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상락연표3 (1105-1395) (2005. 6. 30. 태영(군)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6:02 조회1,182회 댓글0건

본문

1105년 숙종 죽고(1054~), 예종(睿宗) 즉위(~1122). 탐라국을 폐하고 군(郡)으로 함.

1107년 윤관을 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여진토벌의 군사를 일으킴. 점령지역에 9성(城)을 쌓음.

1108년 여진토벌군이 포위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함.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을 포위공격, 오연총이 구원.

1109년 오연총이 길주를 구(救)함. 오연총이 공검진(公險鎭)에서 패전. 윤관 다시 길주를 구함. 9성을 여진에게 돌려줌. 국학(國學)에 7재(齋)를 둠.

1110년 제술(製述)․명경(明經) 등의 과거과목을 제정.

1112년 혜민국(惠民局) 설치.

1119년 국학(國學)에 처음으로 양현고(養賢庫)를 둠.

1122년 이자겸(李資謙)이 중서령(中書令)이 되어 집권.

1128년 이자겸의 난. 궁궐을 태우고, 인종을 사가에 이어(移御)시킴. 혜민국(惠民局) 설치.

1129년 묘청(妙淸)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

1131년 노장(老莊)의 학문을 금지.

1135년 중서시랑평장사 김향(金珦)사망 (安東人 시호 원정(元靖). 묘청의 난.

1142년 8도에 어사(御史)를 보내어 주현(州縣)의 관리를 감찰.

1145년 김부식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편찬.

1147년 처음으로 승보시(陞補試) 시행.

1149년 5군(軍)을 3군으로 변경.

1155년 완산(完山)에서 농민 반란.

1162년 이천(伊川) 등지에서 대규모의 민란 발생.

1163년 남도지방에 농민반란 발생.

1164년 의종, 인지재(仁智齋)에 행차. 야반까지 유연(遊宴), 시종 정중부(鄭仲夫) 등 공분(公憤).

1168년 탐라에서 농민반란 발생.

1169년 별궁 건축을 위해 별공(別貢)을 징수.

1170년 정중부의 난.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明宗)을 세움.

1171년 궁궐에 불이 나서 전우(殿宇) 모두 불탐.

1172년 정중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됨. 서북면에서 민란 발생.

1173년 계사(癸巳)의 난, 동북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난을 일으킴. 문신 축출, 무인(武人) 임용.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의 난. 서북방 40여 성이 호응. 정중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됨.

1175년 관군, 연주(漣州)를 함락, 서경을 포위.

1176년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난. 남부지방에 민란 성행. 대규모 관군 조직.

1177년 망이․망소이의 난을 평정.

1179년 경대승(慶大升), 정중부를 죽이고 반대파를 처형. 도방(都房)을 설치.

1180년 무신(武臣)들이 사병(私兵)을 두기 시작.

1184년 이의민(李義旼)이 정권 장악.

1193년 김사미(金沙彌)의 난.

1196년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성립.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멸하고 정권을 장악.

1197년 최충헌, 명종을 폐하고, 신종(神宗)을 세움(~1204).

1198년 만적(萬積)의 난.

1200년 최충헌, 사저에 도방(都房) 설치.

1202년 탐라민란 평정. 경주․운문․울진 등이 연합하여 민란을 일으켜 주군(州郡)을 장악.

1206년 최충헌을 진강후(晉康侯)에 봉하고, 부(府)를 흥녕(興寧)이라 함.

1209년 희종(熙宗), 최충헌의 집으로 옮겨갔다가 연경궁(延慶宮)으로 돌아옴. 최충헌,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1211년 최충헌이 희종을 폐하고 강종(康宗)을 세움(~1213).

1212년 김방경(金方慶) 탄생

1216년 몽골군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寧朔鎭)․정계진(定戒鎭)에 침입하여 재물을 약탈. 거란병, 황주를 침공.

1217년 5군(軍), 태조탄(太祖灘)에서 거란병에게 대패.

1218년 거란병 재침. 조충 등이 거란병을 강동성(江東城)으로 패주시킴.

1219년 조충․김취려(金就礪), 몽골 및 동진(東眞)과 함께 강동성을 공략. 최충헌 죽고, 아들 최우(崔瑀) 집권.

1222년 몽골에 대비하여 선주(宣州)․화주(和州)․철관(鐵關)에 축성.

1223년 처음으로 융기도감(戎器都監)을 둠. 금주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퇴.

1225년 최우, 정방정치(政房政治) 시작(~1249).

1226년 경상도 거제(巨濟)에 침입한 왜구를 현령 진용갑(陳龍甲)이 격파.

