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락연표8 (1953-1986) (2005. 6. 30. 태영(군) 제공)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1-10-26 16:04 조회1,710회 댓글0건본문
1953년 1월 5일, 이승만 대통령 일본 방문 요시다[吉田] 총리와 회담. 2월 15일,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제1차 통화개혁(110대 1로 인하. 원(圓)을 환으로 개칭). 23일, 휴전회담 재개. 6월 8일, 포로교환협정 조인(8.5. 교환 시작, 9.6. 완료). 18일, 반공포로 석방 단행. 7월 27일, 휴정협정 조인.
1954년 1월 9일, 국방대학원 창설. 18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일, 반공포로 인수, 28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월 15일,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일). 11월 14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30일, 국회에 호헌동지회 결성됨. 12월 7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일, 국보 3,400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일, 정부기구를 12부 1설 1원으로 개편.
1955년 2월 18일, 김성수(金性洙) 국회부의장(전부통령) 사망(2.24. 국민장). 조경규(趙瓊奎), 부의장이 됨. 8월 8일, 증권시장 개장. 16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죽음. 9월 13일, 《대구매일(大邱每日)》, 학생정치도구화 반대 사설을 게재로 필화(筆禍). 18일,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대표최고위원 申翼熙). 10월 1일, 광복10주년기념 산업박람회 개최. 26일, 중공군 6개 사단 철수 완료.
1956년 1월 2일, 제2여당으로 민정당(民正黨) 발기(최고위원 이범석․장택상). 3월 30일에 공화당(共和黨)으로 발족. 30일, 김창룡(金昌龍) 육군특무대장 피살. 2월 27일, 김창룡 저격범 허태영(許泰榮) 대령 등 구속(11.22. 강문봉 중장 등 추가구속). 5월 5일,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12일,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 15일,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6월 8일 국회,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조경규․황성수(黃聖秀) 선출. 9월 28일, 민주당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회에 조병옥(趙炳玉) 선출. 대회장에서 퇴장하던 장면 부통령 피습. 현장에서 범인 김상붕(金相鵬) 체포. 10월 1일, 장부통령 저격사건 배후조종자 최훈(崔薰) 구속. 11월 10일, 진보당 창당위원장 조봉암(曺奉岩), 간사장 윤길중(尹吉重) 선출. 29일, 국제시계밀수사건에 황성수 국회부의장, 박영출(朴永出) 외무위원장 관련.1957년 1월 11일, 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4일, 유도회(儒道會) 분규 격화. 5월 5일, 어린이헌장 선포. 25일, 야당 주최 장충단(獎忠壇) 시국강연회장에서 테러단 난동(12.5. 주범 유지광 체포됨). 8월 가짜 이강석(李康石)사건으로 사회가 소란. 9월 1일에 주인공 강성병 체포됨. 10월 9일, 《우리말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채택.
1958년 1월 1일, 민․참의원 선거법안 국회통과. 13일, 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59.2.27. 대법원에서 조봉암 사형 확정). 3월 3일, 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5월 2일, 4대민의원 선거 실시(자유당 126, 민주당 79, 무소속 27석 등 차지).
1959년 1월 5일,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월 13일, 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14일, 교포북송 제1진 975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년 2월 5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 15일, 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4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개단체가 합동, 3․15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2마산 데모 발생. 18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일, 서울시내 2만여 학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발포로 42명 희생. 서울 등 5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3일, 장면(張勉) 부통령 사임. 24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일, 데모군중 증가. 상오 10시경 10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일, 이기붕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선거 무효확인). 5월 21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6.15. 국회 통과․공포. 제2공화국 성립됨).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6¿ù 17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월 29일, 민․참의원선거 실시(민주당 대승). 8월 8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일, 민․참 합동회의,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1961년 2월 3일,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채택. 5월 16일,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부의장 박정희). 5월 18일,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5월 20일 최고회의 내각 조직(내각수반에 장도영 의장 겸임). 7월 1일, 서울국제방송국(HLCA) 개국. 7월 2일,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취임. 7월 3일, 반공법 공포. 7월 22일, 경제재건 5개년계획 발표. 8월 12일, 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22일,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2년 1월 1일,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1월 13일,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 16일, 정치활동정화법 공포. 3월 19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3월 22일, 윤보선 대통령 사임. 3월 24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대행. 5월 31일,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결제 불이행(증권파동). 6월 10일, 제2차 통화개혁(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12월 17일,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가결. 12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절차 발표.
1963년 1월 1일,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 18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2월 21일, 민주공화당 창당. 3월 16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3․16성명 발표. 5월 14일, 민정당 창당, 대통령후보에 윤보선 지명. 7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일정 발표. 10월 10일, 서울가정법원 개원. 10월 15일,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당선). 11월 26일, 국회의원선거 실시. 12월 17일, 제3공화국 발족(새 헌법 발효). 박정희 제5대 대통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 1월 18일, 제주도 일원 첫 통금해제. 5월 2일, 민주․자민․국민당 통합 선언. 6월 3일, 6․3사태 발생. 서울에 비상계엄령 선포. 8월 2일, 언론윤리위법안 국회 통과. 8월 17일, 한국기자협회 발족. 10월 31일,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 1월 8일,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 1일, 충북지역 야간 통금 해제. 3월 22일,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3월 24일, 비둘기부대 제1진 사이공 도착. 4월 17일, 한․일협정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5월 3일, 민정․민주 양당, 민중당 창당. 6월 22일, 한․일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 2일, 국무회의, 1개 전투사단 월남파병 의결. 7월 17일, 이승만 하와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 2월 4일,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 1일, 국세청․수산청 발족. 3월 30일, 신민당 창당. 6월 25일,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 9일, 한․미행정협정 조인(67. 2. 9. 발효). 7월 29일, 국무회의,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9월 5일, 백마부대 제1진 월남 상륙. 10월 31일,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1월 1일, 한․미정상회담, 2일 공동성명 발표.
