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참고자료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3-04 21:44 조회1,948회 댓글0건본문
종 목 사적 260호
명 칭 병산서원 (屛山書院)
분 류 서원(사적)
면 적 22,562㎡
지정일 1978.03.31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시 대 조선 광해군
소유자 병산교육재단
관리자 병산교육재단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에도 성곽 수축·화기제작을 비롯하여 군비확충에 힘써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원래 풍악서당으로 풍산 유씨의 교육기관 이었는데, 유성룡이 선조 5년(1572)에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광해군 6년(1614)에 존덕사를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1629년에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철종 14년(1863)에는 임금으로부터 ‘병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서원이 되었다. 서원내 건물로는 위패를 모신 존덕사와 강당인 입교당, 유물을 보관하는 장판각, 기숙사였던 동·서재, 신문, 전사청, 만대루, 고직사가 있다.
병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을 담당해 많은 학자를 배출한 곳으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남아 있었던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며, 한국 건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유적이다.
문화재명 병산서원(屛山書院)
이 서원(書院)은 영남(嶺南) 사림(士林)의 본거지인 안동군(安東郡)에 위치하여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을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으로 그 전신(前身)은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현재 풍산읍에 있었으며 선조(宣祖) 5년(1572년) 유성룡(柳成龍)에 의하여 병산동(屛山洞)에 이건(移建)되었다.
선조(宣祖) 37년(1604년) 서애(西厓)는 타계(他界)하고 그 뒤 후학(後學)들은 광해군(光海君) 6년(1614년) 존덕사(尊德祠)를 세워 그의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함으로써 서원(書院)이 경영된 것이다. 그러다가 1620년에는 서애(西厓) 위패를 내강서원(來江書院)으로 옮겼다가, 1624년(인조(仁祖) 2년)에 다시 이곳으로 옮겨 향사(享祀)를 지냈다. 그러나 이 서원(書院)이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발전(發展)하게 된 것은 철종(哲宗)때(1850∼1863)였다.
병산서원(屛山書院)은 안동(安東)에서 서남(西南)쪽에 떨어져 낙동강상류(洛東江上流)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그 동남(東南)쪽 기슭에 자리잡고 병산(屛山)을 안산(安山)으로 대체로 남향(南向)하여 자리잡고 있다. 북(北)에서부터 흘러내리는 산기슭을 자연지세(自然地勢)를 이용하여 남쪽에 낮은 곳에서부터 외삼문(外三門)인 복례문(復禮門)이 있고 이곳을 들어서면 서남(西南)쪽에 연못과 북(北)쪽에는 높은 단축(段築)이 있으며 중앙(中央)에 계단(階段)을 오르면 만대루(晩對樓)가 동서(東西)로 길게 놓여 있다.
이 누(樓) 밑 중앙부(中央部)를 지나 계단을 다시 오르면 강학공간(講學空間)이 전개(展開)되어 북(北)쪽 축대(築臺)위에 놓인 입교당(立敎堂)과 그 앞 양측에 동(東)·서재(西齋)가 마주보며 놓이고 이곳 동측(東側) 담장 밖에는 「 □」자평면(字平面)을 한 주소(廚所)가 있다.
또 강당(講堂) 북쪽으로는 좀 높은 위치에 존덕사(尊德祠)가 있고 이 앞에 내삼문(內三門)이 주위 담장과 연결되어 사당공간(祠堂空間)을 둘러막아 놓았다. 이 사당공간(祠堂空間) 서편(西便)에는 장판각(藏板閣)을 두고 동편(東便)에는 전사청(典祀廳)을 두었다.
대부분의 목조 건축물에는 공포(공包)를 두지 않고 홑처마의 검소한 형식(形式)을 취하였는데 사당(祠堂)만은 익공형(翼工形) 주심포계(柱心包系)의 겹처마로서 격식(格式)을 높이었다. 또 이곳에는 주위에 자연석(自然石)담장과 만대루(晩對樓)에 오르는 통나무를 깎아 걸친 계단, 입교당(立敎堂)방의 고미반자, 또 담장밖에 노천변소등 그 검소한 건축미(建築美)는 다른 곳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이곳의 주요 건물(建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교당(立敎堂)은 강학(講學)을 위한 강당(講堂)이다. 높이 쌓아올린 자연석(自然石) 기단(基壇)위에 정면(正面) 5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팔작지붕을 한 무공포(無공包)의 5량가(梁架) 건물(建物)이다. 정면(正面)의 중앙(中央) 3칸(間)은 대청(大廳) 마루로 그 양측 한 칸식(間式)을 방으로 꾸몄는데 동(東)쪽의 방앞에는 퇴(退)마루를 두고 있다.