1227년 김방경(金方慶)이 음보로 산원겸 식록목사가 되었다. 경상도 웅신현(熊神縣)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왜국이 국서를 보내어 사죄하고 수호통상을 청함.

1228년 동진(東眞), 정주(定州)․장주(長州)에 침입.

1231년 제1차 몽골군 침입. 살리타[撒禮塔]를 원수로 삼아 평주(平州)를 치고 개경에 육박.

1232년 강화도(江華島) 천도.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축출. 김윤후(金允侯)가 지휘하는 부곡민이 처인성(處仁城)에서 항전. 살리타를 사살.

1233년 필현보(畢賢甫)․홍복원(洪福源) 등이 모반. 필현보는 처형되고, 홍복원은 요양(遼陽)으로 달아나 반고려세력을 형성.

1234년 최윤의(崔允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주자(鑄字)로 인행(印行).

1235년 몽골군, 용강(龍岡)․삼등(三登)․용진진(龍津鎭)․동주성(洞州城) 등을 함락, 동경(東京)까지 침입. 야별초군(夜別抄軍)이 지평(砥平)에서 몽골군 격파.

1236년 개천(价川)․죽주(竹州)에서 몽골군을 크게 격파. 이규보(李奎報),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음. 이연년(李延年)의 난을, 김경손(金慶孫)이 평정. 강도(江都)에서 대장경의 재조(再雕) 시작.

1238년 몽골군에 의해 동경의 황룡사탑․황룡사장륙상(皇龍寺丈六像)이 불탐.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골에 투항, 홍복원의 지휘를 받음.

1239년 몽골군 철수. 몽골 사신이 와서 왕의 친조(親朝)를 조유(詔諭).

1241년 족자(族子) 영녕공(永寧公)을 왕자(王子)라 칭하고 몽골에 보내어 볼모[禿魯花]로 삼음.

1247년 김방경(金方慶)이 서북면 병마판관이 되다. 아모간(阿母侃)이지휘, 제4차 몽골군침입.

1249년 몽골, 고려왕의 출륙친조(出陸親朝)를 강요. 별초군, 동계(東界)에 침입한 동진군을 격파. 최우 죽고, 최항(崔沆)이 정권 장악.

1253년 11월 경인일에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金孝印)사망. 야굴(也窟)의 몽골군이 제5차 침입. 고종 출륙하여 승천(昇天) 신궐(新闕)에서 야굴의 사자와 회견.

1254년 차라대(車羅大) 제6차 몽골군 침입.

1255년 차라대 제7차 몽골군 침입.

1256년 수군을 남하시켜 몽골군을 막게 함. 몽골의 차라대(車羅大), 고려왕자의 몽골방문 요청. 차라대 철군.

1257년 최항 죽고, 최의(崔誼) 집권. 차라대의 제8차 몽골군 침입.

1258년 최씨무신정권 붕괴. 충주의 별초군이 박달령서 몽골군 격퇴.

1259년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 몽골군 대파. 한계성(寒溪城)에서 몽골군 격멸. 고종 죽고(1192~), 태자 전(k) 몽골로 감.

1260년 김방경(金方慶)을 지형부사로 삼다.

1261년 몽골, 요양(遼陽)의 고성(故城) 수리,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摠管府)를 둠. 동서학당(東西學堂)교역장 설치.

1268 년 김방경(金方慶)을 형부상서 추밀원부사로 삼다.

1269년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I)을 세웠으나 반년 만에 원종이 복위.

1270년 강화에서 환도. 삼별초군(三別抄軍)의 항몽전(抗蒙戰). 삼별초군의 해산명령에 배중손(裵仲孫) 등이 항쟁 시작.

1271년 삼별초군, 합포(合浦)․동래(東萊)를 공격, 금주(金州)를 점령. 세자 심(諶)을 몽골에 보냄.

1272년 세자 심이 변발(辨髮)과 호복(胡服)으로 돌아옴.

1273년 김방경(金方慶)이 원군(元軍)과 함께 탐라의 삼별초군을 공략. 탐라에 다루가치총관  부[達魯花赤摠管府]를 둠.

1274년 원(元)이 전함 300척을 만들게 함. 제1차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 일본정벌 실패.

1276년 김방경이 원나라에서 호두금패를 받고 조서를 가지고옴.

1278년 충렬왕, 원의 관리와 원군의 철수 및 고려인 송환을 요구.

1279년 김순(金恂)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1280년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둠.

1281년 제2차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 실패.

1285년 김방경(金方慶)을 상락군 개국공에 봉하고 식읍1천호 식실봉 300호를 받다. 일연(一          然)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술.

1287년 이승휴(李丞休) 《제왕운기(帝王韻紀)》 저술.

