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공신(功臣)소개 (11명)
1. 개국공신(開國功臣) 태조원년(1392) : 1등 金士衡(익) ***원종 金哲(정)
2. 정사공신(定社功臣) 정종원년(1398) : 1등 金士衡(익)
3. 좌익공신(左翼功臣) 세조원년(1455) : 3등 金 石質(익)
4. 좌리공신(佐理功臣) 성종 2년(1471) : 2등 金 石質(익), 3등 金壽寧(전)
5. 정국공신(靖國功臣) 중종원년(1506) : 2등 金壽童(익), 3등 金壽卿(익), 4등 金 石武(익) ***원종 金百勻(정)
6. 광국공신(光國功臣) 선조23년(1590) : 3등 金澍(안)
7. 호성공신(扈聖功臣) 선조37년(1604) : 3등 金龍(?군)
8. 선무공신(宣武功臣) 선조37년(1604) : 2등 金時敏(제) ***원종 金欽(익), 金益哲(익)
9. 정사공신(靖社功臣) 인조원년(1623) : 1등 金自點(後 追奪, 익), 3등 金鍊(익)
10. 진무공신(振武功臣) 인조 2년(1624) : 2등 金慶雲(문), 3등 金光 火肅(?군) ***원종 金自剛(익) 金涉(안)
11. 분무공신(奮武功臣) 영조 4년(1728) : 3등 金浹(부) ***원종 金天柱(안), 金天章(안), 金聲玉(안), 金聲秋(안), 金時達(안)
2)상신(相臣) 소개 (4명)
1. 사형(士衡,익) : 조선 태조, 좌의정
2. 질(石質, 익) : 조선 세조 , 좌의정
3. 수동(壽童, 익) : 조선 연산, 영의정
4. 자점(自點, 익) : 조선 인조, 영의정
3)역대 삼도수군 통제사 역임자 (10명)
김응해(金應海), 김적(金 책받침+易), 김세익(金世翊), 김중기(金重器), 김중원(金重元), 김흡(金 水+翕), 김집(金潗), 김광(金 洸), 김윤(金潤), 김영수(金永綬),
가)삼도 수군 통제사란 : 1593년 초대통제사-이순신, 2대-원균, 3대-이순신…1894년 208대통제사 홍남주에 이르기 까지 300년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3도의 수군을 지휘한 총사령관(종2품직)이다. 원래는 각 도의 수군절도사가 수군을 지휘하였으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수군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삼도수군통제사를 신설하고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을 임명한 것이 그 시초였다. 삼도수군통제영 예하에는 경상좌, 우수영과 전라좌, 우수영 그리고 충청도 수영등 5개 수영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각 수사(水使)는 정3품직이다.
나)역임자와 역임 기간
(1) 35대 김응해(金應海) 1646. 3. ~ 1648. 3. 만기.(副使公 孫)
(2) 43대 김 적(金 책받침+易) 1659. 8. ~ 1660. 1. 병으로 사임.(翼元公 10代孫)
(3) 63대 김세익(金世翊) 1685. 3. ~ 1686. 6. 병으로 사임.(應海의 孫)
(4) 71대 김중기(金重器) 1695. 8. ~ 1695. 11. 이인좌의 난으로 고난.(應河의 曾孫)
(5) 85대 김중원(金重元) 1711. 11. ~ 1713. 5. 전근.(應海의 曾孫)
(6) 92대 김중기(金重器) 1718. 9. ~ 1720. 1. 재임.(應河의 曾孫)
(7) 100대 김 흡(金 翕) 1727. 12. ~ 1729. 12. 만기.(世翊의 孫)
(8) 104대 김 집(金 潗) 1733. 6. ~ 1736. 4. 만기.(重元의 子)
(9) 106대 김 광(金 洸) 1737. 9. ~ ? (應海의 玄孫)
(10)116대 김 윤(金 潤) 1754. 3. ~ 1755. 2. 파직 (應海의 玄孫)
(11)140대 김영수(金永綬) 1786. 1. ~ 1786. 7. 순직 (郡事公 後孫)
*김중기선조님 은 1회 재임하셨기 때문에 10분이 통제사를 역임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