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상락연표5 (1645-1856) (2005. 6. 30. 태영(군)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6:03 조회1,222회 댓글0건

본문

1645년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샬(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자로 책봉됨.

1646년 청풍군수 김경(金坰)이 사망하였다.

1649년 낙흥부원군 김자점(金自點)이 사형 당했다. 인조 죽음. 세자 봉림대군 즉위(효종). 관         상감 청나라 역서에 따라 역법(曆法)을 고침.

1652년 연경에 천문학관을 보내어 시헌력법(時憲曆法)을 배워오게함. 어영청(御營廳) 설치.

1653년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의 화순포(和順浦) 표착을 보고.

1655년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추쇄, 강화(江華)방비에 임하게 함. 일본통신사 조형(趙珩) 일행 부산에서 대마도로 떠남.

1657년 최유지(崔攸之) 천문관측기구를 제작.

1658년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옴.

1659년 효종 죽음. 왕세자 즉위(현종).

1660년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에 대동법 실시.

1662년 김득신(金得臣)이 문과급제 하였다. 김감(金堪)사망. 현종 창덕궁으로 옮김. 고려조의          능침(陵寢)을 봉식(封植).

1666년 총융사(摠戎使) 김응해(金應海)가 사망하였다. 충청관찰사 김소(金素)사망.

1671년 현종 경덕궁으로 옮김. 전국적으로 대기근. 경기․충청도에서 민란 일어남.

1674년 현종 죽음. 세자 즉위(숙종). 북한산성을 수축함.

1677년 판서 김휘(金徽)가 사망하였다.

1678년 김구만(金龜萬)이 문과급제 하였다.

1679년 강화에 돈대(燉臺) 축조함.

1682년 김시경(金始慶)이 문과에 급제하다.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설치.

1684년 안풍군(安豊君) 김득신(金得臣)이 사망하였다. 진주목사 김시민의 손자다.

       호는 백곡(栢谷)으로 문집이 전한다.

1687년 김두남(金斗南)이 문과에 급제하다. 금위영(禁衛營) 폐지. 숙종 탕평책(蕩平策)을 유         시함.

1688년 창덕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觀天臺) 축조.

1689년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됨.

1690년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2년 숙종 창덕궁으로 돌아옴. 북경에서 동을 수입, 화폐 주조.

1694년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월,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697년 장길산(張吉山)이 이끈 농민군 봉기. 도성안의 거지들을 각 섬으로 보냄. 막부(幕府)를 통하여 왜인의 울릉도 출입금지를 보장받음.

1698년 숙종 탕평책을 지시.

1699년 좌승지 김구만(金龜萬)이 사망하였다.

1702년 백두산 화산 폭발. 이준명(李浚明) 울릉도를 답사, 지도 작성.

1711년 김중원(金重元)이 삼도통제사에 올랐다. 평양성과 안주성을 개축케 함. 북한산성 축성 시작. 조태억(趙泰億) 등을 일본에 통신사로 보냄.

1712년 청나라 오라총관 목극등(穆克登)이 백두산정계비를 세움. 북한산성 역사를 끝냄.

1713년 중인․서얼 출신에게 죽은 뒤 벼슬을 주는 규정 제정.

1714년 8도에 지진 발생.

1715년 헌납(獻納)김두남(金斗南)이 사망하였다. 호는 탁청헌(濯淸軒)이며 청백리(淸白吏)녹          선 되었다.

1716년 삼도통제사 김중원(金重元)이 사망하였다.

1720년 숙종 죽고, 세자 즉위(경종).

1723년 김변광(金卞光)이 문과급제 하였다. 서양의 수총기(소화기)를 만들게 함. 10월, 관상감에서 서양의 문진종(서양식 시계)을 만들게 함.

1724년 경종 죽고, 왕세제 연잉군 즉위(영조). 서얼 200여 명이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

1725년 화폐주조를 중지하고 무기 제작.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밀풍군(密豊君) 추대, 반란을 일으킴.

1729년 사형수에 대하여 삼복(三覆)을 시행함.

1732년 관상감 관원 청나라에서 《만년력(萬年曆)》을 가져옴.

1735년 우승지 김시경(金始慶)이 사망하였다. 만은집(晩隱集)이 전한다. 김광국(金光國)이 문         과에 급제하다.

1736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함(사도세자).

1740년 각 지방의 도량형기를 통일시키도록 함.

1745년 예각(藝閣)에서 《경국대전》 《속대전》을 1책으로 간행.

1746년 《속대전》이 활자본으로 간행됨.

1750년 균역청 설치.

1752년 새돈 44만 4000냥 주조.

