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오은대관上 04 ---김영후3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21 05:49 조회1,646회 댓글0건

본문

오은대관上 04 ---김영후3



고려사를 보면 정간공(김영후)께서는 충혜왕 시종공신에 책봉되고 공민왕 서연을 역임하시면서 백형 김영돈, 4촌 김승택, 그리고 어머니(김순처허씨) 묘지명을 찬한 이제현, 백형(김영돈) 묘지명을 찬하고 할아버지(김방경) 행장을 발한 안진 등 여러분과 함께 활동하였을 뿐만아니라

특히 손자 안렴사공(김사렴)의 처조부인 안목 이라는 분과도 공민왕 서연에 같이 활동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살펴 보았습니다.









1-4 충혜왕 시종과 공민왕 서연



▣ 고려사제36권-세가제36 (충혜왕 임오후3년, 1342)



“역적 ★조유가 난을 꾸민 후 내가 원나라로 가게 되었을 때 우리 나라에서는 근심과 의문에 싸였었고 간신의 잔당들은 거짓말을 조작하여 반란을 선동하고 있었다. 그런 시기에 나를 시종한 신하들이 시종일관 절개를 지키어 나의 몸을 보호하였으니 그 공이 막대하여 산천이 변하여도 잊을 수 없다.



그러므로 해평 부원군 윤석,

정승 ★채하중, ---충렬공(김방경)의 사위인 채홍철의 아들, 즉 충렬공의 외손자, 김영후의 외종4촌

화평 부원군 김석견(金石堅), 정승 이능간, 이문(李問) 홍빈(洪彬),

상락(上洛) 부원군 ★김영돈(金永旽), ---문영공(김순)의 장자, 김영후의 백형

서하군 임자송(任子松), 찬성사 김인윤(金仁沇),

언양군 ★김륜(金倫), ---민사평의 장인, 즉 김묘의 처 민씨의 외할아버지

김해군 ★이제현, ---1300년 충렬공 김방경 묘지명을 찬한 이진의 아들이고, 이제현은 1332년 문영공 김순처 허씨 묘지명 찬

성산군 이조년, 첨의평리 한종유,

삼사우사 ★김영후, ---문영공(김순)의 막내아들, 즉 김영돈의 막내동생

좌사 이몽가(李蒙哥), 판밀직사사 이운(李雲), 개성윤 윤신계(尹莘係),

전 지밀직사사 이엄(李儼), 전 동지밀직사사 윤환(尹桓), 박청(朴靑),

전 밀직부사 강윤충(康允忠), 안천길(安千吉), 노영서(盧英瑞),

원외랑(員外郞) 한의신(韓義臣), 군부판서(軍簿判書) 배전(裴佺), 최유(崔濡),

지신사 황석기(黃石奇), 판 종부시사(宗簿寺事), 손수경(孫守卿)

판 사복시사(司僕寺事) 윤원우(尹元佑), 대호군 김첨수(金添壽)와 김선장(金善莊),

호군 남궁 신과 임성(林成) 등을

1등 공신으로 정하여 벽상에 그들의 화상을 그리게 하고, 그 부모와 처는 세 등급을 올려 작위를 주고, 아들 한 명에게 7품 직을 제수할 것이다. 아들이 없으면 조카나 생질에게 대신 줄 것이며, 사위는 8품 직을 주고, 토지 1백 결(結)과 노비 10명을 줄 것이다.



영창군(永昌君) ★김승택(金承澤), ---김선의 3자, 김승용의 동생, 정간공(김영후)의 4촌

학성군(鶴城君) 박인수(朴仁壽), 전 군부판서 안자유(安子由),

상호군 김경(金鏡)과 전윤장(全允藏), 전 판 서운관사(書雲觀事) 손원(孫遠),

대호군 이광원(李光遠)과 김장(金莊),

호군 진교화(陣敎化), 승신(承信), 이헌(李軒), 손습(孫襲),

장랑장 왕석(王碩), 이충(李沖), 이원용(李元龍), 이광계(李光桂),

낭장 전경(全卿)과 홍매노(洪買奴) 등은

2등 공신으로 정하며, 부모와 처는 세 등급을 올려 작위를 주고, 아들 한 명에게 8품 직을 제수할 것이며 아들이 없으면 그 대신 사위에게 9품직을 제수하고, 토지 70결과 노비 5명을 줄 것이다.”



★김영돈

-부모 : 문영공 김순과 제평군부인 양천허씨(=허공의 녀)

-처 : 냉평국대부인 이천신씨 (=신여강의 녀)

-아들 : 김진



★김영후

-부모 : 문영공 김순과 제평군부인 양천허씨(=허공의 녀)

-처 : 상당군부인 청주한씨 (=한보의 녀)

-아들 : 김천



★김승택

-부모 : 김선과 순창군부인 순창설씨(=설인검의 녀)

-처 : 낙랑군부인 경주김씨 (=김혼의 녀)

-아들 : 김묘











▣ 고려사제38권-세가제38 (공민왕 임진원년 1352)



기미일에 서연(書筵)을 열고

영천 부원군 이능간(李凌幹),

김해 부원군 ★이제현(李齊賢), ---1300년 김방경 묘지명 찬한 이진의 아들이고, 이제현은 1332년 김순처 허씨 묘지명을 찬함

복창 부원군 ★김영후(金永煦), ---문영공(김순)의 4자, 김영돈의 막내동생

한양 부원군 한종유(韓宗愈), 연안 부원군 인승단(印承旦),

전 첨의 정승 이군해, 정승으로 치사(致仕)한 손기(孫琦),

전 찬성사 허백(許伯)과 ★김자(金資), ---?충렬공 장손, 즉 김선의 장자가 맞다면 김영후와 4촌

안산군 ★안진(安震), ---1348년 김영돈 묘지명 찬, 1350년 김방경 행장 跋

정천군 정을보(鄭乙輔),

영창군 ★김승택(金承澤), ---김선의 아들, 김승용의 동생, 정간공(김영후)의 4촌

영산군 장항(張沆), 낙 낭군 이천선(李遷善),

밀직부사 ★안목(安牧), ---안렴사공 김사렴의 장인 안원숭의 부, <안향→안자기→안목→안원숭>

전리 판서 백문보(白文寶)

등이 날을 바꾸어 시독(侍讀)하게 하고,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공민왕 재위 기간이 여러 가지로 우리 문중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 김윤만 - 잘 읽었습니다.

▣ 솔내 - 감사

▣ 김은회 - 잘 읽었습니다.

▣ 김항용 -

▣ 김영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