존덕사(尊德祠)는 가공(加工)된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正面) 3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변형(變形)된 익공형(翼工形)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사당내(祠堂內)에는 북(北)쪽 중앙부(中央部)에 남향(南向)을 하여 위패(位牌)를 모신 제상(祭床)과 또 동(東)쪽에서 서향(西向)하여 모신 위패(位牌)가 있는데 전자(前者)는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을 향사(享祀)지내는 곳이고 동(東)쪽의 것은 수암(修巖) 유진(柳袗)을 봉안(奉安)한 제상(祭床)이다.
만대루(晩對樓)는 외벌대 기단 위에 정면(正面) 7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누각(樓閣)으로 세운 팔작지붕을 한 건물이다. 2층 누(樓)마루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돌리고 누(樓) 밑 중앙(中央)으로 강학공간(講學空間)에 진입(進入)하도록 계단(階段)을 두었다.
또 2층 누(樓)에 오르는 계단(階段)은 북측(北側) 내정(內庭)에서부터 오를 수 있게 통나무를 깎아 동(東)·서(西) 2곳에서 걸쳐대고 마루는 우물마루를 짰다. 2층루 기둥 위에는 공포(공包)없이 주두(柱枓)를 사용하여 보 밑에 양봉형(梁奉形) 첨차를 두었다. 이것은 주두(柱枓)없이 같은 방법으로 첨차를 둔 입교당(立敎堂) 가구(架構)와 다른 점이다.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는 전면(前面)에 퇴간(退間)을 두고 방과 마루를 배치한 건물로 정면(正面)이 우교간(偶敎間)인 4칸(間)임이 특이하다.
종 목 중요민속자료 88호
명 칭 하회옥연정사 (河回玉淵精舍)
분 류 가옥
수 량 일곽
지정일 1979.01.23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20
시 대 조선 선조
소유자 유영하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의 동족마을로 빼어난 자연경관과 민속·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이 집은 서애 유성룡(1542∼1607) 선생이 학문 연구와 제자를 키우기 위해 세운 것이다.
조선 선조 19년(1586)에 지었으며 하회마을 부용대 동쪽 강가에 자리잡고 있다. 크게 문간채, 안채, 별당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따로 떨어져 一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대문채는 앞면 6칸·옆면 1칸 크기로 뒷간과 광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있는데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이다. ㅡ자형 평면 가운데 부엌을 두고 좌우로 방을 배치한 특이한 구성으로 양반집에서는 보기 드문 예이다. 별당채는 안채 바로 뒤편으로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다. 제일 규모가 작은 건물로 온돌방과 2칸 대청을 두었다. 유성룡 선생은 이곳에서『징비록』(국보 제132호)을 집필하였다고 전한다.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로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1칸씩 방을 두고 툇마루로 꾸며 놓았다.
양반집이지만 이 지역 민가의 기본형인 도토마리(베틀에서 실을 감는 기구)집 형식으로 가운데 부엌을 두고 양쪽에 방을 둔 점이 독특하며, 정사(精舍)다운 지형 요건,『징비록』을 집필한 유서 깊은 곳으로 귀하게 평가 받고 있다.
문화재명 하회옥연정사(河回玉淵精舍)
북안(北岸) 부용대(芙蓉臺)의 동하(東下)에 위치한다. 대하(臺下)의 강류(江流)는 여기서 심연(深淵)을 이루어 마을에서는 옥소(玉沼)라 부르기도 한다. 옥연(玉淵)의 유래를 대략 짐작케하는 강류이다.
이 정(亭)은 일명 정사(精舍)라고도 하는데 역시 서애(西厓) 만년(晩年)의 별서(別墅)인 셈이다. 소전(所傳)에 서애 45세시의 병건이라 하며 밀접하게 지내던 탄홍승(誕弘僧)의 원력(願力)으로 이룩되었다고 한다. 이보다 앞서 서애는 강의 남안에 원지정사(遠志精舍)를 지었고 또 서북안에는 빈연정사(賓淵精舍)를 지은 일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마을에 위치해 있어 마땅치 않았으므로 다시 자리를 옮겨 거듭 삼건(三建)을 한 셈이다.
