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방경의 생애와 행적(4)-(2007. 2. 장동익 편저. 김태홍(도)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5:28 조회1,082회 댓글0건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1279년(충렬왕 5) 68 * 2월 29일(병오) 김방경을 重大匡․世子傅로 임명함. * 6월 11일(정해) 셋째아들 恂이 別將으로 禮部試에서 2等으로 급제함. 1280년(충렬왕 6) 69 * 7월 7일(병오) 첨의중찬 김방경이 글을 올려 致仕를 청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함. * 10월 30일(무술) 중찬 김방경이 글을 올려 致仕를 청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함.17) * 11월 11일(기유) 右承旨 趙仁規․大將軍 印候를 元에 보내어 일본원정과 관련한 여러 문제의 해결을 청하면서 김방경을 위시한 장군들에게 官職을 내려줄 것을 청함. * 11월 17일(을묘) 김방경이 퇴직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음. * 11월 22일(경신) 중찬 김방경․密直副使 朴球․金周鼎이 東征軍士를 사열함. * 11월 28일(병인) 중찬 김방경․장군 鄭仁卿을 원에 보내어 賀正하게 함. * 12월 23일(신묘) 조인규․인후가 원에서 돌아와 충렬왕을 위시한 일본원정에 참여한 고려의 장군들에게 관직을 하사한 것을 전함. 이때 김방경은 中奉大夫․管領高麗軍都元帥에18) 임명됨. * 賀正使로 元에 파견됨. 1281년(충렬왕 7) 70 * 1월 某日 김방경이 大明殿에서 賀正하고 侍宴할 때 世祖가 丞相의 다음 자리에 앉게 하고 弓矢․劒․白羽甲을 하사함. * 2월 歸國함. * 3월 17일(임자) 元帥 김방경․萬戶 박구․김주정이 군사를 거느리고 合浦로 출발함. * 4월 15일(경진) 왕이 합포에 도착하여 18일(계미) 閱兵함. * 5월 4일(무술) 忻都․홍다구․김방경․박구․김주정 등이 군사를 이끌고 일본원정에 출발함. * 5월 27일(신유) 忻都․홍다구․김방경이 世界村 大明浦에 이르러 通事 金貯로 하여금 檄文을 가지고 가서 타이르게 함. 김주정이 먼저 교전하였고, 이어서 諸軍이 모두 상륙하여 전투를 함. * 5월 29일(계해) 行省의 摠把가 원정군이 26일(경신)에 一岐島로 향했다고 보고해옴. * 6월 8일(임신) 김방경 등이 日本軍과 싸워 300여급을 참하고, 9일(계유) 다시 싸웠으나 洪茶丘의 군대가 패배함. 군중에 전염병이 크게 유행하여 戰死者․病死者가 3,000여명에 달함. * 6월 15일(기묘) 이날 이전에 東路軍과 江南軍이 一岐島에서 만나기로 하였으나, 강남군이 도착하지 않음. 諸將이 回軍을 의논하니 김방경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음. * 6월 25일(기축) 경 諸將이 회군을 의논하자 김방경이 강남군의 도착을 기다려 다시 공격하자고 주장하여 諸將이 수긍함. * 7월 21일(갑인) 원수 김방경이 중낭장 朴昷을 보내와 諸軍이 太宰府에서 여러 번 싸우다가 退軍하였으나 蠻船[江南軍] 50艘가 合勢하여 다시 太宰府로 향한다고 보고함. * 8월 1일(갑자) 東路軍 및 江南軍의 東征軍의 艦隊가 鷹島의 海上에서 大風雨에 의해 거의 반이 顚覆되고, 士卒 6~7/10이 喪失되어 