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e:백범(89)여운형과 장덕수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3-02-11 00:11 조회1,708회 댓글0건본문
여운형
呂運亨 [1886.4.22~1947.7.19
개요
독립운동가 ·정치가.
호 : 몽양
활동분야 : 독립운동, 정치
출생지 : 경기 양평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호 몽양(夢陽). 경기 양평(楊平) 출생. 우무학당(郵務學堂) 등에서 한학(漢學)을 공부한 후 1907년
고향집에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세우고, 1908년 그리스도교에 입교하였다. 강릉에 초당의숙(草堂義塾)
을 세워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중 국권이 피탈되고 학교가 폐쇄되자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다.
선교사 클라크를 따라 서간도(西間島)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견학하며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교를 중퇴, 1913년 중국으로 건너갔다.
난징[南京] 진링대학[金陵大學]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다가 상하이[上海]로 가 1918년 신한청년당(
新韓靑年黨)을 발기하여 김규식(金奎植)을 파리평화회의에 대표로 파견하였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조직되자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이 되었는데, 일본정부는 이를 자치운동(自治運動)
으로 회유하고자 그 해 11월 그를 도쿄[東京]로 초청하였으나 오히려 장덕수(張德秀)를 통역관으로
삼아 일본의 조야(朝野) 인사들에게 한국독립의 정당성을 역설하였다.
1920년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에 가입, 192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원동(遠東)피압박민족대회에 참석,
한국의 사정을 세계에 호소하였다. 1929년 제령(制令)위반죄로 3년간 복역하고, 1933년 출옥,
조선중앙일보사(朝鮮中央日報社) 사장에 취임하였는데 1936년 신문이 일제에 의하여 정간되자
사임한 후 1944년 비밀결사인 조선건국동맹을 조직하였다.
8 ·15광복을 맞아 안재홍(安在鴻) 등과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 9월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하였으나
우익진영의 반대와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실패하였다. 12월 조선인민당을 창당, 1946년 29개의 좌익단체
를 규합하여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을 결성하였으나 반대하여 탈퇴하였다.
또, 근로인민당을 조직하였으나 극좌 ·극우 양측으로부터 소외당한 채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하던 중
중도좌파 한지근(韓智根)에 의하여 1947년 암살되었다.
체육인으로서의 그는 덴마크체조를 보급하였으며 조선체육회(대한체육회의 전신)
제11대(1946∼1947) 회장을 지냈다.
장덕수
장덕수 張德秀 [1895~1947.12.2]
개요
독립운동가 ·정치가.
본관 : 결성(結城)
호 : 설산(雪山)
활동분야 : 독립운동, 정치
출생지 : 황해도 재령(載寧)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본관 결성(結城). 호 설산(雪山). 황해도 재령(載寧)출생. 1916년 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정경학부를 졸업하고,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18년 여운형(呂運亨) ·
김규식(金奎植)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을 조직하고, 1919년 국내로 잠입하다
체포되었으나 여운형의 통역관이 되어 풀려났다.
그 해 여운형과 함께 일본정부를 방문, 한국독립의 타당성을 역설하였으며, 1920년 동아일보사
초대 주필이 되어 언론을 통한 민족정신 고취에 진력하였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1928년
컬럼비아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 보성전문 교수를 역임하고, 1936년 동아일보사
부사장을 지냈다.
8 ·15광복 후 송진우(宋鎭禹) ·김병로(金炳魯) 등과 한국민주당을 창당, 당 외교부장 ·정치부장을
역임하면서 민주국가 수립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좌익분자인 종로경찰서 경사 박광옥(朴光玉)과
배희범(裵熙範)에게 암살당하였다.
▣ 김윤만 -
▣ 김주회 - 잘 보았습니다.
▣ 김항용 -
▣ 김은회 -
▣ 김윤식 - 외할머니께 들은 이야기입니다. 몽양 선생이 암살 당한 직후 깨끗한 솜이불로 모셨는데 마치 잠을 자는 듯한 모습이었답니다.
