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Re:오은대관下 18 ---안렴사공 생몰년 검토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2-17 01:12 조회1,548회 댓글0건

본문

오은대관下 18 ---안렴사공 생몰년 검토



안렴사공(김사렴)의 생몰년은 송천서원 창건문헌에 의거하여 1335-1405임을 알 수 있으나, 아래에 열거하는 여러 자료를 볼 때 1330년 전후에 출생하셨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검토해야 할 사항입니다.





1)

▣디지털한국학

●김사형(金士衡)

1333(충혜왕 2)∼1407(태종 7).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평보(平甫), 호는 낙포(洛圃).

고조는 방경(方慶), 할아버지는 영후(永煦), 아버지는 부지밀직사사 천(#천46)이다.

음보로 앵계관직(鶯溪館直)이 된 뒤 감찰규정(監察糾正)을 거쳐,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조준(趙浚) 등과 함께 대간을 지냈고,



☞4형제(김사겸, 김사렴, 김사안, 김사형) 중에서 막내인 익원공(김사형)의 출생년도가 1333년이라면 안렴사공(김사렴)의 출생년도는 1330년 전후일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음





2)

▣고려사 제104권 - 열전 제17

그(=김영후)의 성품은 엄격하고 굳세고 침착하고 신중하였으며 일가 친척과 옛친지들 가운데 군색한 자가 있으면 모두 구제하여 주었다.

그 손자들인 ★김사안(士安), ★김사형(士衡)의 나이 20세를 넘었는데, 어떤 사람이 김영후더러 말하기를 “왜 그들을 위하여 관직을 얻어 주지 않는가?”라고 하니 “자제가 과연 현명하다면 국가에서 스스로 선발해서 쓸 것이며 만일 현명하지 못하다면 관직을 주어서 얻게 하더라고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므로 듣는 사람들이 모두 탄복하였다.

그의 아들 ★김천은 관직이 밀직부사에까지 이르렀다.



☞ 정간공(김영후)의 몰년인 1361년 이전에 김사안, 김사형의 나이 20세를 넘었다면 김사형의 경우 1341년 이전에 출생한 것으로 볼 때, 일부 문중자료에 기록되어 있는 김사형의 생몰년 (1341-1407)은 디지털한국학에 김사형의 생몰년으로 기록되어 있는 (1333-1407) 과 비교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







3)

안렴사공(김사렴)은 순흥안씨(안원숭의 6녀중 1녀)와의 사이에 6남(김간, 인비, 김위, 김제, 김약, 김식) 1녀(마희원에 출가)를 두었는데, 김사렴의 막내아들인 6남 金湜은 안렴사공파세보(1914, 갑인보)에 의하면 이조좌랑을 지냈고, "태조癸酉(=1393) 文科" 라 기록되어 있고, 오창지 등 향토자료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조에 출사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홈페이지 <디지털한국학> 조선 문과방목에, 1356년(丙申)생. 태조(太祖)2년(1393년), 식년시(式年試) 동진사3(同進士3) 으로 문과에 급제하신 본관 미상의 金湜이라는 분이 있다.



▣ 디지털한국학

●김식(金湜)

태조(太祖)2년(1393년), 식년시(式年試) 동진사3(同進士3)

>>> 인적사항

생년(生年) 1356년, 병신

자(字)

호(號)

본관(本貫) 미상(未詳)

거주지(居住地) 미상(未詳)

諡號, 封號

>>> 가족사항

부(父) 김휘중(金輝中)

생부(生父)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 이력 및 기타

소과(小科)

특별시(特別試)

전력(前歷) 생원(生員)

품계(品階)

관직(官職) 형조/판서&(刑曹/判書&)



☞ 전력(前歷)은 생원(生員), 관직(官職)은 형조/판서&(刑曹/判書&) 으로 되어 있으며, 부(父) 김휘중(金輝中)으로 되어 있어 안렴사공의 막내아들 김식은 아닌 것 같으나, 안렴사공(김사렴)의 다른 이름도 있을 수 있으며, 안렴사공의 유언으로 자손 중에서 여조에 출사한 자는 이조에 다시 출사하지 못하도록 하였으므로 신분을 숨기거나 문과방목 작성시 다르게 기록하였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4)

☞김사렴의 생년을 1330년 전후로 보고, 1356년에 태어난 김식과는 25년 정도 나이 차이를 보면 이분이 김사렴의 6남1녀중 막내 아들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형제간의 터울을 1,2년으로 단순계산해서 생몰년을 추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생몰년 추정>

고조부 (1/3) 김방경 1212-1300

증조부 (3/5)김순 1258-1321

조부 (3/3)김영후 1292-1361

부 (1/2)김천 ?1310-



형 (1/4)김사겸 ?1328-

★ (2/4)김사렴 ?1330- (문중자료 1335-1405)

제 (3/4)김사안 ?1331-1391(공양왕 3)

제 (4/4)김사형 1333-1407(충혜왕2-태종7) (문중자료 1341-1407)



자 (1/7)김간 ?1347-

자 (2/7)인비 ?1348-

녀 (3/7)장녀 ?1350-

자 (4/7)김위 ?1351-

자 (5/7)김제 ?1353- <1377진사, 1382문과>

자 (6/7)김약 ?1354-

자 ★(7/7)김식 ?1356- <1393문과>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재이 - 잘 읽었습니다

▣ 김윤만 - 안렴사공 할아버지 생몰년대가 아직은 미확정이군요. 앞으로의 과제네요.

▣ 김항용 -

▣ 김윤식 -

▣ 솔내영환 -

▣ 김태서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