+近)
|
좌래
(左來)
|
|
|
|
|
|
|
|
|
|
|
|
준
(물수+遵)
|
인래
(麟來)
|
|
|
|
|
|
|
|
|
|
|
하일
(夏一)
|
준(浚)
通政公
|
태래
(泰來)
|
|
|
|
|
|
|
|
|
|
|
|
|
채래
(采來)
|
|
|
|
|
|
|
|
|
|
|
|
은
(물수+殷)
|
태래
(泰來)
|
|
|
|
|
|
|
|
|
|
|
|
|
석래
(碩來)
|
|
|
|
|
|
|
|
|
|
|
|
|
순래
(順來)
|
|
|
|
|
|
|
|
|
|
|
|
|
현래
(顯來)
|
|
|
|
|
|
|
|
|
|
|
|
돈
(물수+敦)
|
필래
(弼來)
|
|
|
|
|
|
|
|
|
|
|
|
|
승래
(承來)
|
|
|
|
|
|
|
|
|
|
|
|
|
상래
(相來)
|
|
|
|
|
|
|
|
|
|
|
하우
(夏羽)
|
렬
(冽)
|
칠래
(七來)
|
|
|
|
|
|
|
|
|
|
|
|
|
오래
(五來)
|
|
|
|
|
|
|
|
|
|
|
|
|
삼래
(三來)
|
|
|
|
|
|
|
관(관)
將軍公
|
광원
(光遠)
|
승세
(承世)
|
|
|
|
|
|
|
|
|
|
|
|
|
기세
(起世)
|
중(重)
護軍公
|
두망
(斗望)
|
윤하
(潤河)
|
|
|
|
|
|
|
|
|
|
|
|
|
윤택
(潤澤)
|
|
|
|
|
|
|
|
|
|
|
|
|
윤위
(潤渭)
|
도소
(道素)
|
|
|
|
|
|
|
|
|
|
|
|
윤해
(潤海)
|
|
|
|
|
|
|
|
|
|
|
|
시망
(時望)
|
|
|
|
|
|
|
|
|
|
|
|
|
익망
(益望)
|
|
|
|
|
|
|
|
|
|
|
|
리(釐)
|
수망
(壽望)
|
|
|
|
|
|
말종
(末宗)
進士公
|
|
|
|
|
|
|
|
|
|
<주요 자료 모음집>
1. 찬성사공(贊成事公) 김전 기록내용 - 高麗 靖節臣 金鈿 (2005. 5. 17. 명회(익) 제공)
金鈿은 判三司公 場의 아들로서 號는 自逋翁이며 安東人이다. 官은 영동정(令同正)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正二品)이다. 고려가 망함에 망복(罔僕)의 뜻을 굳게 지켜 큰 형님 부정 일(副正 鎰)을 모시고 뜻을 같이하는 제현과 함께 서쪽 벽란진(碧瀾津)을 건너서 수양산 서쪽 삼곡리 해추마을에 은거하여 스스로 그 절의를 지켰다.
선생이 은거하자 처음에 마을 이름을 자포동(自逋洞)이라 하고 또 선생의 호로 삼으니 이는 세상에서 숨어 살고자 한 뜻에서 나온 것이다. 마을 뒤에 우뚝 솟은 봉우리가 있어 항상 이 산에 올라가 개성 송악산을 돌아 나오는 구름을 바라보며 고국을 사모하는 슬픈 뜻을 새겨 그 봉우리를 고려봉(顧麗峰)이라 이름 붙이니 이는 전 임금을 잊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선생의 그 청고(淸高)한 지절(志節)이 지금도 전송(傳誦)되고 있으며 유허비가 있다. 뒤에 두문동서원에 배향 하였다
출전 : <杜門洞書院誌>, <조선왕조실록 권28 32 35>, 成仁錄
공의 생졸 년은 미상이다. 유허비는 북한 개성에 있는 듯 한데 확인할 수가 없다
*아직 준비중입니다.
*판삼사공파 여러분께서는 다음의 내용을 준비하시어 관리자 이메일로 조속히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다 음
1.설립일시 :
2.사무실 및 연락처
1)사무실 : 주소 : 전화 :
2)회장 : 주소 : 전화 :
3)총무 : 주소 : 전화 :
3.문중회 소개
1)파조이신 ○○ 이하 후손들의 문중회이다.
2)관리 또는 향사하고 있는 묘소 및 설단위 :
3)주요 향사일 및 장소 :
4.연혁 : 연도별로 주요 활동내용 기록
5.회칙(정관)
6.임원명단
1)역대 임원명단(회장 중심)
2)현 임원명단
7.파 문중회내 주요 조상님 소개.
8.파 문중회내 주요 자료 소개
예) 묘소, 사당, 문헌, 교지, 유물, 역사 유적지, 신도비 등 사진을 스캔에 떠서(PC방 이용) JPG파일로 저장하여 보내며, 사진 설명을 곁들여 보냄.
9.파내 기타 소파 문중회 소개
<주의사항>
*모든 내용은 컴퓨터의 아래한글로 작성하여 보냅니다.
*사진은 위 7번 8번항에서 설명하여 작성하고, 스캔으로 떠서 저장한 사진은 따로 입력하여 보내야 함.
*보낼 곳
1)이메일 주소 : khy5278@chollia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