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Re:전주최씨와 우리가문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2-05 03:54 조회2,264회 댓글0건

본문

전주최씨와 우리가문





전주최씨와 우리가문의 인연을 살펴 보았습니다.



○ 여말선초의 최유경은 김묘의 아홉사위중 셋째사위입니다. 즉 김묘의 셋째따님이 최유경의 둘째부인으로 출가하였습니다. 김묘의 큰 사위인 충강공 김사안의 손아래 동서가 됩니다.



○ 최유경은 첫째부인 지밀직사 김달상의 딸(일선김씨) 소생으로 1남(최사위)를,

두번째부인 상락공 ★김묘의 딸(안동김씨) 소생으로 1남(최사의)를,

세째부인 시중 이숭의 딸(고성이씨) 소생으로 4남(최사규, 최사강, 최사용, 최사흥)을 두었습니다.



○ 최유경은 여말선초의 갈림길에서 이성계의 조선개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에 봉해졌으며, 조선 초기 축성도감의 도제조로 서울의 성곽(城郭)과 남대문(南大門)을 세웠으며 남대문의 상량문(上樑文)은 공의 친필(親筆)로서 1962년 지하철(地下鐵) 1호선 건설을 위해 남대문을 해체(解體) 작업 중 발견되어 중요한 문화재가 되었다고 합니다.



○ 또한 말년에 충북 진천으로 낙향하여 지금도 후손이 충북 진천 문백 구곡리에 임연장군의 후손인 상산(진천)임씨와 함께 세거하고 있습니다.

이곳 구곡리에 있는 우리나라 최고의 다리로 알려지고 있는 농교(농다리)도 구전이나 문화재청, 향토자료 등에는 임연장군이 놓았다고 되어 있으나, 전주최씨 족보에는 최유경이 한양을 건설할 당시 한강에 다리도 놓는등 건축의 대가였던 최유경이 이곳 진천에 낙향하였을 당시 농다리도 놓았다는 내용이 자세히 실려 있습니다. 상당히 신빙성이 가는 대목입니다.



○ 그리고 최유경은 후손인 명곡 최석정으로 인하여 청주 송천서원(주벽 김사렴)에 배향되었습니다.



○ 최유경의 후손으로 최명길이 있고, 최명길의 손자 명곡 최석정은 송천서원에 배향된 남구만의 문인으로 1678년 안렴사공(김사렴)의 묘소가 발견되자 송천서원을 세우고 7현의 향축문도 찬하였으며, 송천서원에 배향되었습니다.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

전주(全州) 최씨의 인물들 (가나다순)



영관(永寬){2}

최강(崔堈)

최경행(崔敬行)



최광벽(崔光璧)

최균(崔均){2}

최기남(崔起南){1}



최기필(崔琦弼)

최내길(崔來吉)

최덕지(崔德之)



최득칭(崔得秤)

●최명길(崔鳴吉) ---최석정의 할아버지

최명룡(崔命龍)



?최문도(崔文度)

최방언(崔邦彦)

최병심(崔秉心)



최보순(崔甫淳)

최부(崔府)

최비일(崔毗一)

최사강(崔士康)

최산휘(崔山輝)



●최석정(崔錫鼎) ---최명길의 손자, 송천서원에 배향된 남구만의 문인, 송천서원 세우고 7현의 향축문 찬, 송천서원에 배향됨



최석진(崔錫晋)

최석항(崔錫恒)

최성지(崔誠之)



최순영(崔淳永)

최안(崔安)

최양(崔瀁)



최영림(崔榮林)

최우순(崔宇淳)

최욱영(崔旭永)

최유(崔濡){4}



●최유경(崔有慶) ---김묘의 셋째사위 (김묘의 셋째따님이 최유경의 둘째부인임), 즉 안렴사공(김사렴)의 동생 김사안과는 동서지간임. 최명길 최석정의 선조, 송천서원에 배향됨



최윤개(崔允愷)

최응룡(崔應龍)

최익남(崔益男)

최익수(崔益秀)



●최재(崔宰){2} ---최유경의 아버지

최재유(崔在裕)

최전구(崔銓九)



최정길(崔廷吉)

최지(崔池)

최창대(崔昌大)



최천건(崔天健)

최철견(崔鐵堅)

최탁(崔濯){3}



최탁(崔琢){2}

최팔용(崔八鏞)

최현(崔#현04)



최혜길(崔惠吉)

●최후량(崔後亮) ---최명길의 아들, 최석정의 친부

●최후상(崔後尙) ---최명길의 아들, 최석정의 양부



최후윤(崔後胤)

최희정(崔希汀)

최칠석(崔七夕)







<전주최씨 홈페이지>

●평도공 최유경(平度公 崔有慶)

1343-1413. 조선 초기의 문신 휘는 유경(有慶)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이다. 고려 우왕이 요동을 정벌 할 때 서북면 전운사로 찰방을 겸하였다.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뒤 밀직부사가 되고 조선을 개국하자 원종공신이 되었으며 1397년 지중추원사를 거쳐서 유후사로 승진했다. 조선 태종이 즉위하자 대사헌을 거쳐 참찬 의정부사가 되어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판한성부사에 보직되었다. 시호는 평도공(平度公)이다.

조선 초기 축성도감의 도제조로 서울의 성곽(城郭)과 남대문(南大門)을 세웠으며 남대문의 상량문(上樑文)은 공의 친필(親筆)로서 1962년 지하철(地下鐵) 1호선 건설을 위해 남대문을 해체(解體) 작업 중 발견되어 중요한 문화재가 되었다.





