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상락연표2 (642-1104) (2005. 6. 30. 태영(군)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6:02 조회1,138회 댓글0건

본문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654년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02년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년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년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년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년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년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년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년 신라, 원성왕 `죽음(?~).

799년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800년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공식(公式) 20여조(條)󰡑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년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년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년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년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년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년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년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년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871년 발해, 대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년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6년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년 신라,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년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E) 즉위(~906).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년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년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여 성을 공략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년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년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년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년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2년 신라, 효공왕 죽고(?~), 신덕왕(神德王) 즉위(~917).

914년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7년 신라, 신덕왕 죽고(?~), 경명왕(景明王) 즉위(~924).

918년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년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4년 신라, 경명왕 죽고(?~), 경애왕(景哀王) 즉위(~927).

926년 발해의 103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934년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여 성이 항복.

935년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양여, 신라 멸망.

936년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년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년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년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년 왕규(王規)의 난. 혜종 죽고(?~), 정종(定宗) 즉위(~950).

947년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년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년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년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승과제(僧科制) 설치.

960년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石)라 칭함.

961년 과거를 실시. 고시과목은 시(詩)․부(賦)․의(醫)․복(卜) 등.

972년 내의시랑(內議侍郞) 서희(徐熙)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감.

975년 광종 죽고(925~), 경종(景宗)이 전시과(田柴科)를 제정.

981년 경종 죽고(956~), 성종(成宗) 즉위(~997).

983년 전국에 12목(牧)을 설치. 3성(省)․6조(曹)․7시(寺)를 정함.

987년 각 촌(村)의 대감(大監)․제감(弟監)을 촌장(村長)․촌정(村正)으로 개정.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제정.

991년 중추원(中樞院)을 설치.

992년 국자감(國子監)을 창립하고 전장(田莊)을 함.

993년 제1차 거란침입. 안융진(安戎鎭)에서 거란군을 격파. 서희가 소손녕(蕭孫寧)과 화약(和約)을 맺음. 개경․서경과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994년 서희,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구주(龜州)에 축성.

995년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치고, 전국을 10도(道)․128주(州)․449현(縣)․7진(鎭)으로 나눔.

997년 성종 죽고(960~), 목종(穆宗) 즉위(~1009).

998년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

1002년 6위(衛)의 군영(軍營)을 새로 설치.

1004년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1007년 화산분출로 탐라 해중에 산이 생겨남.

1009년 서북면순검사(西北面巡檢使)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980~) 현종(顯宗)을 즉위시킴(~1031).

1010년 제2차 거란침입. 순무사(巡撫使) 양규(楊規)가 곽주(郭州)에서 거란군을 섬멸.

1011년 거란군에게 개경(開京) 함락, 현종 나주(羅州)로 파천. 양규․정성(鄭成) 등이 거란군을 파하고 여러 성을 회복. 현종 환도.

1012년 도절도사(道節度使)를 폐지하고, 5도호부(都護府) 75목(牧) 안무사(按撫使)를 둠.

1014년 흥화진(興化鎭)에서 거란군 격퇴.

1015년 거란군이 흥화진․통주(通州)․용주(龍州)에 침입.

1016년 곽주에서 거란군 격퇴.

1018년 제3차 거란침입. 강감찬(姜邯贊)이 흥화령(興化嶺)에서 거란군을 대파.

1019년 구주대첩(龜州大捷).

1020년 거란과 강화.

1024년 대식국(大食國:아라비아)의 상인 100여 명이 특산물을 가지고 무역하러 옴. 개경을 확장하여 5부(部) 35방(坊)․314리(里)로 정함.

1029년 여진 해적선 30여 척의 침범을 격퇴.

1031년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신설.

1033년 북경(北境)에 천리장성 축조를 개시.

1034년 덕종 죽고(1016~), 정종(靖宗) 즉위(~1046).

1037년 거란의 병선이 압록강에 침입.

1044년 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에 축성함으로써 천리장성 완성.

1046년 정종 죽고(1028), 문종(文宗) 즉위(~1083).

1049년 동번(東蕃) 해적이 임도현(臨道縣)에 침입. 동여진 해적이 금양현(金壤縣) 진명(鎭溟)에 침입. 소굴을 소탕함.

1055년 최충(崔沖)이 사학(私學)을 일으킴(12公徒).

1058년 승려 해린(海鱗)을 국사(國師)로, 난원(爛圓)을 왕사(王師)로 함.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을 설치.

1061년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침.

1062년 호경(鎬京)을 다시 서경으로 고침.

1063년 국자감의 규율과 직제를 정비 강화. 거란, 󰡐대장경(大藏經)󰡑을 보내옴.

1066년 거란, 국호를 요(遼)로 고침.

1067년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흥왕사(興王寺) 준공.

1068년 양주(楊州)를 남경(南京)으로 하고 신궁을 건립. 최충(崔沖)이 구제학당(九齊學堂) 건립.

1071년 김제(金悌)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국교를 회복.

1073년 동여진 15주, 서여진 2진, 여진족 12촌 등을 편입.

1076년 등과자(登科者)의 급전제(給田制)를 정함.

1080년 보병과 기병 3만으로 정주성 외곽의 여진족을 토벌함.

1083년 문종 죽고(1019~), 순종(順宗) 즉위(~1084). 순종 죽고(1047~), 선종(宣宗) 즉위(~1095).

1094년 선종 죽고(1049), 헌종(獻宗) 즉위(~1095).

1095년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침. 헌종이 숙종(肅宗)에게 선위(禪位).

1097년 국청사(國淸寺) 낙성. 천태종(天台宗) 일어남.

1101년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고, 남경 신궁(新宮) 조영 착수.

1102년 고주법(鼓鑄法)을 제정, 해동통보 1만 5천 관을 주조하여 문무양반․군인에게 나누어줌.

1104년 윤관, 서북면행영병마도통(西北面行營兵馬都統)에 임명됨. 윤관 여진과 싸워 결맹(結盟)하고 돌아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