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제목을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파종회 설립일시

 2. 사무실 및 연락처

 3. 문중회 소개

 4. 문중회 연혁

 5. 회칙

 6. 임원명단

 7. 주요 조상님 소개

 8. 주요 자료 소개

 9. 파계도

10. 기타 사진 소개

11. 02년 시제 참배기

12. 07년 시제참배기

 

 

1. 파종회 설립일시 : 1977. 5. 3.

 

 

 

 

 

 

2. 사무실 및 연락처

 

 

 

 

 

3. 문중회 소개

 

  1) 파조이신 밀직사사공 이하 후손들의 문중회이다

  2) 관리또는 향사하고 있는 설단위

     (1) 밀직사사공 단묘(경기도 포천군 일동면 사직리 27번지)

  3) 주요 향사일 및 장소

     (1) 향사일 : 매년 양력 11월 첫째 일요일

     (2) 장소 :  경기도 포천군 일동면 사직리 27번지    

 

 

 

 

 

 

 

 

 

4. 문중회 연혁

 

  1) 1977. 5. 3.   파종회 설립

  2) 1987. 11. 8.  設壇 告由祭

 

 

 

 

 

 

 

 

 

 

5. 회칙(정관)

 

安東金氏 密直司事公派宗會 定款

 

第 一 章   總  則


 

第 1 條 (명칭) 본회는 安東金氏密直司社公派宗會라 稱한다.

第 2 條 (회원자격) 본회의 임원은 安東金氏密直司社公의 후손으로 한다.

           다만 의결권의 행사는 成年者에 한한다.

第 3 條 (목적) 본회는 회원간의 相互親睦을 돈독히 하고 조상의 빛난 얼을 宣揚保全하며 자손의 崇祖思想을 鼓吹 앙양함으로써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第 4 條 (소재지) 본회 사무소는 서울특별시에 둔다.

 

第 二 章   事  業


 

第 5 條 (사업) 본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各號의 사업을 행한다.

     1. 선조의 墓所, 祭享, 位土의 관리보전 및 이에 隨伴된 사업

     2. 선조의 功勳에 관한 顯揚사업

     3. 族譜, 花樹錄, 先祖史記, 譜鑑, 會報, 文集, 文獻, 各種史料蒐集 및 연구등의 문화사업

     4. 회원간의 衷慶相問에 관한 사업

     5. 前各號의 사업의 경비를 調達하기 위한 수익사업

 

第 三 章  任  員


 

第 6 條 (임원) 본회에 다음 임원을 둔다.

     1. 고  문    약간명

     2. 회  장    1 人

     3. 부회장    1 人

     4. 총  무    1 人

     5. 감  사    1 人

第 7 條 (선출)

     1. 고문은 학식과 덕망이 높은 회원중에서 회장단이 추대한다.

     2. 회장, 부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3. 총무는 회장이 임명한다.

第 8 條 (직능)

     1. 고문은 會務에 관한 자문에 응한다.

     2. 회장은 본회를 대표하고 會務를 統轄하여 각급 회의에 의장이 된다.

     3. 부회장은 회장을 補佐하고 회장 有故시에 대리한다.

     4. 총무는 회장을 補佐하고 會務를 집행한다.

     5. 감사는 본회의 회계 및 업무에 대한 監査를하여 그 결과를 총회에 보고한다.

第 9 條 (임기)

     1. 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2. 補選에 의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殘任期間으로 한다.

     3. 임원의 任期가 만료된 경우에도 후임자가 선출될 때까지 그 임기는 연장된다.

 

第 四 章  總  會  


第 10 條 (총회)

     1. 본회에 총회를 두고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한다.

     2. 정기총회는 매년 4월중에 회장이 이를 소집한다.

     3. 임시총회는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또는 회원(세대주) 10인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회장이 이를 소집한다.

第 11 條 (소집방법)

     1. 총회를 소집하고저 할때는 7일전에 회의목적을 明示하여 회원(世代單位)에게 우편 또는 전화로 通知한다.

第 12 條 (기능)

     총회에서 다음 사항을 처리한다.

