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명문가 고문서 특별展 (고성이씨. 반남박씨)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3-16 02:06 조회2,095회 댓글0건본문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에서 <반남박씨 고문서>를 미리 보신후 장서각 관람을 하시면 더욱 좋지 않을까 합니다.
■ 디지털한국학
편집자 주
여기 소개하는 고문서 및 기타 자료는 의정부 반남박씨가(서계종택)에 대대로 전해오던 고문서로, 서계 박세당의 11대손인 박찬호 씨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기탁한 것입니다.
이 자료는 경기도 북부지방에서 전해지는 거의 유일한 고문서로, 아직 학계와 일반에 공개되지 않은 서계의 친필 묵적과 각종 유문의 초고들을 비롯하여, 고문서 약 200여점, 고서 150여책, 초상화 4점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00년 세월 속에서도 고스란히 보존되어 후인들의 눈길을 기다려 왔던 이 자료들 중에서도, 특히 박세당의 홍패와 시권, 그의 아버지 박정의 교서는 보물급에 해당하는 내용과 품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박세당은 17세기의 사상계를 풍미했던 석학이요 당대 최고의 지성이었다. 그의 활달하고도 자유분방했던 사유체계는 사변록의 저술이라는 학문의 신사조를 탄생시켰으나 주자학을 신봉하던 우암 계열의 노론학계는 그의 학문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사문난적으로 매도하였고, 그의 사변록은 이단서로 규정되어 조목 조목 변파되고 말았다. 더욱이 그는 아들 태보가 인현왕후의 폐출을 반대하다 장살되는 가화를 겪으면서 만년 이후로는 보다 세상에 염증을 느끼고 수락산에 은거하여 학문활동과 후진양성에 주력하다 1703년 생을 마감한다.
주요 자료 목록
박세당의 문과 장원급제 홍패 및 시험답안지
박세당과 박정(박세당의 아버지)의 초상화
박세당의 필적과 저술 초고들
박정(박세당의 아버지)의 교서
안진경체의 대가, 박태유, 박태보의 필적
박필기(박세당의 손자) 저술, 훈학집요
** 서계 종택 고문서 동영상 자료
▣ 김재원 - 잘읽었습니다.감사합니다.
▣ 김항용 -
▣ 김영윤 -
▣ 김은회 -
▣ 김윤식 -
▣ 솔내영환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