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온공파(구용)

본문

p02.png 11. 각종 주요 행사 및 답사 소개

      6)세거지 상촌(桑村)마을 답사 (2004. 9. 22. 발용(군) 제공)

안동김씨 세거지 유래

 

감곡면 상촌은 안동김씨 4백년 세거지이다.

안동김씨 시조는 김알지시니 신라4대 해탈왕때 관직이 대보에올라 나라에 크게 공헌 하였다.

중시조는 김방경 이시다. 고려조 고종 원종 충렬왕 3대 임금을 보필하면서 몽고군 침략 40년간의 대란을 수습하고 몽고군을 물러가게 하였고 삼별초의 난을 평정하였고 2회에 걸처 일본을 정벌하셨다.

파조는 문익공 김구용이시니 중시조 충렬공의 현손이시다.  공은 호를 척약제(척若薺)라 하였다.

 

공의 7세손 김진강 공은 조선조 14대 선조때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시고 말년에 음성 현감에 임명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서거하시니 장자 대화(大화)공은 이마을 뒷산 송정벌(松亭元) 임좌에 묘소를 모시니 선조 14년 서기 1581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1년전이다.

김대화(金代 )공은 선조25년 서기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가족을 이끌고 선고 서거시 대묘하던 이 마을에 오시어 7년간 피난하니 한명의 희생자도 없었다 한다.

 

공은 하양현감으로 재직중 광해군이 왕위에 올라 충신을 박해하고 간신을 불러들여 국정을 어지럽게 함 으로서 관직을 이직하고 이 마을에 오시니 인조반정때 예조참의로 증직되시니 하양현민도 공의 덕을 추모하여 향현사에 배향(配享)하였다.  공은 이 마을을 개척하여 가옥을 세우고 전답을 개간하여 농사에 힘쓰고 특히 뽕나무를 많이 식재하여 자급자족에 힘쓰고 호를 상제(桑薺)라 하니 마을 이름도 상촌(桑村)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공은 동내 입구에 자라던 느티나무 숲을 잘 가꾸고 반석 위에 정자를 지어 자손들의 교육에 힘쓰니 이 숲을 모정거리라 부르게 되었다.

공의 후손들은 조상의 유훈을 받들어 주경야독하여 면학에 힘쓰니 많은 인재가 배출되어 국가에 공헌하고 가문을 빛내니 인근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음성현감공 후손들은 정성을 모아 서기1989년에 제각을 건립하여  숭모사경상제(崇慕祠敬桑薺)라 칭하고 마을 입구에 안동김씨(安東金氏) 세거비를 세웠다.

 

                                                                  안동김씨 대종 회보에서(1999년4월10일자)

 

 ankim04-7z252.jpg

 安東金氏와 桑村의 유래

 

ankim04-7z253.jpg

 

이 마을은 忠淸北道 陰城郡 甘谷面 桑坪里 桑村이며 安東金氏가 백여 년간 살아온 터전이다.

 

安東金氏의 시조는 敬順王의 손자 金叔承公이니 工部侍郞平章事로 안동태수를 지내시다. 中시조는 고려조의 명장군이요 명재상이신 忠烈公  金方慶公이시다. 파조는 文溫公 金九容公이요 號는 척若齋 官은 成均館大司成이니 고려 말에 위대한 성리학자요 시인이시다. 공의 七世孫인 金震綱公이 음성현감을 역임하고 서거하자 장남 金大화公은 河陽현감 재직 시 왕위에 오른 光海君의 폭정이 극에 달하니 公은 심히 개탄하여 벼슬을 사직한 후 가솔을 이끌고 선친의 시묘 터인 이곳에 낙향하여 전답을 일구고 뽕나무 수백 그루를 심어 호를 桑齋라 하고 마을이름도 桑村이라 하였다. 윗마을 입구 청암반석 위에 자생하던 느티나무 숲을 잘 가꾸고 정자를 세워 자손을 교육하니 이 숲을 모정거리라고 불렀다.

 

그 후에 조선조 仁祖임금은 公의 충절에 감동하여 吏曹參議를 증직하고 한편 하양현민은 鄕賢祠 에 배향하였다.

 

이 고장 산천의 웅장하고 아름다운 정기를 타고난 公의 후손들은 크게 번성하여 이 고장 일대에 퍼져 사니 백여 호를 넘었으며 많은 인재가 벼슬에 올라 선조들의 훌륭한 유훈을 받들어 禮와 義로써 나라 일을 보살피니 모든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았다.  한편 근면, 성실하여 치산에 힘쓰니 생활이 풍족하여 만석의 부를 이루기도 하였다. 조국광복 후 도시산업화 시대를 맞이하여 서울들 도시로 진출하여 정계, 학계, 실업계 등 각 방면에서 활약하고 있으니 앞으로 더욱 정진하여 세계무대에서 나라와 가문을 빛낼 인사가 많이 나오도록 촉망하여 마지 않는다.

                  서기 一九九六 년    六 월   十八 일  세움

 

 ankim04-7z254.jpg

▲ 좌로부터  윤만(회항) 용주. 주회. 발용(회항)

 

 ankim04-7z255.jpg

 ▲ 상촌마을 입구의 느티나무

 

ankim04-7z256.jpg

 

ankim04-7z257.jpg

▲ 안동김씨 음성공파 재실

 

 ankim04-7z258.jpg

▲ 음성공파 재실 숭모재

 

 ankim04-7z259.jpg

▲ 경상재

 

 ankim04-7z260.jpg

▲▼ 마을 개울가의 정자

 

 ankim04-7z261.jpg

 

 ankim04-7z262.jpg

 

 ankim04-7z263.jpg

▲ 음성공 휘 진강 묘소

 

 ankim04-7z264.jpg

 

 ankim04-7z265.jpg

▲ 윤만 종친 선친 묘소(휘 재인)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