      1. 定款 改正에 관한 承認

      2. 任員 선출

      3. 사업계획에 관한 承認

      4. 예산 및 결산에 관한 承認

      5. 기타 주요사항

第 13 條 (定足數)

      1. 총회는 회원 10명 이상의 출석으로 개회하고 출석회원의 過半數 찬성으로 議決한다.

      2.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때는 의결권을 委任할 수 있다

          第 五 章  財  政

第 14 條 (재정)

      1. 본회의 운영비는 通常會費와 特別會費 및 贊助金으로 充當한다.

第 15 條

      1. 회원은 매년 통상회비를 본회에 납부하여야 한다.

      2. 통상회비의 금액은 世帶當 年 參萬원으로 한다.

第 16 條 (재산관리)

 

     1. 본회의 기본자산(宗山)은 국가정책상의 不可抗力的인 이유가 발생하지 아니한 이상 이를 賣渡, 贈與, 賃貸, 交換 및 擔保등 處分할 수 없다.

      2. 회원은 宗山 및 派祖의 設壇管理의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3. 宗山을 사용하고저 할때는 회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통상회비 미납원은 宗山을 사용할 수 없다.

      4. 宗山使用時 위치는 회장이 上端으로부터 順序的으로 指定하며 규모는 一般公圓墓地에 準한다.

 

 

 

 

 

6. 임원명단

 

  1) 역대 임원명단

      -초대: 仲會(1977.5-1979.5)

      -2대 : 悳默(1979.5-1981.5)

      -3대 : 在沼(1981.5-1985.5)

      -4대 : 悳默(1985.5-2003)

      -5대 : 榮應(2004~2012)

      -6대 : 在英(2013~2017)

      -7대 : 在亨(2018~현재)

 

  2) 현 임원명단

      -총무이사: 在革

 

 

 

 

 

 

 

 

7. 파 문중회내 주요 조상님 소개

 

 가. 파조-밀직사사공(密直司事公. 휘 七祐) (2009. 3. 1. 항용(제) 제공)

생몰년 미상.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역임. 묘소는 미상이며 단묘를 경기도 포천군 일동면 사직2리 산 27번지에 조성하고 매년 11월 첫째 일요일에 시제를 올림.

  1) 경진보(庚辰譜. 1580년 간. 최초의 안동김씨 족보) 기록 내용

    가. 세계 기록 : 충렬공(휘 方慶)-선(愃)-승용(承用)-후(厚)-칠우(七祐)

     나. 내용 : 휘(諱) '칠우(七祐)'만 있을 뿐 아무런 기록 내용이 없음.

  2) 기미보(己未譜. 1979년 간. 안동김씨 대동보) 기록 내용

    가. 세계 기록 : 상기 경진보와 동일

    나. 내용 : 휘(諱) 옆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使)’란 관직명만 기록 되어 있음.

  3) 안동김씨 세계 연감(安東金氏 世系 年鑑. 1983년 간. 안동김씨 대종회. 53p) 기록 내용

      충렬공의 현손(玄孫)이고 평리공(評理公-諱 厚)의 장자(長子)이시며 벼슬이 판밀직사사(判密直司使)이다.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자료 조사  (출처 : 국사대사전. 1988. 유홍렬 감수. 교육도서 간)

    (우리 족보의 모든 기록인 判密直司使는 判密直司事의 오기임)

: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의 으뜸 벼슬. 1275년(충렬왕1)에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로 고쳤다가 다시 1362년 본 이름으로 고쳤다. 종1품.

 *밀직사(密直司) : 고려시대 관부(官府)로서 1275년 (충렬왕1) 이전의 추밀원(樞密院)을 고친 이름. 왕명의 출납, 궁중의 숙위(宿衛), 군기(軍機) 등에 관한 정무를 맡아 보던 곳. 이의 명칭은 여러 번 바뀌었다.