呂運亨 [1886.4.22~1947.7.19
개요
독립운동가 ·정치가.
호 : 몽양
활동분야 : 독립운동, 정치
출생지 : 경기 양평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호 몽양(夢陽). 경기 양평(楊平) 출생. 우무학당(郵務學堂) 등에서 한학(漢學)을 공부한 후 1907년
고향집에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세우고, 1908년 그리스도교에 입교하였다. 강릉에 초당의숙(草堂義塾)
을 세워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중 국권이 피탈되고 학교가 폐쇄되자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다.
선교사 클라크를 따라 서간도(西間島)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견학하며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교를 중퇴, 1913년 중국으로 건너갔다.
난징[南京] 진링대학[金陵大學]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다가 상하이[上海]로 가 1918년 신한청년당(
新韓靑年黨)을 발기하여 김규식(金奎植)을 파리평화회의에 대표로 파견하였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조직되자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이 되었는데, 일본정부는 이를 자치운동(自治運動)
으로 회유하고자 그 해 11월 그를 도쿄[東京]로 초청하였으나 오히려 장덕수(張德秀)를 통역관으로
삼아 일본의 조야(朝野) 인사들에게 한국독립의 정당성을 역설하였다.
1920년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에 가입, 192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원동(遠東)피압박민족대회에 참석,
한국의 사정을 세계에 호소하였다. 1929년 제령(制令)위반죄로 3년간 복역하고, 1933년 출옥,
조선중앙일보사(朝鮮中央日報社) 사장에 취임하였는데 1936년 신문이 일제에 의하여 정간되자
사임한 후 1944년 비밀결사인 조선건국동맹을 조직하였다.
8 ·15광복을 맞아 안재홍(安在鴻) 등과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 9월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하였으나
우익진영의 반대와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실패하였다. 12월 조선인민당을 창당, 1946년 29개의 좌익단체
를 규합하여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을 결성하였으나 반대하여 탈퇴하였다.
또, 근로인민당을 조직하였으나 극좌 ·극우 양측으로부터 소외당한 채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하던 중
중도좌파 한지근(韓智根)에 의하여 1947년 암살되었다.
체육인으로서의 그는 덴마크체조를 보급하였으며 조선체육회(대한체육회의 전신)
제11대(1946∼1947) 회장을 지냈다.
장덕수
장덕수 張德秀 [1895~1947.12.2]
개요
독립운동가 ·정치가.
본관 : 결성(結城)
호 : 설산(雪山)
활동분야 : 독립운동, 정치
출생지 : 황해도 재령(載寧)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본관 결성(結城). 호 설산(雪山). 황해도 재령(載寧)출생. 1916년 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정경학부를 졸업하고,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18년 여운형(呂運亨) ·
김규식(金奎植)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을 조직하고, 1919년 국내로 잠입하다
체포되었으나 여운형의 통역관이 되어 풀려났다.
그 해 여운형과 함께 일본정부를 방문, 한국독립의 타당성을 역설하였으며, 1920년 동아일보사
초대 주필이 되어 언론을 통한 민족정신 고취에 진력하였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1928년
컬럼비아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 보성전문 교수를 역임하고, 1936년 동아일보사
부사장을 지냈다.
8 ·15광복 후 송진우(宋鎭禹) ·김병로(金炳魯) 등과 한국민주당을 창당, 당 외교부장 ·정치부장을
역임하면서 민주국가 수립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좌익분자인 종로경찰서 경사 박광옥(朴光玉)과
배희범(裵熙範)에게 암살당하였다.
▣ 김윤만 -
▣ 김주회 - 잘 보았습니다.
▣ 김항용 -
▣ 김은회 -
▣ 김윤식 - 외할머니께 들은 이야기입니다. 몽양 선생이 암살 당한 직후 깨끗한 솜이불로 모셨는데 마치 잠을 자는 듯한 모습이었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