주위 승구(勝區)와 큰 강으로 마을과 떨어져 있어 정사다운 지형적 요건을 갖춘 곳이라고 하겠다. 이곳 또한 넓은 대(臺)를 이루며 여러채의 집을 지어 앞서 지었던 원지정사나 빈연정사(賓淵精舍)와는 그 큰 규모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는다. 동쪽에 6간의 일자대문채를 두었고 바로 一자형 안채를 동향해서 앉혔는데 안채는 부엌을 한가운데에 두고 그 양편에 방을 두어 이 지역에 전래하는 민가의 한 기본형인 도투마리 집과 규모를 같이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서당으로서의 정사는 별당이라 불리는 집 한채와 사랑채라 불리는 또 한채의 집이라고 하겠는데 이들 옥사(屋舍)의 구성을 보면 대략 대문, 안채, 사랑채 그리고 별당을 둔 격이 되었으므로 여염 대가(大家)의 옥사 배치를 재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사랑채까지는 많은 출입자가 있는 것이 상례이므로 서애가 진정 정사답게 이용한 집은 별당채가 아니었을까 한다. 문중 자제의 교육과 내객과의 담론(談論) 등 전체적으로는 서당적 분위기였을 것이나 그 중에 참으로 정사의 위치는 별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채는 4간 ×2간반의 규모로 제일 규모가 큰집이다. 이중 4간은 대청이고 전면에 분합들문을 달았으며 툇마루를 두었다.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2간의 온돌방이 있고 각기 대청을 향하여 4분합들문을 설비하였고 전후에도 띠살분합문호를 내었다. 별당채는 3간 ×2간의 제일 규모가 작은 집이다. 서편에 2간 ×1간반 크기의 온돌을 두고 동쪽에 2간의 청을 두었으며 온돌방 앞에는 전퇴를 두었다. 이들은 모두 납도리, 방주(方柱),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이들 세집사이 정중(庭中)은 방형화단(方形花壇)이고 정변(庭邊)도 역시 장방형화단(長方形花壇)이다.
정변 주위에 노수(老樹)가 울울(鬱鬱)한 것은 원래의 자연이며 정사의 경개(景槪)를 한층 돋우어 주고 있다. 서애(유성룡(柳成龍))가 이곳에서 징비록(懲毖錄)을 집필하였다고 하는 소전(所傳)은 이곳이 서애만년의 정사였음을 더욱 확신케 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 문화재청 홈페이지
<유성룡 검색>
1 사적 260 병산서원
(屛山書院) 경북 안동시 병산교육재단
2 국보 132 징비록
(懲毖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운,김규익
3 보물 160 유성룡종손가문적
(柳成龍宗孫家文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4 보물 160-1 진사록
(辰巳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5 보물 160-2 난후잡록
(亂後雜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6 보물 160-3 근폭집
(芹曝集)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7 보물 160-4 중흥헌근
(中興獻芹)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8 보물 160-5 군문등록
(軍門謄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9 보물 160-6 정원전교
(政院傳敎)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0 보물 160-7 정조어제당장서화첩제문부채제공발
(正組御製唐將書畵帖題文附蔡薺恭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1 보물 160-8 당장시화첩
(唐將詩畵帖)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2 보물 160-9 당장서첩
(唐將書帖)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3 보물 160-10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4 보물 160-11 호성공신록훈교서
(扈聖功臣錄勳敎書)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5 보물 460 유성룡종손가유물
(柳成龍宗孫家遺物)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6 보물 460-1 서애유물
(西厓遺物)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7 보물 460-2 서애선생모부인곤문기
(西厓先生母夫人昆文記)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8 보물 460-3 고문서
(古文書)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9 시도유형문화재 35 (경북) 호계서원
(虎溪書院)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호계서원
<하회마을 검색>
1 중요민속자료 122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경북 안동시 안동시
2 국보 121 하회탈및병산탈
(河回탈및屛山탈)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국립중앙박물관
3 중요무형문화재 69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본문정보> 경북전역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4 중요민속자료 84 하회북촌택
(河回北村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5 중요민속자료 85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6 중요민속자료 86 하회빈연정사
(河回賓淵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7 중요민속자료 87 하회유시주가옥
(河回柳時柱家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8 중요민속자료 88 하회옥연정사
(河回玉淵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9 중요민속자료 89 하회겸암정사
(河回謙菴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0 중요민속자료 90 하회남촌택
(河回南村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1 중요민속자료 91 하회주일재
(河回主一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2 중요민속자료 177 하회동하동고택
(河回洞河東古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 김은회 -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 김윤만 -
명 칭 병산서원 (屛山書院)
분 류 서원(사적)
면 적 22,562㎡
지정일 1978.03.31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
시 대 조선 광해군
소유자 병산교육재단
관리자 병산교육재단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에도 성곽 수축·화기제작을 비롯하여 군비확충에 힘써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원래 풍악서당으로 풍산 유씨의 교육기관 이었는데, 유성룡이 선조 5년(1572)에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광해군 6년(1614)에 존덕사를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1629년에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철종 14년(1863)에는 임금으로부터 ‘병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서원이 되었다. 서원내 건물로는 위패를 모신 존덕사와 강당인 입교당, 유물을 보관하는 장판각, 기숙사였던 동·서재, 신문, 전사청, 만대루, 고직사가 있다.