 

 (준비중)  

 

 

 

 

8. 파 문중회내 주요 자료 소개

 

         (준비중)

 

 

 

 

 

 

 

 

 

 

 

 

 

 

9. 파계도

 

          <밀직사사공(密直司事公)파계도>(2002. 8. 27. 정보미(실명 미상) 제공)

 

11世 5世 1世

12世 6世 2世  

13世 7世 3世

14世 8世 4世

15世 9世 5世

 칠우(七祐)

 密直司事公

 천검(天儉)

 江華留守公

 여장(汝樟)

 通德郞公      

 윤뢰(胤雷)

 府使公 

귀달(貴達)

通德郞公  ==>1

              

   

 

 윤의(胤儀)

    監察公

 귀달(貴達)

 通德郞公

   

          

 

 

 귀인(貴寅)

通德郞公  ==>2

 

 

 

 윤진(胤震)

  通德郞公

 명원(命元)

 通德郞公 ==>3

 

         

 

    

 종원(宗元)

 通德郞公 ==>4

 

 

 여회(汝檜)

   府使公

 신(信) 

 通德郞公

 부좌(副佐)

 

 

 

 

 식(人+式)

처우(處佑) 

               ==>5

 

 

 

 견(人+見)

   府使公

 민기(敏起)

 通德郞公 ==>6

 

 

 여계(汝계)

 通德郞公

 언수(彦壽)

 通德郞公

 구선(九善)
             
  ==>7

 

 

 여백(汝柏)

 通德郞公

 철(哲) 

 通德郞公

 종지(宗枝)
              
==>8

 

 

 

여필(汝弼)

  判書公

 양중(養仲)

 成均直講公

갱수(金+堅壽)兵曹正郞公  ==>9

16世10世6世

17世11世7世

18世12世8世

19世13世9世

20世14世10世

==>1

중남(仲南)

 수동(秀東)

 경호(景灝)

 당언(唐彦)

 인한(仁漢)

 

 

 

 

 인옥(仁玉)

 

 

 

 

 인준(仁俊)

 

 

 

 

 인례(仁禮)

 

 

 민(敏)

 일취(日就)

 

 

 

                    

 일귀(日晷)

==>2

한동(漢東)

 

 

 

 

==>3

윤수(允秀) 

 

 

 

        

==>4

용(龍)

 

 

 

 

==>5

체공(體公)

 

 

 

 

==>6

암회(巖回)

 

 

 

 

==>7

천의(千義)

 

 

 

 

==>8 

귀공(貴孔)

 

 

 

 

==>9순효

 (蕣孝)文科

 인(璘)  

 生員公

 경복(景福)

 광조(光祖)

 식(湜)

 

 

 

 인조(仁祖)

 식(湜)

 

 

 

 

 송(松)      

 禦侮將軍

 

 

 

 

 엽(葉)      

 通德郞公

 

 

 

 

  종(宗)      

 通德郞公

 

 위(瑋)     

 參奉公

 경복(景福)

 

 

 

 

 경록(景祿)

   參奉公

응렬(應烈)

 副司果公

 대현(大賢)

通德郞公

 

 

 

 

 대원(大元)

通德郞公

 

 

 

 

 대남(大南)

 通德郞公

 

 

 

 응서(應瑞)

  通德郞公

 대형(大亨)

 通德郞公

 

 

 

 

 대건(大建)

 通德郞公

 

 

 

 

 대립(大立)

 通德郞公

 

 

 

 응인(應仁)

  通德郞公 

 

 

 

 

 응린(應麟)

     武科

 대영(大盈)

 

 

 

 

 대선(大善)

 

 

 

  응기(應麒)

   通德郞公

 대동(大洞)

 

 

 

 

 응호(應虎)

 대해(大海)

 

 

 

 

  대진(大振)

 

 

 

 

 대학(大學)

 

 

 

 응란(應鸞)

  通德郞公

 대성(大成)

 

 

 

 

 대홍(大弘)

 

 

 

 

 대기(大器)

 

 

 

 

 대명(大明)

 

 

 

 응신(應信)

  通德郞公

 

 

 응천(應天)

 嘉善大夫公

 대근(大斤)

 通德郞公

 

 

 

 

 대길(大吉)

 通德郞公

 

 

 

 

 대일(大鎰)

 通德郞公

 

 

 

 

 대병(大柄)

 通德郞公

 

 

 

 

 대신(大信)

