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15 (21세 균정)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22 05:21 조회1,510회 댓글0건본문
태보공 김알지에서 경순왕까지 15 (21세 균정)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하고 있습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 ---65(탈해이사금 9)∼?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172년, 188년, 189년, 190년
7. 末仇(말구) 291년(유례이사금 8) 정월에 이벌찬(伊伐飡)이 됨
-----------형제 미추 :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8. 奈勿王(내물왕) ---?∼402. 신라 제17대왕. 재위 356∼402
9. 卜好(복호) ---412년 고구려에 인질로, 418년 신라로 귀환
-----------형제 눌지 :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458, 신라 제19대왕, 재위 417∼458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 437(눌지왕 21)∼514(법흥왕 1). 신라 제22대 왕. 재위 500∼514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655(태종무열왕 2). 내물마립간의 8대손으로, 아버지는 잡찬(#잡19飡) ★달복(達福)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670년, 680년
17. 魏文(위문) ---712년 중시(=시중)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798(원성왕 14). 신라 제38대 왕. 재위 785∼798.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836(희강왕 1).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21. 균정(均貞)
●김균정(金均貞)
?∼836(희강왕 1). 통일신라 후기의 왕족·정치가. 원성왕의 손자이며, 예영태자(禮英太子)의 아들이다.
처음 진교부인(眞矯夫人, 혹은 貞矯)과 혼인하고 뒤에 사촌형인 김충공(金忠恭)의 딸 조명부인(照明夫人, 혹은 昕明)과 혼인했다. ★진교부인과의 사이에서 제45대 ★신무왕을, ★조명부인과의 사이에서 제47대 ★헌안왕을 낳았다.
802년(애장왕 3) 대아찬이 되었으며, 이때 조정에서 그를 가왕자(假王子)로 삼아 일본에 인질로 보내려함에 이를 사양하였다.
812년(헌덕왕 4) 봄에 시중(侍中)으로 승진되었다가 814년 8월 김헌창(金憲昌)과 교체되었다.
822년 3월 웅천주도독(熊川州都督)이던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찬(伊飡)으로서 ★김웅원(金雄元), 그리고 아들인 대아찬 ★우징(祐徵)과 함께 삼군을 장악, 단시일내에 반란 토벌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였다.
828년(흥덕왕 3) 7월에는 일가의 원찰인 경상북도 영일군 신광면 비학산(飛鶴山) 소재 법광사(法光寺)에 삼층석탑을 건립했다.
835년 2월 김충공의 후임으로 상대등이 되었으나, 이듬해 12월 흥덕왕이 아들없이 죽자, 아들 ★우징과 조카 ★예징(禮徵) 그리고 ★김양(金陽) 등의 추대를 받아 그의 종질 제륭(悌隆)과 왕위경쟁에 나섰다. 그리하여 시중이던 ★김명(金明) 등의 지지를 받은 ★제륭과 궁궐 안에서 격전을 벌였으나 싸움에 패배하여 살해되었다.
뒤에 아들 우징이 왕위에 오르자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法光寺石塔記(黃壽永, 白山學報 8, 1970;韓國의 佛敎美術, 1974)
新羅元聖王系의 王位交替(吳星, 全海宗紀念史學論叢, 1979)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歷史學報 85, 1980;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1980). 〈李基東〉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 김윤만 -
▣ 솔내 -
▣ 김항용 -
우리 범신라김씨의 鼻祖---시조 이전의 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이신 태보공 김알지로부터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까지의 선조님들을 순례하고 있습니다.
1. 시조대왕 金閼智(알지) ---65(탈해이사금 9)∼?
2. 勢漢(세한)
3. 阿道(아도)
4. 首留(수유)
5. 郁甫(욱보)
6. 仇道(구도) ---172년, 188년, 189년, 190년
7. 末仇(말구) 291년(유례이사금 8) 정월에 이벌찬(伊伐飡)이 됨
-----------형제 미추 : ?∼284(유례이사금 1). 신라 제13대왕. 재위 262∼284.
8. 奈勿王(내물왕) ---?∼402. 신라 제17대왕. 재위 356∼402
9. 卜好(복호) ---412년 고구려에 인질로, 418년 신라로 귀환
-----------형제 눌지 :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458, 신라 제19대왕, 재위 417∼458
10. 習寶(습보)
11. 智證王(지증왕) --- 437(눌지왕 21)∼514(법흥왕 1). 신라 제22대 왕. 재위 500∼514
12. 眞宗(진종)
13. 欽運(흠운) ---?∼655(태종무열왕 2). 내물마립간의 8대손으로, 아버지는 잡찬(#잡19飡) ★달복(達福)
14. 摩次(마차)
15. 法宣(법선)
16. 義寬(의관) ---670년, 680년
17. 魏文(위문) ---712년 중시(=시중)
18. 孝讓(효양)
19. 元聖王(원성왕) ---?∼798(원성왕 14). 신라 제38대 왕. 재위 785∼798.
20. 禮英(예영)
●21. 均貞(균정) ---?∼836(희강왕 1).
22. 神武王(신무왕)
23. 文聖王(문성왕)
24. 安(안)
25. 敏恭(민공)
26. 實虹(실홍)
27. 孝宗(효종)
28.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21. 균정(均貞)
●김균정(金均貞)
?∼836(희강왕 1). 통일신라 후기의 왕족·정치가. 원성왕의 손자이며, 예영태자(禮英太子)의 아들이다.
처음 진교부인(眞矯夫人, 혹은 貞矯)과 혼인하고 뒤에 사촌형인 김충공(金忠恭)의 딸 조명부인(照明夫人, 혹은 昕明)과 혼인했다. ★진교부인과의 사이에서 제45대 ★신무왕을, ★조명부인과의 사이에서 제47대 ★헌안왕을 낳았다.
802년(애장왕 3) 대아찬이 되었으며, 이때 조정에서 그를 가왕자(假王子)로 삼아 일본에 인질로 보내려함에 이를 사양하였다.
812년(헌덕왕 4) 봄에 시중(侍中)으로 승진되었다가 814년 8월 김헌창(金憲昌)과 교체되었다.
822년 3월 웅천주도독(熊川州都督)이던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찬(伊飡)으로서 ★김웅원(金雄元), 그리고 아들인 대아찬 ★우징(祐徵)과 함께 삼군을 장악, 단시일내에 반란 토벌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였다.
828년(흥덕왕 3) 7월에는 일가의 원찰인 경상북도 영일군 신광면 비학산(飛鶴山) 소재 법광사(法光寺)에 삼층석탑을 건립했다.
835년 2월 김충공의 후임으로 상대등이 되었으나, 이듬해 12월 흥덕왕이 아들없이 죽자, 아들 ★우징과 조카 ★예징(禮徵) 그리고 ★김양(金陽) 등의 추대를 받아 그의 종질 제륭(悌隆)과 왕위경쟁에 나섰다. 그리하여 시중이던 ★김명(金明) 등의 지지를 받은 ★제륭과 궁궐 안에서 격전을 벌였으나 싸움에 패배하여 살해되었다.
뒤에 아들 우징이 왕위에 오르자 성덕대왕(成德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法光寺石塔記(黃壽永, 白山學報 8, 1970;韓國의 佛敎美術, 1974)
新羅元聖王系의 王位交替(吳星, 全海宗紀念史學論叢, 1979)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歷史學報 85, 1980;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1980). 〈李基東〉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 김윤만 -
▣ 솔내 -
▣ 김항용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