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상락연표7 (1921-1952) (2005. 6. 30. 태영(군)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6:04 조회1,126회 댓글0건

본문

1921년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1월 7일,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월 31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년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년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월 1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1927년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 3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4월 1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이롄[大連] 간 항공로 개설. 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 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1월 8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년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백범 김구가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조직했다.

1936년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 5월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 6월 7일, 안창호 등 150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 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2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2월 11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 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3월 15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년 3월 1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백범 김구가 임시정부 주석(主席)에 선임되었다. 2월 8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월 17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년 4월 4일,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 획득). 8월 14일, 여운형(呂運亨), 아베 총독의 정권이양 교섭에 동의. 15일, 일본 무조건항복. 9월, 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2일, 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7일,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9일,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1일, 군정장관에 아놀드 소장 취임. 16일, 한국민주당 결성. 10월 10일, 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25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월 3일, 평양에서 조선민주당 결성(당수 조만식). 11일, 조선인민당 결성(당수 여운형). 23일, 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 북한 신의주에서 반공학생들 의거. 12월 20일, 《합동통신(合同通信)》 창립.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 29일, 반탁(反托)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30일, 송진우(宋鎭禹), 괴한에게 피살. 31일, 전국에서 반탁데모․파업․철시 단행.

1946년 1월 2일, 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월 1일, 비상국민회의 결성.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반탁국민총동원중앙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평양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14일, 군정청 최고자문기관 󰡐남조선민주의원󰡑 구성(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김규식, 의원 25명). 3월 5일, 북조선임시인민위, 토지개혁을 단행. 20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소집. 한국독립당(30.1.25. 창당) 개편. 23일, 북한, 20개 정강 발표. 5월 15일, 미군정, 조선정판사 위폐사건 진상 발표. 6월 22일, 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국. 7월 17일, 38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22일, 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 25일,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28~30일, 북한에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 북조선노동당 결성. 8월 10일, 북한, 주요산업의 국유화 실시. 9월 7일, 공산당 간부 이주하(李舟下) 체포, 박헌영(朴憲英)․이강국(李康國) 등 도피 10월 1일, 10․1대구사건 발생. 13일, 조선민족청년당 결성(단장 이범석). 11월 23일, 좌익3당통합 강경파,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결성(위원장 허헌). 12월 2일, 이승만 도미, 남한 ´昞뗍ㅊÎ 수립의 필요성 역설. 12일,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개원(의장 김규식)..

1947년 2월 11일, 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3월 1일, 좌우 진영, 3․1절 행사를 따로 거행, 남대문 앞에서 양 세력 충돌. 4월 19일, 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5월 21일, 제2차 미소공동위(미 대표 브라운 소장, 소 대표 스티코프 중장) 개최. 6월 3일, 군정청, 한국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20일, 군정청, 서재필(徐載弼)을 특별의정관으로 초빙(7.1. 착임). 7월 18일, 여운형 피살(8.3. 국민장). 8월 6일, 조선임시정부 약헌(約憲), 입법회의에서 통과. 21일,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 30일, 군정장관에 딘 소장 취임. 12월 2일, 장덕수(張德秀) 피살. 16일,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년 1월 7일, 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월 26일, 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3월 8일, 김구, 남북협상을 제의. 16일, 북한․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4월 3일, 제주도에서 󰡐4․3사태󰡑 시작. 16일, 최초의 총선거, 입후보자 등록마감(934명 등록). 19일, 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1차) 참석. 5월 10일, 유엔감시하에 남한총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14일, 북한, 남한 송전(送電) 중단, 남북협상 결렬. 31일, 제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7월 17일, 헌법 및 정부조직법 등 공포. 20일,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24일 취임). 8월 1일, 국회 이범석(李範奭) 국무총리 인준. 4일, 국회의장에 신익희(申翼熙), 부의장에 김약수(金若水) 선출. 5일, 국회, 김병로(金炳魯) 대법원장 인준. 15일,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상호 0시 기해).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를 선포. 25일, 북한총선거 실시. 9월 1일,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개최.(수상 김일성). 9일,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10월 20일, 여수․순천사건 발생. 12월 10일,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2일, 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대 6 가결).

