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대관上 06 ---김영후5(E)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1-23 04:54 조회1,597회 댓글0건본문
오은대관上 06 ---김영후5(E)
한 사람의 어린시절의 성장과정에 크게 영향을 주는 사람은 조부모님과 부모님, 외가댁 어른, 그리고 형제들과 친구들일 것입니다. 또한 조금 더 크면 스승의 영향을 많이 받겠지요. 이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습니다.
1-6 성장과정과 스승
할아버지 충렬공(김방경, 1212∼1300)은 정간공(김영후, 1292∼1361) 9세까지
아버지 문영공(김순, 1258∼1321)은 정간공 30세까지
둘째매형이자 스승인 백이정(1247∼1323)은 정간공 32세까지
어머니 양천허씨(?∼1332)는 정간공 41세까지
백형 김영돈(?∼1348)은 정간공 57세까지 사셨으므로
정간공의 어린시절과 성장과정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백상당(=백이정)문인 24인명단에 이제현, 김영돈, 김영후, 안목 등의 휘자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정간공은 매형 백이정의 문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 : 충렬공(김방경) (1212∼1300)
○할머니 : 냉평국대부인 죽주박씨 (?∼1280년경 이전 졸)
○외할아버지 : 허공 (1233∼1291)
○아버지 : 문영공(김순) (1258∼1321)
○어머니 : 제평군부인 양천허씨 (?∼1332)
○장인 : 한보 (?∼?)
○매형 : 정책 (?∼?) --- 정오 (?∼1359), 정포 (1309∼1345)
○매형,스승 : 백이정 (1247∼1323)
○매형 : 별리가불화
○백형 : 김영돈 (?∼1348)
○중형 : 김사순
○중형 : 김영휘
● 백상당(=백이정) 문인 24人
출전 : 華海師全 中 諸子敍述 : 24인중에 14분의 이름과 호만 기록이 되어 있음
1 ★이제현(李齊賢) 익 제(益 齋) [1287-1367] (충렬왕13-공민왕16)
2 이달존(李達尊) 운 와(雲 窩) [1313-1340] 이제현의 子
3 박충좌(朴忠佐) 치 암(恥 菴) [1287-1349] (충렬왕13-충정왕 1)
4 ★민종유(閔宗儒) 초오자(草塢子)[1245-1324] (고종 32-충숙왕11)
5 ★김영돈(金永旽) 균 헌(筠 軒) [ ? - 1348] ( 충목왕 4)
6 ★김영후(金永煦) 온 제(穩 齊) [1292-1361] (충렬왕18-공민왕 10)
7 ★안 목(安 牧) 겸 제(謙 齊) [ ? - 1360] ( 공민왕 9)
8 백천장(白天藏) 묵 와(默 窩)
9 오효충(吳孝庶) 계 제(戒 齊)
10 김광철(金光轍) 둔 헌(鈍 軒) [ ? ∼1349] ( - 충정왕 1)
11 김광재(金光載) 송 당(松 堂) [1289-1363] (충렬왕15-공민왕12)
12 장 순(張 純) 충 암(沖 菴)
13 임자송(任子松) 허 제(虛 齊) (1319-1342년 관직)
14 임자순(任子順) 화 제(和 齊)
●백이정(白#이96正) -----정간공(김영후)의 매형이자 스승
1247(고종 34)∼1323(충숙왕 10). 고려 충선왕 때의 유학자. 본관은 남포(藍浦). 자는 약헌(若軒). 호는 이재(#이23齋).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문절(文節)의 아들이며 ★안향(安珦)의 문인이다.
1275년(충렬왕 1) 문과에 급제, 충선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를 겸하였고 뒤에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다.
1298년 원(元)이 사신을 보내어 세자를 왕으로 삼고, 8월에 왕을 불러가자 충선왕을 따라 원의 연경(燕京)에서 10년간 머물러 있었는데, 그동안 주로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연구하였고, 귀국할 때 정주(程朱)의 성리서적과 주자의 《가례 家禮》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뒤 후진양성에 힘써서, ★이제현(李齊賢)·★박충좌(朴忠佐)·★이곡(李穀)·★이인복(李仁復)·★백문보(白文寶) 등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으며, 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들여온 사람은 ★안향이지만,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파악하여 크게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이라 할 수 있다.
안향과 백이정의 학통은 이제현에게 전승되었고, 이제현은 이색(李穡)에게, 이색은 권근(權近)과 변계량(卞季良)으로 이어졌다.
선조 때 김제남(金悌男)·최기남(崔起南) 등이 송경(宋京)에 서원을 세워 안향·권보(權溥)와 함께 배향하기로 경기사림(京畿士林)과 논의하다가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이루지 못하였지만, 남포의 신안원(新安院), 충주의 도통사(道統祠), 진주의 도통사(道通祠), 남해의 난곡사(蘭谷祠)에서 향사하고 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평리 양각산(羊角山)에 있으며, 신도비 등이 남아 있다. 유고로는 〈연거시 燕居詩〉·〈영당요 詠唐堯〉·〈한벽루 寒碧樓〉·〈여홍애집구 與洪厓集句〉 등의 시구가 전해지고 있다. 〈金吉洛〉
▣ 김항용 -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연재하시는 내용으로 많은 것을 흥민진진하게 배우고 있습니다. <조선유현연원도(朝鮮儒賢淵源圖)>에 백이정은 안유(安裕)의 문인이며, 백이정의 문인으로는 이제현, 박충좌, 임자순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김윤만 -
▣ 솔내 - 백이정은 안향의 뒤를 이어 성리학의 대가가 됩니다. 안유는 안향의 다른 이름입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한 사람의 어린시절의 성장과정에 크게 영향을 주는 사람은 조부모님과 부모님, 외가댁 어른, 그리고 형제들과 친구들일 것입니다. 또한 조금 더 크면 스승의 영향을 많이 받겠지요. 이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습니다.
