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간행내역

1. 년도별 발행 족보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족보명

간행년도

년 간

책 수

경진보(庚辰譜)

1580년(조선 선조 13년)


1책

기미보(己未譜)

1739년(조선 영조 15년)

159년후

9책

무술보(戊戌譜)

1778년(조선 정조 2년)

39년 후

20책

을유보(乙酉譜)

1825년(조선 순조 25년)

47년 후

30책

임인보(壬寅譜)

1902년(조선 고종 39년)

77년 후

31책

을해보(乙亥譜)

1935년

33년 후

28책

기미보(己未譜)

1979년

44년 후

10책

무오보(戊午譜)

1858년

 

16책

정묘보(丁卯譜)

1867년

 

 

을미보(乙未譜)

2015년

36년 후

11책

 

2. 대종회 소장 족보 대장 사진 일람표

3. 각 파별 파보 소개

4. 안동김씨 보감 소개

5. 기타

 

본문

p02.png 임인보(壬寅譜)

 

ankim02-10-5a.jpg

 

ankim02-10-5b.jpg

  (가) 출판년도 : 1902(고종 39)

 

  (나) 총책수 : 총18권 (21 × 31.5Cm)

대종회 소장 족보 : 권2.3-군사공파,  권4-전서공파,  권5-부사공파,  권6.7-대사성공파, 권8.9-도평의공파,  권10~12<1권합본>-제학공파, 판삼사공파, 권13.14-안렴사공파, 권15~20-익원공파, 권21-익원공파,서운관정공파

 

  (다) 임인보 서문(壬寅譜 序文)(2007. 2. 25. 태영(군) 제공)

무릇 족보(族譜)라는 것은 그 선세(先世)를 계승(繼承)하고 그 족속(族屬)을 서기(敍記)하는 것이다 우리 김씨(金氏)는 태보공(太輔公)을 시조(始祖)로 하고 충렬공(忠烈公)을 중시조(中始祖)로 해서 멀리 신라(新羅)와 고려(高麗)를 지나 조선(朝鮮)에 이르기까지 세대(世代)가 멀고 씨족(氏族)이 더욱 번성(繁盛)하여 명공석학(名公碩學)과 훈열문장(勳烈文章)이 찬란(燦爛)하고 쟁쟁하여 국사(國史)에 밝게 실려있는 것을 이루 다 기록할 수가 없다. 그 후에 자손(子孫)들이 별과 같이 팔도(八道)에 흩어져 살고 있어 각각 자기(自己)의 조상(祖上)을 그 현조(顯祖)로 하고 각각(各各) 그 족보(族譜)를 따로해서 올바른 계통(系統)이 있을 수 없드니 이것이 선조 경진(宣祖庚辰)년과 영조 기미(英祖己未)년 정조 무술(正祖戊戌)년과 순조 을유(純祖乙酉)년에 대보(大譜)를 만든 것이 이러한 까닭이다 그러나 그 역대(歷代) 연조(年條)가 대개 사실(事實)과 틀리는 것이 많았다. 정조 갑진(正祖甲辰=一七八四)년에 대안군 지문(大安君誌文)을 그 실전(失傳)했던 묘소(墓所)에서 발견(發見)하여 이에 대안군 휘 은열(大安君 諱殷說)이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第四子)임을 알게 되었고 그 밑으로 삼세(三世)가 시랑공(侍郞公) 태사공(太師公) 상락공(上洛公)으로 면면(綿綿)히 서로 이어왔음을 가히 상고(詳考)하여 의심(疑心)할 여지가 없고 또 그 년기(年紀)를 상고하고 그 세대(世代)를 계산하여본즉 태보공생년(太輔公生年) 을축년(乙丑年)으로부터 지금의 임인(壬寅)년에 이르기까지 一千八百三十八년이 되고 규묵(圭黙)은 태보공(太輔公)에서 五十八세(世)가 되니 一세(世)를 三十년으로 계산(計算)하면 대략(大略) 서로 부합(符合)되며 득현씨(得顯氏)의 무술보(戊戌譜) 변증(辨證)과 용백씨(用栢氏)의 정묘보(丁卯譜)의 발명(發明)이 각각 근거(根據)가 될 수 있음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이로 본다면 겨레가 비록 번성(蕃盛)해도 오히려 그 계촌(計寸)을 알수 있고 세대(世代)가 비록 멀어도 계대(繼代)를 알수 있으니 어찌 우리 김씨(金氏)의 다행(多幸)한 일이 아닌가.

 

옛사람이 이른바 “조심스럽게 그 아는바를 존중(尊重)하고 그 고증(考證)을 상세(詳細)히 해서 고증하기 어려운 것을 억지로 만들지 말라”고 말함이 거의 근사(近似)한 것이다.

 

지난 갑술(甲戌)년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 선필(善弼)씨가 이 보사(譜事)를 시작하였을 때 나는 젊은 나이로 교정역(校正役)에 참열(參列)하였더니 재력(財力)이 부족하여 완성(完成)치 못하고 오랫동안 한탄(恨嘆)하여 왔었다. 기해(己亥)년 가을에 서울의 제종(諸宗)들과 더불어 시작했으나 준공(竣工)하지 못하고 드디어 철수하고 목주(木州=現 木川)로 돌아가서 모.모 제공(某.某諸公)들과 그 역사(役事)를 주간(主幹)하고 그 사본(寫本)을 보충(補充)해서 二년이 지난 후에 완공(完工)을 보게되니 무릇 三十一권(券)이 되었다. 이에 선조(先祖)의 소목(昭穆)의 차례가 있게 되고 자손(子孫)의 항열(行列)이 귀일(歸一)하게 되니 비로소 같은 계통(系統)의 의의(意義)를 얻게 되었다.

 

족보(族譜)가 은성(殷盛)하게 이루어졌으니 서문(序文)이 없어서는 아니됨으로 삼가 그 사실(事實)을 위와 같이 서술(敍述)하노라.

 

세(歲) 임인 중추 하한(仲秋下澣)

충렬공 二十二세손 규묵(圭黙) 근서(謹序)

 

  <임인보 궐권(12책) 복사 영인 작업 실시>

  1. 일시 : 2008. 11--12.

  2. 장소  : 대종회사무실

  3. 내용

    가) 총 32책 중 대종회에 소장되었던 것은 18책이었음

    나) 2008년 11월-12월, 대종회 태운 사무총장은 안정공파의 창묵(현 86세, 子 재덕)종친이 대종회 소장 보책 중 결책인 총14책 중 나머지 12책을 소장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빌려 복사 영인함.

    다) 현재 미 발견된 임인보 결책 2권 : 25책, 32책.

  4. 사진 자료 (2009. 1. 태운(안) 제공)

 

ankim02-10-5c.jpg

 

ankim02-10-5d.jpg

 

ankim02-10-5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