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정간(李貞幹), 이사관(李士寬), 이사혜(李士惠), 이효석(李孝碩), 역옹 이영길

페이지 정보

이왕섭 작성일03-03-08 04:16 조회1,574회 댓글0건

본문

다음은 게시판의 글에서 몇 가지를 뽑았습니다.



아래는 게시판에서 있는 글입니다. 게시판 글 중에서 전의이씨(全義李氏) 인물들의 계보를 실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사혜(李士惠)

이효석(李孝碩)

역옹 이영길(李英吉)

청강 이제신(李濟臣)





이사혜는 보통 영암군수(靈岩郡守)로 불리우나 실제관직은 지영암군사(知靈岩郡事)이며, 이효석(李孝碩)은 정평부사(定平府使), 역옹 이영길(李英吉)은 진사(進士)이며 청강 이제신(李濟臣)은 문과에 급제하여 북병사(北兵使)를 지낸 인물로 그 후손들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벌열(閥閱)가문을 형성하였습니다. <차장섭 교수의 논문 참조>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이름을 드높인 인물들은 이정간(李貞幹)▶이사관(李士寬)으로 계보를 잇는 분들이 많습니다.

참고하세여~~!!!







<이정간(李貞幹)▶이사관(李士寬)의 계보>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이사관(李士寬:江原道觀察使,京畿道觀察使,漢城府尹/全城府院君)











【게시판의 글 중에서】





안렴사공 金士廉 ⑦(묘소 및 후세의 평가)

★이정간은 김사렴의 4자 절도사공 김제와는 사돈간이다. (김제의 1녀가 이정간의 아들인 이사혜에게 출가), 또한 ★이효석은 이사혜의 1자이므로 김제의 외손자, 김사렴의 외증손자가 된다. 그리고 절도사공 김제는 딸만 둘이고 아들이 없었으므로 현재까지 외손봉사를 받아오고 있다. ★이제신도 전의이씨로 그 후손인 듯 생각됩니다.







오은대관上 25 ---안렴사공4자 김제

■ 오창지 ( )

P73 역시 오근지에는 절제사 김제가 세운 정자 山亭, 군수 이사혜가 세운 杏亭, 역옹 이영길이 지은 정자 東皐亭이 있는데,

-----

P448 山亭은 절제사 김공 제가 세운 정자인데 유지가 창고(?창리)의 동쪽 몇 리쯤 되는 곳에 있다.

-----

P462 동쪽 편에는 長城(현 모정리)에 고려충신 안동김씨 안렴사공이 임종하시고 그 앞에는 山亭이 있었다.

-----

李貞幹 (1360-1439) 다섯째아들 士惠가 안렴사의 아들인 병사 제의 사위가 되었으므로 오근을 별장으로 삼아 왕래하였는데 자손들이 인하여 거주하였다. 송천서원에 (충북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배향되었다.







<이사혜(李士惠), 이효석(李孝碩)의 계보> 이사혜는 전의이씨 12세손, 이효석은 13세손이다.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 이사혜(李士惠:知靈岩郡事역임)▶ 이효석(李孝碩:定平府使역임)



<역옹 이영길(李英吉)의 계보> 이영길은 전의이씨 17세손이다.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 이사혜(李士惠:知靈岩郡事역임)▶ 이의석(李義碩:洪州判官)▶ 이종경(李從瓊:副尉)▶ 이응필(李應畢:將仕郞)▶ 이희덕(李凞德:校尉)▶ 이영길(李英吉:號는 역옹, 進士)



<청강 이제신(李濟臣)의 계보> 이제신은 전의이씨 17세손이다.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전의이씨시조)▶ 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 이순(李順:保勝別將)▶ 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 이자화(李子華:選部典書)▶ 이득영(李得榮:典法佐郎)▶ 이구직(李丘直:開國原從功臣/公州牧使)▶ 이정간(李貞幹:江原道道都觀察使/中樞院事/孝靖公)▶이사관(李士寬:江原道觀察使,京畿道觀察使,漢城府尹/全城府院君)▶ 이서장(李恕長:1457년(세조 03) 친시(親試) 정과2(丁科2) 등으로 文科及第, 敵愾功臣, 全城君, 刑曹參判, 咸吉北道觀察使, 慶尙道觀察使, 全羅道觀察使, 漢城府左尹, 司憲府大司憲, 戶曹參判 역임, 시호(諡號)는 양간(襄簡)이다)▶ 이윤순(李允純:通訓大夫司宰監副正, 贈 刑曹參議)▶ 이인손(李仁孫:通訓大夫흡谷縣令, 贈 戶曹參判)▶ 이문성(李文誠:慶尙右道兵馬節度使, 贈 兵曹參判)▶ 이제신(李濟臣:號淸江, 1564년(명종 19) 식년시(式年試) 을과4(乙科4)등으로 문과급제, 北兵使)















▣ 솔내영환 - 이왕섭님 이렇게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앞으로 많은 교류가 있었으면 합니다.

▣ 김윤만 - 이렇게 저희 홈페이지를 찾아 빛내주시니 참으로 감사드립니다.

▣ 김항용 - 정말 반갑습니다. 자주 오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