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14 (20세 예영)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21 05:46 조회1,926회 댓글0건본문
귀승부인(貴勝夫人)
생몰년 미상. 신라 헌덕왕의 비. 성은 김씨. 헌덕왕의 숙부인 각간(角干) 예영(禮英)의 딸이다.
그러나 당(唐)나라로부터의 책봉은 정씨(貞氏)라 하였다.
《삼국유사》 왕력(王曆)에는 각간 충공(忠恭)의 딸이라고 하나 잘못인 것 같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文暻鉉〉
김인겸(金仁謙){1}
?∼791(원성왕 7). 신라 원성왕의 태자. 어머니는 각간(角干) 김신술(金神述)의 딸 연화부인(蓮花夫人)이다. 동생으로 의영태자(義英太子)와 예영(禮英)이 있다.
785년(원성왕 1)에 혜충태자(惠忠太子)로 봉해졌으나, 791년에 왕위를 잇지 못하고 일찍 죽었다.
795년 당시 병부령이던 그의 아들 준옹(俊邕)이 태자가 되고, 798년에 원성왕이 죽고 왕위에 올라 소성왕이 되자 혜충대왕(惠忠大王)으로 추봉되었다. 그리고 애장왕 때에는 5묘(五廟)에 배향되었다.
특히, 이때부터 신라의 왕위계승상 인겸계와 예영계의 왕위쟁탈전이 일어나 정치가 혼란해졌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新羅下代社會의 動搖(崔柄憲,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1980). 〈柳寅春〉
▣ 김윤식 -
▣ 김윤만 -
▣ 솔내 -
▣ 김은회 - 감사합니다.
생몰년 미상. 신라 헌덕왕의 비. 성은 김씨. 헌덕왕의 숙부인 각간(角干) 예영(禮英)의 딸이다.
그러나 당(唐)나라로부터의 책봉은 정씨(貞氏)라 하였다.
《삼국유사》 왕력(王曆)에는 각간 충공(忠恭)의 딸이라고 하나 잘못인 것 같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文暻鉉〉
김인겸(金仁謙){1}
?∼791(원성왕 7). 신라 원성왕의 태자. 어머니는 각간(角干) 김신술(金神述)의 딸 연화부인(蓮花夫人)이다. 동생으로 의영태자(義英太子)와 예영(禮英)이 있다.
785년(원성왕 1)에 혜충태자(惠忠太子)로 봉해졌으나, 791년에 왕위를 잇지 못하고 일찍 죽었다.
795년 당시 병부령이던 그의 아들 준옹(俊邕)이 태자가 되고, 798년에 원성왕이 죽고 왕위에 올라 소성왕이 되자 혜충대왕(惠忠大王)으로 추봉되었다. 그리고 애장왕 때에는 5묘(五廟)에 배향되었다.
특히, 이때부터 신라의 왕위계승상 인겸계와 예영계의 왕위쟁탈전이 일어나 정치가 혼란해졌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新羅下代社會의 動搖(崔柄憲,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1980). 〈柳寅春〉
▣ 김윤식 -
▣ 김윤만 -
▣ 솔내 -
▣ 김은회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