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와 충렬공(4)길상면 상세탐구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3-02-08 00:40 조회1,546회 댓글0건본문
강화도의 충렬공할아버님의 발자취를 더듬고 있습니다. 강화도를 샅샅히 뒤지면 혹시
할아버님에 대한 조그마한 실마리라도 찾을까하여 강화도 일대를 집중탐구합니다.
오늘을 충렬공께서 사시든 곳이라여 원수리라 했던 것이 와전되어 온수리가 되었다는 길상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길상면 吉祥面
개요
인천 강화군 남동부에 있는 면.
위치 : 인천 강화군 남동부
인구 : 6,091(1994)
면적 : 34.8㎢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면적 34.8km2. 인구 6,091(1994). 6개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은 경기만(京畿灣)에 면하고, 동쪽은 한강의 지류인 염하(鹽河)를 사이에 두고 김포시 대곶면(大串面)과 마주하며, 서쪽은 화도면(華道面) ■양도면(良道面), 북쪽은 불은면(佛恩面)에 접한다.
기반암은 주로 화강암이며 화강편마암과 편암도 서부에 분포한다. 길상산(吉祥山:336m)과
정족산(鼎足山:220m) 등 낮은 산지와 구릉이 많아 농경지는 초지리(草支里)와 장흥리(壯興里) 일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동검도(東檢島) ■황산도(黃山島) ■소항산도 등의 섬이 있으며, 거의 모든
해안에 방조제가 축조되어 있다. 해안을 따라 넓은 간석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간척된 곳도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감자 ■인삼 등이며, 근해에서 뱀장어 ■농어 등이 생산된다. 정족산은
1660년(현종 1)에 마리산(摩利山)의 사고(史庫)를 옮겨 세우고 실록을 소장한 일로 유명해진 산으로,
전등사(傳燈寺)와 함께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문화재】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전등사, 전등사 대웅전(보물 178) ■약사전(藥師殿:보물 179)
■범종(보물 393), 양헌수 승전비(梁憲洙勝戰碑:지방유형문화재 26), 선원보각지(璿源譜閣址),
사고지(史庫址), 장사각지(藏史閣址), 삼랑성(三郞城:사적 130), 택지돈대(宅只墩臺:지방유형문화재
70), 초지진(草芝鎭:사적 225), 진남포대(鎭南砲臺), 이규보묘(李奎報墓), 이시원묘(李是遠墓:지방기념
물 8) 등이 있다.
〈양헌수 승전비〉 1866년(고종 3)에 군민이 건립한 비석으로,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정족산성
(鼎足山城)에서 양헌수가 강계포수(江界砲手) 800명을 거느리고 프랑스군을 격퇴시킨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가로 39cm, 세로 21cm, 높이 1.4m의 비석이 화강암으로 된 기단 위 단층 1칸의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택지돈대〉 1658년(효종 9) 강화유수 서원리(徐元履)가 왕명을 받아 경기 ■충청 ■전라 군사를
동원하여 축조한 돈대이다. 정사각형의 돈대에는 4개의 포좌(砲座)와 37개의 치첩(雉堞)을
설치하였는데 지금은 형태만 남아 있다.
〈이규보묘〉 고려 고종 때의 문장가이며 문신인 이규보의 묘이다. 봉분 하부는 다듬어진 석재로
병풍석을 둘렀고 전면 중앙에 석등을, 좌우에는 석수(石獸) ■석인(石人)을 배치하였다.
봉분은 둘레 16m, 높이 1.8m이다. 경내에는 묘단(墓壇) 밑에 높이 2m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김윤만 -
▣ 김항용 -
할아버님에 대한 조그마한 실마리라도 찾을까하여 강화도 일대를 집중탐구합니다.
오늘을 충렬공께서 사시든 곳이라여 원수리라 했던 것이 와전되어 온수리가 되었다는 길상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길상면 吉祥面
개요
인천 강화군 남동부에 있는 면.
위치 : 인천 강화군 남동부
인구 : 6,091(1994)
면적 : 34.8㎢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면적 34.8km2. 인구 6,091(1994). 6개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은 경기만(京畿灣)에 면하고, 동쪽은 한강의 지류인 염하(鹽河)를 사이에 두고 김포시 대곶면(大串面)과 마주하며, 서쪽은 화도면(華道面) ■양도면(良道面), 북쪽은 불은면(佛恩面)에 접한다.
기반암은 주로 화강암이며 화강편마암과 편암도 서부에 분포한다. 길상산(吉祥山:336m)과
정족산(鼎足山:220m) 등 낮은 산지와 구릉이 많아 농경지는 초지리(草支里)와 장흥리(壯興里) 일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동검도(東檢島) ■황산도(黃山島) ■소항산도 등의 섬이 있으며, 거의 모든
해안에 방조제가 축조되어 있다. 해안을 따라 넓은 간석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간척된 곳도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감자 ■인삼 등이며, 근해에서 뱀장어 ■농어 등이 생산된다. 정족산은
1660년(현종 1)에 마리산(摩利山)의 사고(史庫)를 옮겨 세우고 실록을 소장한 일로 유명해진 산으로,
전등사(傳燈寺)와 함께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문화재】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전등사, 전등사 대웅전(보물 178) ■약사전(藥師殿:보물 179)
■범종(보물 393), 양헌수 승전비(梁憲洙勝戰碑:지방유형문화재 26), 선원보각지(璿源譜閣址),
사고지(史庫址), 장사각지(藏史閣址), 삼랑성(三郞城:사적 130), 택지돈대(宅只墩臺:지방유형문화재
70), 초지진(草芝鎭:사적 225), 진남포대(鎭南砲臺), 이규보묘(李奎報墓), 이시원묘(李是遠墓:지방기념
물 8) 등이 있다.
〈양헌수 승전비〉 1866년(고종 3)에 군민이 건립한 비석으로,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정족산성
(鼎足山城)에서 양헌수가 강계포수(江界砲手) 800명을 거느리고 프랑스군을 격퇴시킨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가로 39cm, 세로 21cm, 높이 1.4m의 비석이 화강암으로 된 기단 위 단층 1칸의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택지돈대〉 1658년(효종 9) 강화유수 서원리(徐元履)가 왕명을 받아 경기 ■충청 ■전라 군사를
동원하여 축조한 돈대이다. 정사각형의 돈대에는 4개의 포좌(砲座)와 37개의 치첩(雉堞)을
설치하였는데 지금은 형태만 남아 있다.
〈이규보묘〉 고려 고종 때의 문장가이며 문신인 이규보의 묘이다. 봉분 하부는 다듬어진 석재로
병풍석을 둘렀고 전면 중앙에 석등을, 좌우에는 석수(石獸) ■석인(石人)을 배치하였다.
봉분은 둘레 16m, 높이 1.8m이다. 경내에는 묘단(墓壇) 밑에 높이 2m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 김윤식 -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김윤만 -
▣ 김항용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