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구장골 익원공파 선영 사진

페이지 정보

김태서 작성일03-02-05 10:41 조회1,933회 댓글0건

본문

완식 님(익)께서 보내 오신 사진과 설명입니다.

이 사진들은 충북 충주 엄정 논리 논동과 비석부락에 있는 문정공파 언청공 이하 후손들의 묘소 사진이라고 합니다.

선조님들의 자(字)는 완식 님께서 족보를 보고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일부 한자는 인터넷에서 표현할 수 없는 글자라 플러스 기호(+)를 써서 적었습니다.



1. 운봉현감(雲峰縣監) 언청(彦淸), 양천허씨(陽川許氏) - 언청 공은 문정공 김질(金石+質)의 셋째 아들인 지동(智童:영흥부사를 지내셨음.) 공의 작은아들 방(滂)의 아들 즉 문정공의 증손자임. 언청공의 부인이신 양천허씨가 그 유명한 허적(許石+責)의 따님이라고 족보에 수록돼 있습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11%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12%2Egif








2. 증 가선대부 형조참판 겸 동지 의금부사 김전[金塡:자(字)는 근숙(謹叔)], 증 정부인 파평윤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21%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22%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23%2Egif








3.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행 절충장군 만포진 병마 첨(僉) 절제사 김계현[金繼賢:자(字)는 선승(善承)], 증 정부인 양천허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30%2Egif








4. 가선대부 3도수군통제사 겸 경상우도 수군절제사 김적[金책받침+易:자(字)는 이원(而遠)], 증 정부인 전주이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41%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42%2Egif








5. 어모장군(禦侮將軍) 행 무관선전관(武官宣傳官) 김규(金癸+戈), 숙부인 능성구씨, 숙인 청송심씨


통덕랑 김진휘(金振輝), 숙인 해주정씨


그 외 명천도호부사를 지내신 익휘[益輝:자(字)는 계보(季輔)], 무과통정갑자도호부사를 지내신 광휘(匡輝), 사헌부 감찰을 지내신 감(戡), 병조좌랑을 지내신 전[晉+戈:자(字)는 여원(汝原)] 등 문정공 언청계(系) 후손들의 묘지가 이어져 있습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51%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52%2Egif








6. 억정사 대지국사비(보물 제16호) - 종산의 선영하에 근접해 있습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60%2Egif








7. 신 할아버지 묘지 아래에서 본 구장골(舊葬谷)의 모습 - 낙흥부원군 자점 할아버지의 가묘가 있었다고 합니다. 실제 친척분들이 그 골짜기 안에다가 묘지를 쓰려다가 백회곽이 나와서 묘지를 못 썼다고들 합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70%2Egif








8. 증 정부인 원주원씨 - 증 형조판서 겸 동지 의금부사이신 김전(金塡) 공의 두 번째 부인. 병자호란 후 파평윤씨가 청나라에 잡혀 가시고 다시 정부인으로 원주원씨를 맞으셨다고 전합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80%2Egif








9. 통덕랑 김계철(金繼哲), 공인(恭人) 초계정씨"> - 3번 사진 계현 공의 동생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090%2Egif








10. 통정대부 첨지 중추부사 김직(金稷), 숙인(淑人) 원주원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00%2Egif








11. 통정대부 첨지 중추부사 김명휘(金明輝), 숙인(淑人) 전주이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10%2Egif








12. 김의(金儀), 평산조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20%2Egif








13. 김서필(金瑞苾), 원주원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30%2Egif








14. 김후[金木+厚:자(字)는 여동(汝童)], 경주김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40%2Egif








15. 김치성[金致聲:자(字)는 백진(伯振)], 무안박씨, 진천송씨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50%2Egif








16. 김식[金軾:자(字)는 자담(子 )], 평택임씨 - 개인적으로 저의 7대조이십니다.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60%2Egif








17. 원주원씨께서 묻히신 선영하에서 올려다본 모습 - 엄정면 비석부락 억정사 대지국사비 위에 있음.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70%2Egif








18. 논동 선영하에서 올려다본 산소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80%2Egif








19. 논동 마을에서 본 계현 공 이하 산소 - 마을의 중심에 자리해 있음.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190%2Egif








20. 논동 선영하에서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201%2Egif





file_down.asp?redirect=%2Fdata%2F2003%2F2%2F5%2Fik%5F202%2Egif














▣ 김은회 - 잘 보았습니다.

▣ 김윤만 - 충북 충주시 엄정면 논장리 논동과 비석부락 및 구장골.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가묘란 어떤 의미일까요? 그야말로 가짜 묘란 뜻일까요? 아니면 임시로 쓰신 묘소란 뜻일까요? 참으로 궁금합니다.

▣ 솔내영환 -

▣ 김태서 - 윤식종친님 감사합니다.

▣ 김주회 - 태완종친님과 태서종친님의 귀한 자료와 소개!!! 잘 보았습니다. 충주시 엄정면 논장리 라면 한나절 코스이므로 기회가 닿은 대로 들려볼까 합니다.

▣ 김재이 - 잘 보았습니다

▣ 김완식 - 오늘에서야 봤습니다.태서종친님 감사드립니다.논장리가 아니구요 논강리 입니다.한번들 오시면 유익하시라라 믿습니다. 저희 동네가 예전엔 거개가 안동김문 문정공파손들과 양천허씨가 주로 살던 동네 였습니다(지금은 이농현상때문에 많이 바뀌었죠).여러 어른들의 흔적이 남아 있읍니다. 또 제게 연락주시면 기꺼이 모시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