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11 (14세 마차, 15세 법선, 16세 의관, 17세 위문)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16 21:53 조회1,718회 댓글0건

본문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11 (14세 마차, 15세 법선, 16세 의관, 17세 위문)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하고 있습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 ---65(탈해이사금 9)∼?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172년, 188년, 189년, 190년

7. 末仇(말구) 291년(유례이사금 8) 정월에 이벌찬(伊伐飡)이 됨

-----------형제 미추 :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8. 奈勿王(내물왕) ---?∼402. 신라 제17대왕. 재위 356∼402

9. 卜好(복호) ---412년 고구려에 인질로, 418년 신라로 귀환

-----------형제 눌지 :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458, 신라 제19대왕, 재위 417∼458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 437(눌지왕 21)∼514(법흥왕 1). 신라 제22대 왕. 재위 500∼514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655(태종무열왕 2). 내물마립간의 8대손으로, 아버지는 잡찬(#잡19飡) ★달복(達福)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670년, 680년

●17. 魏文(위문) ---712년 중시(=시중)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14. 摩次(마차)



★마질차(摩叱次)

생몰년 미상. 신라의 왕족.

신라 원성왕의 증조부로서 대아찬(大阿飡) 김법선(金法宣)의 아버지이다. 마차(摩次)라고도 한다. 관등은 잡찬(#잡19飡)이었다.

그에 관해서는 《삼국유사》에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추봉된 법선의 아버지라는 간략한 기록밖에 없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權悳永〉











15. 법선(法宣)



★김법선(金法宣)

생몰년 미상. 신라 왕족. 내물마립간의 8세손이다. 현손(玄孫)인 김경신이 원성왕으로 즉위하게 되어 김법선은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東史綱目. 〈李明植〉











16. 의관(義寬)



★김의관(金義寬)

생몰년 미상. 신라의 진골귀족으로서 삼국통일 전쟁기에 활약한 장군. ‘의관(義官)’으로도 쓴다. 내물마립간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대아찬 법선(法宣)이며, 성덕왕 때 시중을 역임한 위문(魏文)은 그의 아들이고, 원성왕 경신(敬信)은 증손이다.



670년(문무왕 10) 7월 백제의 유민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왕명을 받아 품일(品日)·문충(文忠)·천관(天官)·중신(衆臣) 등의 장군들과 함께 출정하였다가, 아무런 공도 세우지 못하고 퇴각하였다는 죄목으로 면직되었다.



680년 신라에 귀복한 보덕국왕(報德國王) 안승(安勝)에게 둘째딸을 출가시켰다. 증손 경신이 즉위하여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歷史學報 85, 1980). 〈朱甫暾〉







문무왕 (하)

20년(680) 봄 2월에 이찬 김군관(金軍官)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3월에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 안승에게 내려주고 왕의 여동생<또는 잡찬 김의관(金義官)의 딸이라고도 하였다.>으로 아내를 삼게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인륜의 근본은 부부가 무엇보다 우선이고, 왕의 교화의 기틀은 후손을 잇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왕의 까치 둥지[鵲巢]에 자리가 비어 있어 닭이 울었음을 일러줄 아내 얻을 생각이 있을 것이고, 안에서 도와줄 배필의 자리를 오래 비워두어 길이 집안을 일으킬 사업을 잃어서는 안될 것이다. 지금 좋은 때 좋은 날에 옛 법도를 따라 내 누이의 딸로써 배필을 삼게 하니 왕은 마땅히 마음과 뜻을 함께 돈독히 하여 조상의 제사를 받들고 자손이 무성하게 하여 길이 반석같이 번창한다면 어찌 장한 일이 아니며 어찌 아름다운 일이 아니겠는가?』













17. 위문(魏文)



★김위문(金魏文)

생몰년 미상. 신라 성덕왕 때 진골귀족. 내물왕의 10세손으로 의관(義寬)의 아들이며, 원성왕의 할아버지이다.

이찬(伊飡)으로 712년(성덕왕 11) 중시(中侍)가 되었다가 이듬해 10월에 퇴임하였다. 그의 손자인 경신(敬信)이 즉위하여 원성왕이 됨으로써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金東洙〉







★김훈입(金訓入)

생몰년 미상. 신라 원성왕의 할아버지.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즉 《삼국유사》에 의하면 경신(敬信)이 원성왕으로 즉위한 뒤 할아버지 잡간(#잡01干)훈입을 흥평대왕으로, 증조부 잡간 의관(義官)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고조부 대아간(大阿干)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추봉하였다. 현성대왕의 아버지는 곧 잡간 마질차(摩叱次)라고 한다.

---원성왕---0000---훈입---의관---법선---마질차---



그런데 《삼국사기》에서는 이와 달리 고조부 대아찬 법선을 현성대왕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으로, 아버지 일길찬(一吉飡)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고 하였다.

---원성왕---효양---위문---의관---법선---0000---



즉, 증조부 의관(義官)을 의관(義寬)이라 하고 할아버지 훈입을 위문이라 하여 차이가 있다. 훈입과 위문이 같은 인물의 이명인지, 아니면 한쪽의 기록이 잘못인지 알 수가 없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丁仲煥〉











▣ 김윤만 - 감사하게 잘 읽었습니다.

▣ 김윤식 -

▣ 김항용 - 연재가 끝나면 정리하여 홈에 올리겠습니다.

▣ 김은회 - 잘 읽었습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