1949년 1월 8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월 20일, 남로당(南勞黨) 국회프락치사건 적발. 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월 21일, 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25일, 북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29일, 김구 피살(포병소위 안두희가 백주에 경고장에서 저격). 7월 5일, 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월 6일 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년 1월 26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월 16일,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문. 3월 13일, 국회, 제1차 개헌안(내각책임제) 부결. 27일,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이주하(李舟河) 검거. 4월 12일, 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위 제패. 24일, 제1회 국전(國展) 개최.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6월 1일, 6년제 의무교육 실시. 12일, 한국은행 발족(초대 총재 具鎔書). 16일, 북한, 김삼룡․이주하와 조만식(曺晩植) 교환 제의. 이대통령, 조건부 수락. 북한 조건 불수락으로 이뤄지지 않음. 19일, 제2대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택상․조봉암). 25일, 북한군 불법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27일,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제 결의. 28일,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월 1일, 연합군 지상부대, 부산에 상륙. 9월 1일, 부산 문화극장에서 피난국회로 재개. 15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16일, 낙동강전선에서 반격전 개시. 26일,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일 수복. 10월 1일, 국군, 38선 돌파, 19일 평양 탈환. 25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일, 정부, 서울 환도. 29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2월 4일, 평양 철수. 북한주민 약 50만 명, 피난길 등정. 16일, 국민방위군설치령 국회 통과. 24일, 서울시민에 피난령 발함.

1951년 1월 1일, 중공군 6개 사단, 압록강 건너 남진 시작. 3일, 정부, 부산으로 이전. 2월 10일, 국군, 서울에 진입. 11일,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 3월 5일, 정부, 120만 소작인에 대한 농지분배 발표. 4월 11일,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직에서 해임.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임명. 5월 9일, 이시영(李始榮) 부통령, 이대통령을 성토하고 사직. 15일,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金性洙) 선출. 6월 23일, 말리크 소련 유엔 대표, 38선 정전회담 제의. 7월 8일, 휴전예비회담 개성(開城)에서 열림. 9월 6일, 여군 창설. 10월 17일,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 양원제 개헌안󰡑 의결. 20일 한․일 제1차 회담 도쿄에서 개막. 25일, 남북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板門店)으로 옮김. 12월 1일, 부산․대구를 제외,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2일, 서남지구(지리산 일대) 공비토벌작전 개시(52.3.12. 종료).

1952년 1월 18일, 국회, 제2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정부안) 부결.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포. 2월 15일, 제1차 한일회담 개최. 18일,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좌익계 폭동 발생. 4월 17일,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20일, 장면(張勉), 국무총리직 사임. 동양통신(東洋通信) 창립. 24일, 서민호(徐珉濠) 의원사건 발생. 5월 6일, 장택상, 국무총리에 임명됨. 7일, 거제도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 폭동. 10일, 초대 도의원 선거. 14일, 정부, 제4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19일, 민중자결단․땃벌떼․백골단 등, 국회해산 요구 시위. 25일, 부산과 경남․전남북에 계엄령 선포(~7.28.). 26일, 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29일, 김성수 부통령, 이대통령 탄핵하고 국회에 사표 제출. 6월 18일, 국회,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김동성 선출. 20일, 부산국제구락부에서․야당인사들, 반독재호헌구국선언 발표(국제구락부사건). 21일, 발췌개헌안 국회에 상정. 25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범인 유시태(柳時泰) 체포. 7월 4일, 국회, 경찰 포위 속에 제3․4차 개헌안 발췌통과(제1차 개헌․발Ã欲냘愼. 8월 5일, 직선제 정․부통령선거 실시(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咸台永) 당선. 13일,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53.5.13. 공포). 9월 30일, 장택상 총리, 고시진(古市進)사건 인책사임. 10월 17일, 국회, 이윤영(李允榮) 총리인준 부결. 29일, 국회, 정부 불신임안 발의. 11월 27일, 부산국제시장 대화재. 12월 2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 내한. 3일, 유엔총회, 한국전쟁포로의 중립지대로 이송안(인도案) 통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