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회곡동 시제 홀기(2007년)(2)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7-12-05 08:47 조회1,610회 댓글0건본문
68. 左右執事撤羹(좌우집사철갱) : 좌우집사들은 국을 거두시오
69. 進熟水(진숙수) : 숭늉을 올리시오
70. 抄飯三匙(초반삼시) : 메를 세 번 떠서 말으시오
71. 獻官以下執事及參祀者皆歆格俯侑(헌관이하집사급참사자개흠격부유) : 헌관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혼령께서 제사 음식을 더 드시도록 허리를 구부리시오. 侑(도울, 권할, 너그러울)유
72. 行辭神禮(행사신례) :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73. 獻官以下執事及參祀者皆再拜辭神(辭神再拜)(헌관이하집사급참사자개사신재배) : 헌관 이하 집사 및 참사자들은 재배하시오
74. 興(흥) : 일어서시오
75. 行飮福禮(행음복례) : 음복례를 올리겠습니다.
76. 贊引引詣導(詣導-삭제?) 初獻官進神位前 西向跪坐(坐-삭제?)(찬인인예도초헌관진신위전서향궤좌)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신위전에 서쪽을 향하여 꿇어 앉으시오
77. 執事進受祚盞盤于初獻官前(집사진수조잔반우초헌관전) : 집사는 음복잔반을 들고 초헌관 앞에 나아가시오
78. 大祝進獻官前東向跪坐(대축진초헌관전동향궤좌) : 대축은 헌관 앞에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으시오
79. 擧盞盤進獻官(거잔반진헌관) : 잔반을 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80. 獻官受祚飮卒(헌관수조음졸) : 헌관은 음복잔을 받아 마시시오
81. 初獻官降復位(초헌관강복위) : 초헌관은 원자리로 가시오
82. 行焚祝禮(행분축례) : 분축례를 행하겠습니다.
83, 簒引引初獻官詣西庭北向立(跪)(찬인인초헌관예서정북향립(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뜰 서쪽으로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시오(꿇어 앉으시오)
84. 大祝執祝文初獻官之坐(左)(대축 집축문) : 대축은 축문을 집으시오
85. 焚祝訖(분축흘) : 축문을 사르시오
86. 初獻官及大祝官仍降復位(초헌관급대축관이강복위) : 초헌관과 대축관은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87. 贊引(祝官)進獻官前告順成(찬인(축관)진헌관전고순성) : 찬인은 헌관에게 나아가 ‘순성’이라 고하시오
88. 撤饌(철찬) : 제수를 거두시오
(直日評-직일께서는 평해주십시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