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두문동72현 관련 문헌 모음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2-11 21:56 조회2,106회 댓글0건

본문

▣ 두문동72현 관련 문헌

1774년 철감록---1872년 기우집---1923년 여조충렬록 간행,

1809년 두문동실기 간행

1860년 화해사전---1924년 전고대방 간행

?1847년 두문동서원지 간행, ? 경현사지,







<규장각>

항 목 서 지 사 항

청구기호 奎 4457--1-2

청구기호 奎 12004--1-2

서명/저자 ●철感錄 / 李之運(朝鮮) 編.

출판사항 [刊地未詳] : [刊者未詳] ; [★刊年未詳] :

형태사항 5卷2冊 , 四周雙邊, 半葉匡郭: 20.3×15.8 cm, 有界, 10行19字, 版心: 上下花紋魚尾 : ; 31.4×20.4 cm..

주기사항 卷首: 安鼎福, 李晩殼, 李之運序.

주기사항 跋: 南景義.

내용주기 內容: 卷1: 騎牛先生遺稿. - 卷2: 提學公遺稿. - 卷3: 月淵先生遺稿. - 卷4: 金是堂先生遺稿. - 卷5: 謹齋先生實記.

사부분류 集部 總集類 一般

M/F번호 M/F83-16-120-F ( 奎4457)

광화일번호 SGP-156-020725

마스터번호 20658





<민족문화추진회>

●기우집(騎牛集)

서지사항 :

李行 著. 1卷·附錄2卷 合1冊(59板). 木板本. 한국문집총간 7집.

저자소개 :

이행(1352∼1432)의 자는 周道, 호는 騎牛子·白巖, 본관은 驪興, 시호는 文節. 고려가 망함에 은거하였다가 재등용되어, 開城留後에 이름.

문집구성 :

저본은 후손 之運이 「철感錄」의 일부로 수집·편차한 뒤, 후손 天燮이 二祖實記(李行·李태)로 분리·재편한 정고본을 바탕으로, ★1872년 후손 鍾述 등이 간행한 初刊本임.





<규장각>

항 목 서 지 사 항

청구기호 古 4653-15-

서명/저자 ●麗朝忠烈錄 / 蔡東열(朝鮮) 等編.

출판사항 [刊地未詳] : [刊者未詳] ; [1923] :

형태사항 1冊(55張) , ; 31.5×19 cm..

주기사항 序: 麗朝紀元後九癸亥(★1923)…蔡東說 跋: 是歲(1923)…李倫求.

사부분류 史部 傳記類 叢傳 一般

M/F번호 M/F84-16-159-I

광화일번호 SGP-026-002787

마스터번호 14607





<야후백과>

●두문동실기 杜門洞實記

두문동 72현(賢)에 관한 일을 적은 실기.

구분 : 실기, 목판본

시대 : 조선 순조 9년(★1809)

목판본. 3권 1책. 1809년(순조 9)에 72현의 한 사람인 성사제(成思齊)의 후손이 그의 조상에 관한 일을 중심으로 엮은 것이다. 1881년(고종 18)에 속록(續錄)을 붙여 재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72현의 기록이 모두 수록되어 있지는 않고 조의생(曺義生) ·임선미(林先味) ·이경(李瓊) ·맹호성(孟好誠) ·고천상(高天祥) ·서중보(徐仲輔) 및 성사제의 사적만이 나와 있다. 책머리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책끝에 김굉(金異 )의 발문이 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야후백과>

●화해사전 華海師全

고려 후기의 학자 신현(申賢:1298~1377)의 전기(傳記).

구분 : 전기, 신연활자본

저자 : 신현

시대 : 고려 후기

신연활자본. 4권 2책. 1931년 강영식(姜泳植)이 군산에서 우연히 이 책을 구해 편집 ·정리하여 ★1935년 논산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의 강영식의 서문에 의하면, 신현은 우탁(禹倬)의 문하생으로 송대(宋代)의 유학을 정몽주(鄭夢周)와 이색(李穡)에게 전해 주었다고 한다. 신현의 문하생인 정몽주가 이 책을 원천석(元天錫)에게 전해주자 원천석은 범세동(范世東)과 함께 편집을 하고 나서 간행하려 하였으나 어려운 시대상황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조선 초에도 후손들이 몰락하여 책이 궤짝 속에 넣어져 빛을 보지 못하였다고 한다. 서문 다음에 있는 〈동방도통도(東方道統圖)〉에는 유학의 도통을 단군에서부터 고려 후기까지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그 계통을 그려내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신현의 학문과 덕행 ·도학 ·의리명분 등을 문답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말미의 〈동방사문연원록(東方斯文淵源錄)〉은 도통(道統)의 연원을 인물별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화해사전제자안(華海師全諸子案)〉은 이 책에 수록된 229명의 이름을 기록해 놓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고려 말에서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의 유학에 대한 깊이와 수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보아, 조선 후기의 위작(僞作)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그 진위여부가 명확하지 않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야후백과>

●전고대방 典故大方

단군(檀君)에서 시작하여 한국 역대 인물에 대한 전거(典據)를 밝힌 일종의 인명사전.

구분 : 활자본, 인명사전

저자 : 강효석(姜斅錫)

시대 : 조선 후기(1924년 간행)

활자본. 4권 1책. 조선 후기의 학자 강효석(姜斅錫)이 엮어 ★1924년 서울 한양서원(漢陽書院)에서 발간하였다. 권1은 역대편(歷代編) ·전궁원묘(殿宮園墓) ·만성시조편(萬姓始祖編), 권2는 상신록(相臣錄) ·문형록(文衡錄) ·호당록(湖堂錄) ·청백리록(淸白吏錄) ·공신록(功臣錄) ·명장록(名將錄) ·등단록(登壇錄) ·문무제곤록(文武制밖錄), 권3은 경연관초선록(經筵官抄選錄) ·유현연원도(儒賢淵源圖) ·문인록(門人錄) ·문장가 ·서화가 부보유(附補遺), 권4는 종묘배향록(宗廟配享錄) ·문묘배향록(文廟配享錄) ·서원향사록(書院享祠錄) 등 33개 부문으로 분류, 사건마다 관련인물을 들어 소전(小傳)을 붙이고 알기 쉽게 서술하였다. 책머리에 윤회구(尹喜求)의 서문과 책끝에 편자와 고응한(高應漢)의 발문이 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김윤식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