回軍함. * 8월 4일(정묘) 왕과 공주가 慶尙道에 행차함. * 8월 14일(정축) 왕과 공주가 安東府에 도착함. * 8월 16일(기묘) 別將 金洪柱가 合浦로부터 안동부의 行宮에 도착하여 원정군이 패하여 元帥 등이 합포에 귀환하였다고 보고함. * 윤8월 2일(갑오) 김방경 등이 행궁에서 왕을 알현함. 1282년(충렬왕 8) 71 * 2월 3일(계사) 忽赤이 竹坂宮에서 왕을 향연하였고, 저녁에 왕이 南門에 행차해 있었는데 중찬 김방경이 술에 취하여 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가다가 趙仁規의 참소를 받아 일시 巡馬所에 갇히었다가 석방됨. 1283년(충렬왕 9) 72 * 1월 21일(병자) 왕이 김방경의 집에 행차함. * 12월 22일(신축) 中贊 金方慶이 致仕를 청하자 허락하고 三韓壁上推忠靖難定遠功臣․匡靖大夫․三重大匡․判都僉議事․上將軍․判典理司事․世子師․上洛公으로 봉함. 1286년(충렬왕 12) * 이 해에 왕에게 先山에의 省墓를 청하자 아들 恂을 太白山祭告使로 임명하여 함께 파견함. 1288년(충렬왕 14) 77 * 11월 6일(정해) 貢女를 선발할 때 前樞密院副使 洪文系(洪奎)가 응하지 않다가 처벌을 받게 되자 中贊致仕 김방경이 그를 위해 病中에도 나와서 請疏함. 1292년(충렬왕 18) 81 * 11월 27일(갑신) 왕이 중찬 김방경의 집에 행차함. 1295년(충렬왕 21) 84 * 1월 9일(갑인) 致仕한 김방경에게 (僉議中贊보다 上位로 新設된) 僉議令의 관직을 더해줌. * 8월 27일(기사) 김방경에게 上洛郡開國公의 官爵을 하사함. * 11월 12일 江陵道安集使를 통해 李承休에게 書狀을 전함. * 12월 3일(임인) 세자(충선왕)의 청에 의해 上洛公 김방경에게 食邑 1,000戶 食實封 300戶를 하사함.19) 1296년(충렬왕 22) 85 * 2월 旦暮賻를 지어 보낸 李承休에게 書狀을 보냄. 1297년(충렬왕 23) 86 * 5월 25일(병술) 왕이 김방경의 집에 행차함. 1298년(충렬왕 24년, 충선왕 즉위․퇴위년) 87 * 1월 19일(병오) 왕이 세자(충선왕)에게 傳位함. * 5월에 忠宣王妃 寶塔實憐 공주가 趙仁規의 딸인 趙妃를 妬忌하여 元에 사신을 보내 보고하려하자 上洛伯 김방경을 위시한 모든 致仕宰相들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음. * 8월 18일(임신) 元의 使臣이 충선왕으로부터 國王印을 취하여 충렬왕에게 전하였고, 19일(계유)에 충렬왕이 復位詔書를 받음. 1299년(충렬왕 25) 88 * 1월 16일(정유) 萬戶 印候․金忻․密直 元卿 등이 恣意로 軍士를 동원하여 萬戶 韓希愈․上將軍 李英柱를 잡아서 謀叛을 도모하였다고 무고함. 1300년(충렬왕 26) 89 * 8월 16일(무오) 上洛公 金方慶이 開城 栢木洞 鸎溪里에서 別世. * 9월 3일(을사) 遺言에 의해 禮安 西山에 安葬함.20) 이때 左承旨․判秘書寺事․文翰學士 李瑱이 墓誌銘을 지음. 충선왕대(1308~1313) * 三韓壁上三重大匡宣忠恊謀定難靖國功臣으로 追贈되고, 諡號가 忠烈로 내려졌고, 神道碑가 王命에 의해 건립됨. 가족 사항 * 母는 元興鎭副使․郎將 宋耆, 夫人은 中書舍人․知制誥 朴益旌의 딸로 陰平郡夫人에 책봉됨. 소생은 3남(副知密直司事 愃․贊成事 忻․判三司事 恂) 3녀(壻 知密直司事 趙忭․將軍 金元沖․通禮門使 權允明). 後妻는 孫氏로서 1녀(壻 蔡宜=贊成事 蔡洪哲).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