1290년 우군만호 김흔(金忻)이 연기에서 합단적을 물리쳤다. 충렬왕, 강화로 피란. 국사․ 문          적(文籍) 강화로 옮김. 김승용(金承用)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1년 원의 군대와 함께 합단군을 연기(燕岐)에서 격파. 상서성(尙書省) 폐지, 다시 중서성(中書省)을 둠.

1292년 김운(金惲)을 첨의참리세자이부(僉議參理世子貳傅)로 삼고 김흔(金忻)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삼았다. 개경으로 환도.

1293년 8월에 김방경에게 상락군개국공(上洛郡開國公)의 작(爵)내렸다.

1294년 원나라 세조(世祖) 죽고, 동방정벌 중지. 탐라에서 원나라 철수.

1295년 탐라를 제주(濟州)로 고침.

1298년 충렬왕 태상왕(太上王)이 되고, 충선왕(忠宣王) 즉위.

1300년 8월 무오(戊午)에 상락군 김방경이 졸(卒)하였다.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          匡)에 추증하고 시호를 충렬(忠烈)이라 하였다.

1308년 김순(金恂)을 광정부사.승지.성균제주(光政副使.承旨.成均祭酒)로 임명하였다.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에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년 7월에 김흔(金忻)이 사망하였다. 판삼사사에서 지도첨의사가 되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삼중대광 상락공에 습봉(襲封)되었다. 각염법 제정.

1310년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에 봉함.

1311년 4월에 김사원(金士元)을 평양윤(平壤尹)으로 삼았다.

1312년 김순(金恂)을 중대광 상락군(重大匡上洛君)에 봉하였다.

1313년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의 세자로 함.

1316년 상왕(上王), 심왕의 위(位)를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년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를 복구.

1319년 1월 임술일에 첨의찬성사 김사원(金士元)이 사망하였다. 일찍이 평양윤을 지내고 상의회의 도감사가 되고 첨의 찬성사가 되었다. 시호를 경정(景貞)이라 하였다.

1320년 정방(政房)을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원,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1년 김순(金恂)을 판삼사사로 삼았는데 이해 8월 사망하였다. 중대광 상락군에 봉하고           시호를 문영(文英 )이라 하였다. 예서(隸書)에 능했다.

1323년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년 상왕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28년 김승용(金承用)이 하(賀)성절사로 원나라에 들어갔다.

1329년 밀직사사 보문각 대제학 김승용(金承用)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충숙(忠肅)이라 하였다.

1332년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감. 삼사우윤 김영후를 원나라에 파견함.

1340년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를 제3황후에 봉함.

1342년 상락부원군 김영돈(金永旽). 삼사우사 김영후(金永煦)등을 1등공신으로 삼아 벽상           (壁上)에 도형(圖形)하고 그 부모와 처에게는 3등을 제수하고 전답100결과 노비10명을 하사하고(1결은 8천평) 영창군(永昌君) 김승택(金承澤)등은 2등 공신으로 각각 추          서하였다.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을 지음.

1343년 원, 충혜왕을 게양(揭陽)에 귀양.

1344년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년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8년 7월 무신일에 상락부원군 김영돈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며 호는 균헌(筠軒) 구봉(龜峰)이다.

1349년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년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년 복창부원군 김영후. 전찬성사 김자. 영창군 김승택등에게 경일시독(更日侍讀)하게 하고 하교 하기를 원로대신 대부들은 윤차(輪次)로 입시하여 경사법언(經史法言)을 진강하게 하였다.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을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5년 김구용(金九容)이 과거에 급제하다.

1356년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년 중서평장사로 치사한 영창군 김승택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양간(良簡)이라 하였다.

       최영(崔瑩)이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가 됨.

1359년 홍건적(紅巾賊)의 제1차 침입. 4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년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년 복창부원군 김영후가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홍건적 10만으로 제2차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로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년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옴.

1366년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 신돈(辛旽)을 판사(判事)로 함.

1367년 성균관(成均館)이 중영(重營)되자 김구용(金九容)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          이숭인(李崇仁)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하여 성리학을 일으키는 선봉이 되다

1368년 신돈이 보낸 자객에 의해 김제안(金齊顔)이 사망하였다.

1369년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원(元)나라와 절교.

1370년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2년 김구용(金九容)이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중국에 갔다.이듬해 7월 귀국하였다.

1374년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년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년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0년 김익달(金益達)이 문과에 급제하다.

1387년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을 편성.

1384년 척약재(惕若齋)김구용(金九容)이 유배중에 대리에서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온(文溫)          이며 척약재 학음집(惕若齋 學吟集)이 전한다. 물계서원. 용장서원에 배향되었다.

1388년 김사형을 교주강릉도 도관찰출척사로 삼았다.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