1-6 성장과정과 스승
할아버지 충렬공(김방경, 1212∼1300)은 정간공(김영후, 1292∼1361) 9세까지
아버지 문영공(김순, 1258∼1321)은 정간공 30세까지
둘째매형이자 스승인 백이정(1247∼1323)은 정간공 32세까지
어머니 양천허씨(?∼1332)는 정간공 41세까지
백형 김영돈(?∼1348)은 정간공 57세까지 사셨으므로
정간공의 어린시절과 성장과정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백상당(=백이정)문인 24인명단에 이제현, 김영돈, 김영후, 안목 등의 휘자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정간공은 매형 백이정의 문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 : 충렬공(김방경) (1212∼1300)
○할머니 : 냉평국대부인 죽주박씨 (?∼1280년경 이전 졸)
○외할아버지 : 허공 (1233∼1291)
○아버지 : 문영공(김순) (1258∼1321)
○어머니 : 제평군부인 양천허씨 (?∼1332)
○장인 : 한보 (?∼?)
○매형 : 정책 (?∼?) --- 정오 (?∼1359), 정포 (1309∼1345)
○매형,스승 : 백이정 (1247∼1323)
○매형 : 별리가불화
○백형 : 김영돈 (?∼1348)
○중형 : 김사순
○중형 : 김영휘
● 백상당(=백이정) 문인 24人
출전 : 華海師全 中 諸子敍述 : 24인중에 14분의 이름과 호만 기록이 되어 있음
1 ★이제현(李齊賢) 익 제(益 齋) [1287-1367] (충렬왕13-공민왕16)
2 이달존(李達尊) 운 와(雲 窩) [1313-1340] 이제현의 子
3 박충좌(朴忠佐) 치 암(恥 菴) [1287-1349] (충렬왕13-충정왕 1)
4 ★민종유(閔宗儒) 초오자(草塢子)[1245-1324] (고종 32-충숙왕11)
5 ★김영돈(金永旽) 균 헌(筠 軒) [ ? - 1348] ( 충목왕 4)
6 ★김영후(金永煦) 온 제(穩 齊) [1292-1361] (충렬왕18-공민왕 10)
7 ★안 목(安 牧) 겸 제(謙 齊) [ ? - 1360] ( 공민왕 9)
8 백천장(白天藏) 묵 와(默 窩)
9 오효충(吳孝庶) 계 제(戒 齊)
10 김광철(金光轍) 둔 헌(鈍 軒) [ ? ∼1349] ( - 충정왕 1)
11 김광재(金光載) 송 당(松 堂) [1289-1363] (충렬왕15-공민왕12)
12 장 순(張 純) 충 암(沖 菴)
13 임자송(任子松) 허 제(虛 齊) (1319-1342년 관직)
14 임자순(任子順) 화 제(和 齊)
●백이정(白#이96正) -----정간공(김영후)의 매형이자 스승
1247(고종 34)∼1323(충숙왕 10). 고려 충선왕 때의 유학자. 본관은 남포(藍浦). 자는 약헌(若軒). 호는 이재(#이23齋).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문절(文節)의 아들이며 ★안향(安珦)의 문인이다.
1275년(충렬왕 1) 문과에 급제, 충선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를 겸하였고 뒤에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다.
1298년 원(元)이 사신을 보내어 세자를 왕으로 삼고, 8월에 왕을 불러가자 충선왕을 따라 원의 연경(燕京)에서 10년간 머물러 있었는데, 그동안 주로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연구하였고, 귀국할 때 정주(程朱)의 성리서적과 주자의 《가례 家禮》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뒤 후진양성에 힘써서, ★이제현(李齊賢)·★박충좌(朴忠佐)·★이곡(李穀)·★이인복(李仁復)·★백문보(白文寶) 등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으며, 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들여온 사람은 ★안향이지만,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파악하여 크게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이라 할 수 있다.
안향과 백이정의 학통은 이제현에게 전승되었고, 이제현은 이색(李穡)에게, 이색은 권근(權近)과 변계량(卞季良)으로 이어졌다.
선조 때 김제남(金悌男)·최기남(崔起南) 등이 송경(宋京)에 서원을 세워 안향·권보(權溥)와 함께 배향하기로 경기사림(京畿士林)과 논의하다가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이루지 못하였지만, 남포의 신안원(新安院), 충주의 도통사(道統祠), 진주의 도통사(道通祠), 남해의 난곡사(蘭谷祠)에서 향사하고 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평리 양각산(羊角山)에 있으며, 신도비 등이 남아 있다. 유고로는 〈연거시 燕居詩〉·〈영당요 詠唐堯〉·〈한벽루 寒碧樓〉·〈여홍애집구 與洪厓集句〉 등의 시구가 전해지고 있다. 〈金吉洛〉
▣ 김항용 -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연재하시는 내용으로 많은 것을 흥민진진하게 배우고 있습니다. <조선유현연원도(朝鮮儒賢淵源圖)>에 백이정은 안유(安裕)의 문인이며, 백이정의 문인으로는 이제현, 박충좌, 임자순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김윤만 -
▣ 솔내 - 백이정은 안향의 뒤를 이어 성리학의 대가가 됩니다. 안유는 안향의 다른 이름입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