<용인시청 홈페이지>

●최유경 묘역

지정번호 : 향토유적 제33호

지정년월일 : 1992.10.12

시대 : 조선 태종13년(14130

소재지 : 용인시 기흥읍 공세리 산 1-1

소유자 : 전주최씨 종중

규모 좌우 440cm, 전후 540cm

높이 170cm

재료 : 토분 및 석물



최유경(崔有慶)의 묘소는 기흥읍 공세리 자봉산(紫鳳山) 기슭에 있다. 그의 묘역은 천·지·인(天地人) 삼혈(三穴)이 고루 갖춰진 명당이라 한다. 그의 묘는 조선 초기의 형식인 방형상분묘 (方形雙墳墓)로서 2단의 장대석 (長臺石)이 둘러져 있고, 묘 앞에는 묘표(墓表)·상석· 향로석·장명등, 그리고 좌우에는 동자석(童子石)·문인석(文人石) 등의 석물이 각각 배치 되어 있다.

묘 우측에 위치한 묘갈(墓碣)은 장방형 지대석 위에 옥개석(屋蓋石)을 갖추었으며, 비신의 석질은 대리석이다. 묘역 입구에는 영덕재(永德齋)가 건립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1950년대 에 건립된 신도비가 있다. 하단에 있는 묘는 그의 아들로서 판이조사 (判吏曹事)를 지낸 사강(士康)부부의 묘다. 쌍분임에도 장면 등을 묘 앞에 각각 1개씩 세운 것이 특징이다.

최노첨의 묘는 방형 지대석이 생략된 원형 봉토분으로서 묘지 기단석이 생략되었고, 상석 하단에 앙련(仰蓮)의 연화문을 둘른 것이 특징이다. 최노첨은 최유경의 8대손 으로 인조 때 용인현령을 지낸 바 있다. 최유경(1343-1413)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고려 공민왕 21년(1372) 판도좌랑(判圖佐郞)이 되었다. 사헌 장령(司憲掌令)으로 있을 때 윤충좌(尹忠佐)의 교만 방자함을 탄핵했다. 이어 여러 벼슬을 지내며 공을 세웠다. 특히 이성계(李成桂)의 조선 개국을 도와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다. 태조 6년(1397)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로서 경기·충청 도체찰사(都體察使), 이듬해 개성유후(開城留侯)로서 경기우도(京畿右道)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가 되었다.

태종 1년(1401)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 왔다. 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로 있다가 사임했다. 태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祿選)되었다. 시호는 평도(平度)이다.





<전주최씨 홈페이지>

1. 평도공파 중시조 (최유경,전주최씨8세)에 대하여

- 휘는 유경, 자는 경지, 호는 죽정

- 전주최씨 최순작계통 7세(최재)의 세째아들로 태어남

- 세번 장가 가셨다.(여복이 많으신 조상님입니다.)

- 활동시기: (1342~1413, 고려말 충혜왕 3년 ~조선 태종13년)

- 1360년 - 장령벼슬

- 태조 이성계가 등극하기전 고려를 섬김에 충성심을 가상히

여김

- 조선개국공신

- 조선태조(이성계)때 -영촉도 감사 제수, 청백리라 칭함

- 대사헌, 정헌대부,의정부 좌참찬 벼슬함

- 1413년(조선 태종13년) - 별세

- 조선세종대왕때 " 평도공 "시호 받음



2.평도공파(중시조-★최유경,전주최씨8세)의 분파



1)판윤공파(=한성판윤공파)

- 파시조 : 최사위,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첫째아들

- 최유경의 첫째부인 지밀직사 김달상의 딸(일선김씨) 소생

- 활동시기:(1362~1439 , 고려말 공민왕10년~조선 세종20년)



2)양도공파

- 파시조 : 최사의,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둘째아들

- 최유경의 두번째부인 상락공 ★김묘의 딸(안동김씨) 소생

- 활동시기:(1376~1452, 고려말 무왕2년~조선 단종원년)



3)지평공파

- 파시조 : 최사규,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세째아들

- 최유경의 세째부인 시중 이숭의 딸(고성이씨) 소생

- 활동시기:(1382~1413, 고려말 무왕8년~조선 태종13년)



4)경절공파

- 파시조 : 최사강,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네째아들

- 최유경의 세째부인 시중 이숭의 딸(고성이씨) 소생

- 활동시기:(1384~1443, 고려말 무왕10년~조선 세종25년)



5)첨추공파

- 파시조 : 최사용,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다섯째아들

- 최유경의 세째부인 시중 이숭의 딸(고성이씨) 소생

- 활동시기:( ? ~1453, 조선초 ~조선 단종1년)



6)감무공파

- 파시조 : 최사흥,전주최씨9세

- 최유경의 여섯째아들

- 최유경의 세째부인 시중 이숭의 딸(고성이씨) 소생

- 활동시기:(1413~1493, 조선 태종13년 ~조선 성종24년)





▣ 영모재 안내판

○ 永慕齋에 대하여

안렴사공의 산소를 숙종4년에 찾으니 공의 충절을 사모하던 士林들이 慕(茅?)亭 비슷이 영모재를 묘하에 세우고 詩書를 강론하였다.

그후 최명곡(★최석정) 선생이 주무가 되어 松泉에 서원을 세워 공을 주벽으로 선현 7선생을 모시고 춘추 원향을 올리게 되었다. 7현의 향축문도 최명곡 선생이 撰하시었다.

영모재는 송천서원 전신으로 공의 묘소의 재궁으로 쓰여 오고 묘지명이 [사모할모자] 慕亭里로 전하여 왔다.









▣ 김은회 -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김항용 -

▣ 김윤만 -

▣ 솔내영환 - 최유경에 대한 자세한 기록 . 좋은 공부가 되어씁니다.

▣ 김재이 - 잘 보았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