1756년 금주령 선포, 밀주를 엄히 단속함. 11월, 흉년으로 기아민 다수가 도성에 들어옴.

1758년 해서․관동 지방에 천주교가 크게 보급 됨.

1759년 원손을 왕세손으로 책봉함(정조).

1761년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私刑) 금지.

1762년 왕세자, 궤 속에 갇혀 굶어 죽음. 금주령을 엄수케 하고 범법자는 사형에 처함.

1763년 김수장(金壽長)이 《해동가요》 편찬. 장안의 승려들을 추방함.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가지고 들어옴.

1764년 장례원(掌隷院)을 혁파.

1765년 김복원(金復元)이 문과에 급제하다. 홍계희(洪啓禧) 등 《해동악장》을 편찬. 10월, 장례원에서 맡았던 노비관계 사무를 형조에 이관.

1767년 공조참의 김변광(金卞光)이 사망하였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1768년 각도의 성곽시설과 장비를 수리토록 함.

1769년 청천강을 따라 남당성(토성)을 쌓음.

1770년 전국의 제언(堤堰)을 수축. 《동국문헌비고》 100권 40책을 완성.

1772년 갑인자(甲寅字)를 개수하여 활자 15만 자를 주조(임진자).

1773년 한성 청계천의 뚝을 돌로 쌓기 시작함. 11월, 총융청에서 조회포․일화봉 등 새로운 포탄을 만들어 사격 실험.

1774년 종1품에서 당상 정3품을 대상으로 등준시(登俊試)를 실시(15인 급제).

1775년 김회빈(金晦彬)이 문과 급제하였다.

1776년 영조 죽고, 왕세손 즉위(정조). 《열성어제(列聖御製)》 간행. 경모궁(景慕宮)을 다시 세움. 금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을 새로 지음.

1777년 고쳐 주조한 갑인자 15만자를 주조(점유자).

1779년 처음으로 내각검서관(內閣檢書官)을 설치.

1780년 《문헌비고(文獻備考)》의 수정에 착수(1796년에 완성). 창덕궁에 측우기를 설치하고, 서운관(書雲觀)에 명하여 《천세력(千歲曆)》을 만들게 함.

1783년 병조참판 김광국(金光國)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편저로는 <선배수간         (先輩手柬)>,<간독(簡牘)>이 전한다. 승려의 장안 입성을 금함. 이승훈(李承薰)이 동         지겸사은사 일행을 따라 연경으로 떠남.

1784년 이승훈이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라몽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음. 이승훈, 천주교 관련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벽(李檗)․권철신(權日身) 등이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음.

1785년 한성에 천주교교회가 생김(진고개 김범우의 집). 해시계 간평일귀(簡平日晷)․혼개일구(渾蓋日龜) 등을 제작함.

1786년 통제사(統制使) 김영수(金永綬)가 순직하였다. 연경에서 서양서적의 구입을 금함. 검          서시예(檢書試藝)의 규정을 정함.

1787년 프랑스함대 페루즈 일행 제주도를 측량하고 울릉도에 접근함. 동 5월 책문후시(柵門後市)를 금지함.

1788년 서학관계 서적을 대량 불태움.

1789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학행으로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퇴계           학통을 계승한 영남 학파의 조선후기 대표적인 학자 이상정의 문인이다.

1791년 박필관(朴弼寬)의 격고(擊鼓) 사건 일어남. 신해교난(辛亥敎難) 일어남.

1792년 북경 주교 구베아가 교황 비오 6세에게 조선교회 창립을 보고. 정약용(丁若鏞) 기중기(機重器)를 발명.

1794년 수원성[華城]을 쌓기 시작함. 울릉도 지도를 제작케 하고 토산물을 조사함. 12월,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 밀입국 상경.

1795년 천주교도 김시삼(金始三)이 청나라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포교사실을 밀고.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한중록》을 지음

1797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천사집 川沙集 ≫·≪성학입문 聖學入門≫·≪예문일통 禮門一統≫·≪석학정론 釋學正論≫·≪정본고증 政本考證≫·≪초려문답 草廬問答≫·≪예서 禮書≫ 등이 있으며 사림에서 불천위로 정하였다 영국제독 브로우튼의 북태평양 탐험선 프로비던스호 동래 용당포(龍塘浦)에 표착.1800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순조). 정조 죽고, 세자 즉위(순조). 대왕대비(영조계비 정순왕후), 수렴청정을 함.

1801년 정순왕후(貞純王后) 대왕대비 김씨(金氏)의 명에 따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실시. 서얼소통 시행, 내사노비(內寺奴婢) 폐지 등 제도 개혁.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등 30여 명의 교도가 처형되는 󰡐신유교난(辛酉敎難)󰡑 일어남.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사건 일어남.