병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을 담당해 많은 학자를 배출한 곳으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남아 있었던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며, 한국 건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유적이다.
문화재명 병산서원(屛山書院)
이 서원(書院)은 영남(嶺南) 사림(士林)의 본거지인 안동군(安東郡)에 위치하여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을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으로 그 전신(前身)은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현재 풍산읍에 있었으며 선조(宣祖) 5년(1572년) 유성룡(柳成龍)에 의하여 병산동(屛山洞)에 이건(移建)되었다.
선조(宣祖) 37년(1604년) 서애(西厓)는 타계(他界)하고 그 뒤 후학(後學)들은 광해군(光海君) 6년(1614년) 존덕사(尊德祠)를 세워 그의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함으로써 서원(書院)이 경영된 것이다. 그러다가 1620년에는 서애(西厓) 위패를 내강서원(來江書院)으로 옮겼다가, 1624년(인조(仁祖) 2년)에 다시 이곳으로 옮겨 향사(享祀)를 지냈다. 그러나 이 서원(書院)이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발전(發展)하게 된 것은 철종(哲宗)때(1850∼1863)였다.
병산서원(屛山書院)은 안동(安東)에서 서남(西南)쪽에 떨어져 낙동강상류(洛東江上流)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그 동남(東南)쪽 기슭에 자리잡고 병산(屛山)을 안산(安山)으로 대체로 남향(南向)하여 자리잡고 있다. 북(北)에서부터 흘러내리는 산기슭을 자연지세(自然地勢)를 이용하여 남쪽에 낮은 곳에서부터 외삼문(外三門)인 복례문(復禮門)이 있고 이곳을 들어서면 서남(西南)쪽에 연못과 북(北)쪽에는 높은 단축(段築)이 있으며 중앙(中央)에 계단(階段)을 오르면 만대루(晩對樓)가 동서(東西)로 길게 놓여 있다.
이 누(樓) 밑 중앙부(中央部)를 지나 계단을 다시 오르면 강학공간(講學空間)이 전개(展開)되어 북(北)쪽 축대(築臺)위에 놓인 입교당(立敎堂)과 그 앞 양측에 동(東)·서재(西齋)가 마주보며 놓이고 이곳 동측(東側) 담장 밖에는 「 □」자평면(字平面)을 한 주소(廚所)가 있다.
또 강당(講堂) 북쪽으로는 좀 높은 위치에 존덕사(尊德祠)가 있고 이 앞에 내삼문(內三門)이 주위 담장과 연결되어 사당공간(祠堂空間)을 둘러막아 놓았다. 이 사당공간(祠堂空間) 서편(西便)에는 장판각(藏板閣)을 두고 동편(東便)에는 전사청(典祀廳)을 두었다.
대부분의 목조 건축물에는 공포(공包)를 두지 않고 홑처마의 검소한 형식(形式)을 취하였는데 사당(祠堂)만은 익공형(翼工形) 주심포계(柱心包系)의 겹처마로서 격식(格式)을 높이었다. 또 이곳에는 주위에 자연석(自然石)담장과 만대루(晩對樓)에 오르는 통나무를 깎아 걸친 계단, 입교당(立敎堂)방의 고미반자, 또 담장밖에 노천변소등 그 검소한 건축미(建築美)는 다른 곳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이곳의 주요 건물(建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교당(立敎堂)은 강학(講學)을 위한 강당(講堂)이다. 높이 쌓아올린 자연석(自然石) 기단(基壇)위에 정면(正面) 5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팔작지붕을 한 무공포(無공包)의 5량가(梁架) 건물(建物)이다. 정면(正面)의 중앙(中央) 3칸(間)은 대청(大廳) 마루로 그 양측 한 칸식(間式)을 방으로 꾸몄는데 동(東)쪽의 방앞에는 퇴(退)마루를 두고 있다.