  通德郞公

 

 

 

 

 대증(大證)

  通德郞公

 

 

 

 

 대중(大重)

  通德郞公

 

당(王+當)   

 通德郞公

 경상(景祥)

 通德郞公

 

 

 

 

 경례(景禮)

  通德郞公

 

 

 

 

 경정(景禎)

  通德郞公

 해(海)

 극선(剋善)

 

 

 

 

 제(濟)

 극호(剋瑚)

 

 

 

 

  극연(剋璉)

 

 

 

 사(泗)

 극감(剋鑑)

 

 

 

 

 극형(剋珩)

 

 

 

 

 극진(剋珍)

 

 담(王+炎)  

 通德郞公

 경유(景裕)

 通德郞公

  징(澄)

 

 

 

 

 하(河) 

 

 

 

 경우(景祐)

 通德郞公 

 

 

 

 영(瑛)       

 從仕郞公

 경지(景祉)

  通德郞公

 광국(光國)

 

 

 

 

 윤국(允國) 

 진길(振吉)

 

 

 경희(景禧)

  通德郞公

 

 

 

 

 경기(景祺)

  通德郞公

 의국(義國)

 

 

 

 경지(景祉)

  將仕郞公

 광후(光厚)

  通德郞公

 희인(希仁)

 

 

 

 

 희성(希成)

  副司果公

 

 

 

 

 계성(繼成)

  通德郞公

 

 

경진(景示+眞)都事公

 광확(光確)

通德郞公

 태정(泰鼎)

副護軍公

 

 

 

 

 상정(象鼎)

    參奉公

 

 

 

 광호(光石+豪) 

     僉使公

 준정(俊鼎)

 通德郞公

 

 

 

 광여(光礪)

  宣傳官公

 구정(九鼎)   

  通德郞公

 

 

 

 

 원정(元鼎)

  通德郞公

 

 

 

 

 여정(汝鼎)

  通德郞公

 

 

 

 

  태정(台鼎)

  通德郞公

 

 

 

 

  우정(禹鼎)

  通德郞公

 

 

 

 

 이정(爾鼎)

  通德郞公

 

 

 

 

 원선(元善)

  通德郞公

 

 

 

 

 원현(元賢)

  通德郞公

 

 

 

 

 원방(元方)

  通德郞公

 

 

 

10. <기타 사진 소개>

 

   

  

<金悰默님(파종회장의 형님)의 시집들>              <金悳默님(파종회장)의 문학 서적>  

 

<金兩默님(파종회장님의 아우)의 북한 고향 방문기>

 

 

 

 

 

11.  <밀직사공 시제 참례기>(2002. 11. 3. 항용(제) 제공)  

 

 

2002년 11. 3일 오랜만에 아침 늦잠을 자다가 8:30에야 일어났다.  며칠 전 발용님(군)께 약속을 드렸던 돈자 할아버지의 최종직을 확인하기 위한 조선왕조실록 번역본 CD를 정리하고 있었다. 09:20분, 발용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오늘이 밀직사사공(휘 七佑) 할아버지의 시제일이란다. 급히 연락을 받아 전한다는 다급한 목소리다. 느긋한 일요일의 아침 여유가 갑자기 5분대기조의 비상 훈련으로 바뀌었다.  전방 소대장으로 숙달된 움직임은 23년이 지났건만 아직 재빠르다. 09:45분 집을 나선다. 택시를 타고 상일역으로 나갔다. 10:05분 발용 님은 미리 기다리고 계셨다. 발용님 차를 타고 쏜살같이 포천군으로 향했다. 가는 도중 시행착오로 올림픽 도로를 되도는 부분 일주를 하 기도 했다. 그러나 마음은 이내 기쁘다. 새로운 분들을 만난다는 기쁨과 전령사처럼 달려가는 신선함에 나도 모를 힘이 솟는다.