1802년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화를 입은 이들에게 증직(贈職).

1804년 순조의 친정시작, 김대왕대비 수렴정치 폐함. 평양에 대화재, 공해 여사 600여 호 소실.

1805년 정조실록(正祖實錄) 인간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치 시작.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록(恨中錄)》 완간.

1806년 전라도 영광(靈光) 등 40여 군현에 흉년. 기아자 약 50여만명 발생. 정부 2만 5000석의 구휼미를 배급.

1807년 황해안 대해일(大海溢)로 패해도 극심. 유구인 99명 제주도에 표착. 대마도(對馬島)에 통신사(通信使) 파견 요청 거절하자, 왜관(倭館)의 왜인들 난동을 벌임.

1808년 성환도찰방(成歡道察訪)김복원(金復元)이 사망하였다. 호(號)는 인와(忍窩)이다. 북청          (北靑)․단천(端川)에서 민란 발생. 《만기요람(萬機要覽)》 완성.

1809년 함흥에 대화재. 필리핀 루손섬의 원주민 3명, 제주도 표착 9년 만에 송환.

1811년 곡산 등 민란 일어남. 홍경래(洪景來)의 난(평안도 농민전쟁) 일어남. 역법(曆法)을 개정, 시행.

1812년 4월 19일, 홍경래 전사, 난이 평정됨. 왕자 호(昊), 왕세자에 책봉됨(훗날의 익종).

1813년 공충도(公忠道)를 다시 충청도로 개칭. 제주도 토호 양제해(梁濟海) 등의 민란 일어남.

1814년 함경도 일대, 경상도 지방에 대홍수.

1815년 경상도 함안(咸安) 등지에 대홍수. 을해교난(乙亥敎難).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 남공철(南公轍)의 《금릉집(金陵集)》 24권 121책 완간.

1816년 영국 군함 알세스토호․리라호가 충청도 마량진(馬梁津)에 옴. 이로 인해 서양 해도(海圖)상에서 한반도 서해안의 지형 분명해짐. 한성과 경상도 일대에 홍수.

1817년 삼남지방에 대홍수. 김정희(金正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순수비 발견, 68자의 비문 판독. 해인사에 대화재.

1818년 경상도 유생(儒生)들, 상소(上疏)로 채제공(蔡濟恭)의 신원을 요구. 정약용, 유배지 강진(康津)에서 《목민심서(牧民心書)》 완성.

1819년 충청도 공주․전라도 전주 등지에 대홍수. 전국적 호구․인구조사 실시. 호수:153만 3515호, 인구:651만 2349명.

1821년 평양 지방에 괴질 유행, 10여만 명 사망. 국가재정 궁핍상태에 빠짐.

1822년 호적법을 강화함. 인삼밀수출 엄금, 위반자 사형에 처함.

1823년 충청도․경상도 일부에 홍수. 경기․충청․황해도 등 5도 유생들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서얼(庶孼)의 임용을 요청.

1824년 정하상(丁夏祥)이 베이징에 가 교황에게 사제 파송을 요청. 감자씨 전해짐. 유희(柳僖), 《언문지(諺文誌)》(1권 1책) 등을 완성.

1825년 무신의 승교(乘轎)를 금함. 정하상․유진길(劉進吉) 등, 교황청에 서한 발송, 조선천주교의 수난사실을 보고.

1826년 6월에 지진 발생.

1827년 왕세자(익종) 대리청정. 호적법 정비. 서울(한성)에서 야간통행금지 실시. 전라․경상도 각지에서 천주교도 탄압사건 일어남(정해교난). 평안도․함경도․전라도 일대 등, 전국적으로 홍수피해 막심. 지진 발생.

1828년 법사(法司)․반족(班族)의 백성들에 대한 재산침해를 엄금. 삼남(三南)지방에 병충해 극심.

1829년 김선필(金善弼)이 무과급제하다. 영종(英宗)․진종(眞宗)․정종(正宗) 3대 왕의 어필집(御筆集) 발간. 남공철, 영의정 사퇴. 경희궁에 대화재 발생, 여러 전각 소실. 작자미상의 《이두편람(吏頭便覽)》 완성.

1830년 선정비(善政碑) 남립(濫立) 금지. 효명세자(孝明世子) 병사, 왕세자 책봉.

1831년 경희궁 중건 완료.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교구 창설.

1832년 개성(開城)출신 무과 급제자의 임용 허용. 영국 상선 로도 아마스트호, 몽금포(夢金浦) 앞바다에 나타나 외교사상 처음 통상을 요구. 순조, 경희궁으로 천궁.