존덕사(尊德祠)는 가공(加工)된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正面) 3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변형(變形)된 익공형(翼工形)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사당내(祠堂內)에는 북(北)쪽 중앙부(中央部)에 남향(南向)을 하여 위패(位牌)를 모신 제상(祭床)과 또 동(東)쪽에서 서향(西向)하여 모신 위패(位牌)가 있는데 전자(前者)는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을 향사(享祀)지내는 곳이고 동(東)쪽의 것은 수암(修巖) 유진(柳袗)을 봉안(奉安)한 제상(祭床)이다.
만대루(晩對樓)는 외벌대 기단 위에 정면(正面) 7칸(間), 측면(側面) 2칸(間)의 누각(樓閣)으로 세운 팔작지붕을 한 건물이다. 2층 누(樓)마루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돌리고 누(樓) 밑 중앙(中央)으로 강학공간(講學空間)에 진입(進入)하도록 계단(階段)을 두었다.
또 2층 누(樓)에 오르는 계단(階段)은 북측(北側) 내정(內庭)에서부터 오를 수 있게 통나무를 깎아 동(東)·서(西) 2곳에서 걸쳐대고 마루는 우물마루를 짰다. 2층루 기둥 위에는 공포(공包)없이 주두(柱枓)를 사용하여 보 밑에 양봉형(梁奉形) 첨차를 두었다. 이것은 주두(柱枓)없이 같은 방법으로 첨차를 둔 입교당(立敎堂) 가구(架構)와 다른 점이다.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는 전면(前面)에 퇴간(退間)을 두고 방과 마루를 배치한 건물로 정면(正面)이 우교간(偶敎間)인 4칸(間)임이 특이하다.
종 목 중요민속자료 88호
명 칭 하회옥연정사 (河回玉淵精舍)
분 류 가옥
수 량 일곽
지정일 1979.01.23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20
시 대 조선 선조
소유자 유영하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의 동족마을로 빼어난 자연경관과 민속·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이 집은 서애 유성룡(1542∼1607) 선생이 학문 연구와 제자를 키우기 위해 세운 것이다.
조선 선조 19년(1586)에 지었으며 하회마을 부용대 동쪽 강가에 자리잡고 있다. 크게 문간채, 안채, 별당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따로 떨어져 一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대문채는 앞면 6칸·옆면 1칸 크기로 뒷간과 광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있는데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이다. ㅡ자형 평면 가운데 부엌을 두고 좌우로 방을 배치한 특이한 구성으로 양반집에서는 보기 드문 예이다. 별당채는 안채 바로 뒤편으로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다. 제일 규모가 작은 건물로 온돌방과 2칸 대청을 두었다. 유성룡 선생은 이곳에서『징비록』(국보 제132호)을 집필하였다고 전한다.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로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1칸씩 방을 두고 툇마루로 꾸며 놓았다.
양반집이지만 이 지역 민가의 기본형인 도토마리(베틀에서 실을 감는 기구)집 형식으로 가운데 부엌을 두고 양쪽에 방을 둔 점이 독특하며, 정사(精舍)다운 지형 요건,『징비록』을 집필한 유서 깊은 곳으로 귀하게 평가 받고 있다.
문화재명 하회옥연정사(河回玉淵精舍)
북안(北岸) 부용대(芙蓉臺)의 동하(東下)에 위치한다. 대하(臺下)의 강류(江流)는 여기서 심연(深淵)을 이루어 마을에서는 옥소(玉沼)라 부르기도 한다. 옥연(玉淵)의 유래를 대략 짐작케하는 강류이다.
이 정(亭)은 일명 정사(精舍)라고도 하는데 역시 서애(西厓) 만년(晩年)의 별서(別墅)인 셈이다. 소전(所傳)에 서애 45세시의 병건이라 하며 밀접하게 지내던 탄홍승(誕弘僧)의 원력(願力)으로 이룩되었다고 한다. 이보다 앞서 서애는 강의 남안에 원지정사(遠志精舍)를 지었고 또 서북안에는 빈연정사(賓淵精舍)를 지은 일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마을에 위치해 있어 마땅치 않았으므로 다시 자리를 옮겨 거듭 삼건(三建)을 한 셈이다.