 

그러나 예상했던 것과 같이 포천의 일동길은 우리를 쉽게 통과시켜주지 않았다. 열심히 달렸지만 11:40분쯤, 운악산 2Km 전방부터 심한 교통 체증에 꼼짝없이 갇히는 신세가 됐다. 밀직사공파 회장님(悳默)과 약속한 12:00시에 도착할 자신이 없는 우리는 전화를 걸어 현 위치를 알리고 약속한 시간 내 도착할 수 없음을 아뢰었다. 그런데 일동을 지나자 47번 도로는 갑자기 길이 뚫렸다. 6Km를 달리자 우측으로 비닐 하우스가 나타나고 <엄지 갈비> 음식점  가기 직전 <안변동산>이란 작은 푯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하여 비닐 하우스집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소로로 접어든다. 50m 쯤 들어가니 위령탑이 나타난다. 그 위령탑이 있는 언덕 직전에 좌측으로 꺾어지는 두 번 째 길로 들어가서 50m쯤 들어가니  차들이 여러 대 서 있다. 이곳이 포천군 일동면 사직2리 산 27번지이다. 1980년경 밀사공파에서 약 2만여 평의 산을 매입한 종산이라 한다. 여기 저기에 안동김씨의 묘소와 가묘들이 있었다. 뒷쪽 주산의 정기가 힘차게 내려 오고 좌우가 잘 가리워져 있었으며 전방의 안산들이 옹기종기 아름답게 벌여 있었다.

 

12:10분이었다. 차를 주차하고 잰걸음으로 뛰어 산으로 올라가니 벌써 제례가 시작되어 강신례가 진행되고 있었다. 약 12분 정도가 계셨 다. 간단한 인사를 올리고 유건 하나만 겨우 쓰고 시제에 참례했다. 음복례까지 경건하게 마치고 여러분들과 교례를 했다. 모두들 따뜻했 다. 예상 못했던 우리들의 출현에 충격과 놀라움의 눈빛이었다. 밀직사공 할아버지의 영단비문을 발용씨와 함께 낭독으로 읽어 내려갔다. 옆에서 젊은 듯한 어느 한 분이 글자 글자에 눈을 함께 맞춘다. 나중에 알고 보니 밀직사공파 종회장님(悳默)의 차자이신 재혁씨 (011-9075-9248, 02-414-6809)이시다.

 

홈페이지에 올려있던 시제일자와는 다른 날에 시제가 올려지고 있음을 알았다. 매년 11월 첫째 일요일이 시제일이란다. 회장님이신 덕묵 종친님께서는 10여 년 전부터 회장직을 계속 수행하고 계셨다. 파종회가 구성된 것은 대종회가 형성되던 1970년 경이라고 한다. 회장님의 형님이신 종묵(悰默)종친께서는 시,서,화에 능한 분이시라 한다. 수염이 길게 자란 님의 얼굴은 80 여세의 나이이지만 예술혼이 배어 있는 것 같았다. 종회님의 아드님이신 재언(在焉,:서울시 구로구 개봉동 한마음 아파트 거주. 6471-7488, 011-301-7488)님으로부터 부친의 詩集과 숙부(덕묵)의 자서전을 우송 받기로 약속했다.

 

남한에는 약 400여 명이 살고 있으며, 족보에는 약 1000여 명이 등재되어 있다고 한다. 북한 함경도 안변, 학포, 회양 지역에 약 300여 호 가 살고 있다고 한다. 전 단국대 교수요 법학박사인 김태륜종친께서 종사일에 큰 활동을 한 바 있다고 한다. 그리고 밀직사사공파의 종손 이요 현실적인 우리 안동김씨의 종손이신 분은 현재 북한의 함흥에 거주하고 있다고 하며 앞의 김태륜님이 그 종손의 가까운 일가분이시 라고 한다.

 

행사를 마치고 산아래 길 옆 마을로 내려와 <진흥식당>에 다시 모였다. 점심을 먹으며 우리 홈페이지의 발생과 과정, 안사연의 구성과 연혁을 간단히 소개하고 발용씨께서 준비해 오신 우리 홈의 초기화면을 복사한 전단을 나누어 주며 열심히 우리 홈을 소개했다. 잔뜩 굳어 있던 주위 분들의 시선이 차츰 따스해져 오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의 마음을 조금씩 이해하신 여러분께서 동감과 함께 충격의 솔직한 감정 표현을 해 오신다. 그런데 어느 한 분도 아직 우리 홈을 들어와 보신 분은 없다고 한다.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는 기분이다.