1967년 1월 1일, 대구 서문시장에 큰불. 2월 7일 민중․신한당 통합, 신민당 창당. 3월 22일,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서 위장귀순. 3월 30일,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칭.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6월 8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8월 9일, 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 1월 21일, 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1월 23일,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 7일, 경전선 개통.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 5월 27일, 제1차 한․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 15일,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8월 15일, 정치정화법 시효 완료. 9월 9일,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 14일,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 21일,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11월 29일,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 11일, 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 3월 1일, 국토통일원 개원. 3월 3일, 정부, 가정의례준칙 발표.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 17일, 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 21일, 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 7일, 신민당, 대통령 탄핵소추결의안 국회에 제출. 9월 14일, 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0월 17일,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12월 24일,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으로 지정.
1970년 4월 8일,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 16일, 서울대교 개통. 5월 18일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6월 2일, 특수층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 필자 김지하, 등 구속. 7월 1일, 우편번호제 실시. 7월 7일, 경부고속도로 개통. 8월 15일, 서울 남산 제1호터널 개통. 10월 31일,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12월 23일, 정부종합청사 준공. 12월 30일, 호남고속도로(대전~전주 간) 개통.
1971년 2월 9일,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3월 19일, 원자력발전소 기공(경남 동래). 3월 31일, 서울~부산 간 자동전화 개통. 4월 27일,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5월 25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7월 8일,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7월 26일, 제8대 국회 개원. 9월 20일, 남북적, 이산가족찾기 예비회담 판문점서 첫 개최. 10월 15일, 서울시에 위수령 발동. 12월 9일, 파월 국군 첫 철수부대 부산항에 개선. 12월 27일,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1972년 5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8월 30일,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0월 17일, 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 21일, 개헌 위한 국민투표 실시. 22일, 유신헌법 확정. 12월 15일,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2월 27일 유신헌법 공포(정치활동 재개).
1973년 2월 1일,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2월 27일, 제9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 1일, 주민세 실시. 4월 10일,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보).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개원. 5월 27일, 소련, 한국인(유덕형)에 첫 입국허가. 중앙선 전철 개통(청량리~제천 간). 8월 8일,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 1월 8일,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1월 14일, 국민생활 안정을 위한 긴급조치 3호 선포. 8월 15일,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8월 15일, 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9월 6일, 반일데모대, 일본대사관 침입, 일장기 찢고 자동차 등 불태움. 11월 15일,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11월 22일,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 2월 12일,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 1일,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9월 15일, 조총련계 재일교포 700여명 추석성묘차 모국 방문. 9월 22일, 민방위대 발대식. 10월 14일,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 6월 18일, 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 1일,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8월 18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 11일,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량 인양.
1977년 5월 24일,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 19일,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 1일, 부가가치세제 실시. 11월 11일, 이리역 화약운송열차 폭발로 참사 발생.
1978년 1월 1일, 동력자원부 발족. 4월 14일, 세종문화회관 개관. 4월 21일, 대한항공 B707여객기, 소련 무르만스크 남쪽 200마일 지점에 강제 착륙.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7월 6일,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12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979년 6월 29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월 11일,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무역 여공 200여명 강제 해산. 10월 4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10월 18일, 정부, 학생시위로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월 20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10월 26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10월 27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월 3일, 국장. 11월 6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0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2월 12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12․12사태).
1980년 2월 18일,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 17일,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5월 18일,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 5월 27일, 계엄군 개입으로 진압. 5월 31일,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7월 31일, 계엄사 김대중 등 37명을 내란음모혐의로 기소, 9월 17일, 김대중 사형선고. 8월 2일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 하야. 8월 27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 5일,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채택). 9월 29일,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 공고. 10월 22일, 제5공화국헌법 확정. 10월 27일, 입법회의, 국가보위입법회의법 의결. 11월 14일, 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2월 1일, 한국방송공사(KBS), 컬러텔레비전 첫 방영.
1981년 1월 15일,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월 17일,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류치송). 1월 24일,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2월 11일,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2월 25일, 전두환대통령, 제12대 대통령 당선. 3월 25일,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4월 20일,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 6일, 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월 30일, 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 1월 1일, 문교부, 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월 5일, 정부, 야간통금 전면해제. 9월 24일, 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1983년 청와대경제수석 김재익(金在益)버마 아웅산에서 순국. 1월 1일,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 30일,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9월 1일, 소련 전투기, 사할린 부근서 KAL기 격추(KAL기 사건).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 13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3일 2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11월 29일,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코트 발표.
1984년 서봉(西峰) 김사달(金思達)박사 사망하다. 1월 10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4월 2일, 안기부, 78년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 1일, 서울대공원 개원. 5월 3일, 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전).
1985년 2월 12일, 제12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5월 17일, 전국 80개 대학 3만 8000여명, 광주사태 진상규명 요구 시위. 6월 17일,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7월 19일, 부산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범어사~서면) 개통. 8월 17일, 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 20일, 남북한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도착(남북한 각각 151명씩 3박 4일간 체류). 9월 21일,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9월 27일,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 19일,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 3월 13일,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3월 26일,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 21일,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 20일,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 6일, (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