1833년 전국 각지의 제방 수축. 북한산성 수축 완료. 황해도 재령(載寧)지방 소작인들, 소작료 납부거부운동. 삼남지방의 목화 흉작으로 대동포(大同布)를 대동미(大同米)로 징수.

1834년 폐습․사치를 금함. 창덕궁의 숭문당․양화당 등 많은 전각들 준공. 순조 죽고 왕세손 즉위(현종), 대왕대비(순조의 비, 純元王后金氏)가 수렴청정.

1835년 전국에 전염병(大疫)유행. 《순조실록》 편찬 위해 실록청(實錄廳) 설치. 청주성 화약고에 낙뢰. 세곡방납(稅穀防納)의 폐를 바로잡음. 왕, 창덕궁으로 환어(還御).

1836년 프랑스인 신부 모방, 의주(義州)를 거쳐 밀입국. 소의 밀도살, 금광(金鑛)의 잠채(潛採)를 금함.

1837년 충청도 대흥군(大興郡)에서 성국로(成國老) 등이 집권자들의 죄를 폭로한 괘서(掛書)사건 일어남.

1838년 지진발생. 《순조실록》 34권과 《정조실록》 15권 완성. 《만기요람(萬機要覽)》완성.

1839년 유진길․정하상(丁夏祥) 등 교도 다수 처형됨(己亥敎難). 평안․황해․경상도에 홍수. 조인영(趙寅永)이 제진한 󰡐척사윤음(斥邪綸音)󰡑을 헌종이 반포함. 오가작통법 실시.

1840년 앙반들의 상민(常民)착취 엄금. 영국선 2척, 제주도에서 소 등 가축을 약탈해 감. 대왕대비(純元王后 金氏)수렴청정 중단, 헌종의 친정 시작. 풍양 조씨(豊陽趙氏)의 세도정치 시작됨.

1841년 전국에 전염병 유행.

1842년 순천부(順川府) 송광사(松廣寺)에 화재. 《천세력(千歲曆)》 발간.

1843년 송광사 중건. 공주(公州)의 대동미(大同米) 착복한 이양옥(李陽玉) 처형.

1844년 이원덕(李遠德) 등, 원경(元慶)을 받들고 모반을 획책하다 처형됨. 김정호(金正浩)의 《오대주도(五大洲圖)》 완성. 김정희(金正喜)가 《세한도(歲寒圖)》 그림.

1845년 영국군함 사마랑호(號), 무단으로 제주도와 전라도 서남해안을 측량. 훈련도감에서 대완구․비격진천뢰 등 무기를 제작. 왕 경희궁으로 천궁. 김대건, 상하이[上海]에서 조선인 최초의 신부가 되어 밀입국.

1846년 프랑스 세실 해군소장, 천주교탄압을 구실로 군함 3척 끌고 충청도 외연도(外煙島) 정박, 왕에게 항의 서한 전달. 김대건 신부, 새남터에서 순교.

1847년 프랑스 군함 글로아르호(號), 지난해 세실 소장이 전한 국서에 대한 해답을 받고자 서해안으로 들어오다가 고군산열도(古群山列島)에서 좌초. 정부는 청나라를 통해 그 답신을 전달(서양과의 첫 외교문서).

1848년 정부, 아편흡연을 엄금.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재개.

1849년 헌종이 죽자 은언군(恩彦君) 인의 증손 원범(元範) 즉위(철종). 정학유(丁學游) 또는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편찬.

1850년 개성에서 사적인 인삼재배 성행.

1851년 국가경상비 부족으로 비상대비용인 봉부동전(封不動錢)을 변통 사용. 김문근(金汶根)의 딸이 철종비가 됨(純明王后 金氏). 김씨 세도정치 재개됨. 12월, 대왕대비(순조비 純元王后 金氏)청정중단, 철종의 친정 시작됨.

1852년 김흥근(金興根), 영의정이 됨. 오위장(五衛將)의 임명을 엄정, 진장(鎭將)도 매관매직 엄금.

1853년 페레올 주교 사망. 왜관(倭館)을 다시 건립. 춘궁기에 전국적으로 많은 아사자 발생.

1854년 러시아 선박 함경도 덕원(德源)․영흥(永興)해안에 침입, 어민들을 살상.

1855년 영남의 유생들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추존(追尊)을 상소. 영국함 흐네트호(號) 독도(獨島)를 측량, 프랑스함 비르지니호(號) 동해안 일대를 측량.

1856년 가축의 무단도살 엄금.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중건을 위한 공명첩(空命帖) 300장, 승첩(僧帖:度牒) 100장을 발행. 《동문휘고(同文彙考)》 완간. 《통문관지(通文館志)》 속편 완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