 

재혁씨와 추후 상호 연락하기로 하고 작별했다. 서울 오는 길은 개선장군의 기쁨이다. 오는 도중 이동 막걸리 한 병도 샀다. 이 기쁨을 함께 할 분과 마실 곡차다. 오는 도중 은회(익)님께 전화했다. 양재동에서 일요일인 오늘도 활동중이시다. 5시에는 다시 일산으로 가셔야 한단다. 영윤(문)님께 전화했다. 방금 한 결혼식장에서 영환대부님과 만났다가 헤어졌단다, 4시 넘어 하남시에서 만나기로 잠정 약속했다.

 

4시 30분쯤 하남시 <털보횟집>에 도착하여 맛나고 싼 광어회를 앞에 놓고 가져온 막걸리 한 잔으로 목을 축이고 술 한 잔 한다. 좀 있으니 영윤씨 내외 분이 오셨다. 큰 아드님이 이번에 수능시험을 친단다. 사모님은 우선 먼저 들어가셨다. 좋은 결과를 기원했다.

 

이때 음식점 서쪽 창문이 서녘 일몰 풍경을 담은 한 폭의 멋들어진 그림으로 그려져 간다. 깜짝 놀란 나에게 발용님은 매일 보는 일출과 일몰의 정경이라며 속세의 우리에게 선경의 하남 삶을 소개한다.

 

무한정 길어질 것 같은 놀람에 서둘러 자리를 파하자고 제안했다. 월요일이 기다리고 있었다. 다음엔 검단산에 오르기로 했다. 우선 겨울 에는 강화도에 충렬공할아버지 유허비 하나 세우는 것 잊지 말고 말이다. 집에 오니 밤 9시이다.

 

아, 오늘은 보람있는 날이었다. 발용님과 영윤님께 감사드린다.

 

                    <밀직사사공 초혼묘 비석>    

 

  

       <밀직사사공 초혼묘>                                     <밀직사사공 초혼묘 묘제 장면>

 

   

<밀직사사공 초혼묘 묘제 장면>                                  <밀직사사공 초혼묘 묘제 장면>

 

   

<밀직사사공 초혼묘 묘제후 기념촬영>

 

 

 

12. 2007년도 밀직사사공파 시제 봉행 (2007. 11.4. 발용(군) 제공)

 

일시 : 2007년 11월 04일(매년 양력 11월 첫째 일요일)

장소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사직리 선영

 

▲ 밀직사사공 설단 전경

 

▲ 밀직사사공 단비 전ㆍ후면 - 작고하신 전 대종회 부회장(안렴사공파) 윤회 서(書). 도평의공사 원영(元榮) 찬(撰)

 

밀직사사공파 시제가 2007년 11월 4일 포천시 일동면 사직리 선영에서 봉행되었습니다.

밀직사사공(휘 七祐) 선조님의 설단은 1987년 현 위치에 조성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밀직사사공 종인은 40여호로 100여명을 약간 상회한다고 합니다.

오늘 시제에는 20여분의 밀직사사공파 후손과 군사공파 년수 종친 그리고 발용이 참례하였습니다. 년수종친은 수년전부터 밀직사사공파 시제에 참여하신다고 합니다.

 

오늘 시제 분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헌 : 영응(밀직사사공파 회장)

아헌 : 년수(군사공파)

종헌 : 용선(묵항)

집례 ㆍ독축 : 재영

집사 : 재혁 ㆍ 진회

 

▲ 초헌관 영응 밀직사사공파 회장

 

▲ 독축 재영(밀직사사공파 총무)

 

 

 ▲ 아헌 년수(군사공파) 종친

 

▲ 종헌 용선 종친

 

 

 

 ▲ 정기총회 모습

 

 ▲ 시제에 참석한 어린 종친들

 

▲ 항상 수고해 주시는 며느님들.

 

 

12시부터 봉행된 시제는 1시경 마무리되었으며 곧 인근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점심 식사를 한 후에 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