주위 승구(勝區)와 큰 강으로 마을과 떨어져 있어 정사다운 지형적 요건을 갖춘 곳이라고 하겠다. 이곳 또한 넓은 대(臺)를 이루며 여러채의 집을 지어 앞서 지었던 원지정사나 빈연정사(賓淵精舍)와는 그 큰 규모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는다. 동쪽에 6간의 일자대문채를 두었고 바로 一자형 안채를 동향해서 앉혔는데 안채는 부엌을 한가운데에 두고 그 양편에 방을 두어 이 지역에 전래하는 민가의 한 기본형인 도투마리 집과 규모를 같이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서당으로서의 정사는 별당이라 불리는 집 한채와 사랑채라 불리는 또 한채의 집이라고 하겠는데 이들 옥사(屋舍)의 구성을 보면 대략 대문, 안채, 사랑채 그리고 별당을 둔 격이 되었으므로 여염 대가(大家)의 옥사 배치를 재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사랑채까지는 많은 출입자가 있는 것이 상례이므로 서애가 진정 정사답게 이용한 집은 별당채가 아니었을까 한다. 문중 자제의 교육과 내객과의 담론(談論) 등 전체적으로는 서당적 분위기였을 것이나 그 중에 참으로 정사의 위치는 별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채는 4간 ×2간반의 규모로 제일 규모가 큰집이다. 이중 4간은 대청이고 전면에 분합들문을 달았으며 툇마루를 두었다.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2간의 온돌방이 있고 각기 대청을 향하여 4분합들문을 설비하였고 전후에도 띠살분합문호를 내었다. 별당채는 3간 ×2간의 제일 규모가 작은 집이다. 서편에 2간 ×1간반 크기의 온돌을 두고 동쪽에 2간의 청을 두었으며 온돌방 앞에는 전퇴를 두었다. 이들은 모두 납도리, 방주(方柱),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이들 세집사이 정중(庭中)은 방형화단(方形花壇)이고 정변(庭邊)도 역시 장방형화단(長方形花壇)이다.
정변 주위에 노수(老樹)가 울울(鬱鬱)한 것은 원래의 자연이며 정사의 경개(景槪)를 한층 돋우어 주고 있다. 서애(유성룡(柳成龍))가 이곳에서 징비록(懲毖錄)을 집필하였다고 하는 소전(所傳)은 이곳이 서애만년의 정사였음을 더욱 확신케 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 문화재청 홈페이지
<유성룡 검색>
1 사적 260 병산서원
(屛山書院) 경북 안동시 병산교육재단
2 국보 132 징비록
(懲毖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운,김규익
3 보물 160 유성룡종손가문적
(柳成龍宗孫家文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4 보물 160-1 진사록
(辰巳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5 보물 160-2 난후잡록
(亂後雜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6 보물 160-3 근폭집
(芹曝集)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7 보물 160-4 중흥헌근
(中興獻芹)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8 보물 160-5 군문등록
(軍門謄錄)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9 보물 160-6 정원전교
(政院傳敎)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0 보물 160-7 정조어제당장서화첩제문부채제공발
(正組御製唐將書畵帖題文附蔡薺恭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1 보물 160-8 당장시화첩
(唐將詩畵帖)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2 보물 160-9 당장서첩
(唐將書帖)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3 보물 160-10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4 보물 160-11 호성공신록훈교서
(扈聖功臣錄勳敎書)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준,김규익
15 보물 460 유성룡종손가유물
(柳成龍宗孫家遺物)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6 보물 460-1 서애유물
(西厓遺物)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7 보물 460-2 서애선생모부인곤문기
(西厓先生母夫人昆文記)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8 보물 460-3 고문서
(古文書)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김영훈,김규익
19 시도유형문화재 35 (경북) 호계서원
(虎溪書院)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호계서원
<하회마을 검색>
1 중요민속자료 122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경북 안동시 안동시
2 국보 121 하회탈및병산탈
(河回탈및屛山탈)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국립중앙박물관
3 중요무형문화재 69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본문정보> 경북전역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4 중요민속자료 84 하회북촌택
(河回北村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5 중요민속자료 85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6 중요민속자료 86 하회빈연정사
(河回賓淵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7 중요민속자료 87 하회유시주가옥
(河回柳時柱家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8 중요민속자료 88 하회옥연정사
(河回玉淵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9 중요민속자료 89 하회겸암정사
(河回謙菴精舍)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0 중요민속자료 90 하회남촌택
(河回南村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1 중요민속자료 91 하회주일재
(河回主一齋)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12 중요민속자료 177 하회동하동고택
(河回洞河東古宅) <본문정보> 경북 안동시
▣ 김은회 -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