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에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이왕섭 작성일03-03-25 09:08 조회1,659회 댓글0건본문
선안동김씨의 정확한 문과급제자수(중시, 발영시, 탁영시, 등준시, 진현시 등에 급제하면 따로 분리해서)와 상신(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이상(찬성), 문형(대제학), 판서, 의빈(부마), 공신, 도헌(대사헌), 간장(대사간), 반장(대사성), 등단(대장), 한림(예문관검열), 옥당, 호당, 삼도수군통제사, 문과장원급제자수, 무과장원급제자수, 생원진사장원급제자, 사궤장자(궤장을 받은 사람), 증시자(시호를 받은 사람), 청백리 등을 알고 싶습니다.
결례가 아니라면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문과급제자수의 예제 - 전의이씨>
●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
♠전의이씨(全義李氏) 173명 ※해당시험이 파방(罷榜: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발표를 취소하던 일)하여 재시험에 다시 응시하여 급제한 경우는 한번으로 계산하였고 파방하여 다시 급제하지 않은 경우는 급제하지 않은 것으로 봄.
♠문과중시(文科重試), 발영시, 탁영시, 등준시, 진현시 등 급제자(及第者) 13명
♠전의이씨(全義李氏) 문장공파(文莊公派) = 예안이씨(禮安李氏) 7명
♠예안이씨(禮安李氏) 승안군파(승안군派) 5명 ※승안군파는 수치에서 제외하였음
♠예산이씨(禮山李氏) 1명 ※국조문과방목에서 전의이씨(全義李氏) 문장공파(文莊公派)로 불리는 예안이씨(禮安李氏)의 인물인 이근춘(李根春)을 예산이씨로 잘못기록하고 있다. 이근춘(李根春)은 호조판서(戶曹判書)를 거쳐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이르른 "익양공(翼襄公) 이천(李천)" 장군의 16대손이며 부제학을 거쳐 참판(參判)에 오른 이정렬(李貞烈)의 15촌 조카이다.
전의이씨 문과급제자수 173+13+7+1=194명 ※예안이씨 승안군파 5명을 합산하면 총 199명이 문과에 급제함.
(문과중시급제자수도 따로 계산한 결과임)
▣ 김항용 - 본 홈 <안동김씨 소개>의 <개관>란에 간략한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관직자별 분류는 아직 통계화 하지 않았습니다. 준비해 보겠습니다. 지적에 감사합니다.
▣ 김주회 -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해내야 할 우리의 숙제입니다.
▣ 김은회 -
▣ 김윤만 -
결례가 아니라면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문과급제자수의 예제 - 전의이씨>
●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
♠전의이씨(全義李氏) 173명 ※해당시험이 파방(罷榜: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발표를 취소하던 일)하여 재시험에 다시 응시하여 급제한 경우는 한번으로 계산하였고 파방하여 다시 급제하지 않은 경우는 급제하지 않은 것으로 봄.
♠문과중시(文科重試), 발영시, 탁영시, 등준시, 진현시 등 급제자(及第者) 13명
♠전의이씨(全義李氏) 문장공파(文莊公派) = 예안이씨(禮安李氏) 7명
♠예안이씨(禮安李氏) 승안군파(승안군派) 5명 ※승안군파는 수치에서 제외하였음
♠예산이씨(禮山李氏) 1명 ※국조문과방목에서 전의이씨(全義李氏) 문장공파(文莊公派)로 불리는 예안이씨(禮安李氏)의 인물인 이근춘(李根春)을 예산이씨로 잘못기록하고 있다. 이근춘(李根春)은 호조판서(戶曹判書)를 거쳐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이르른 "익양공(翼襄公) 이천(李천)" 장군의 16대손이며 부제학을 거쳐 참판(參判)에 오른 이정렬(李貞烈)의 15촌 조카이다.
전의이씨 문과급제자수 173+13+7+1=194명 ※예안이씨 승안군파 5명을 합산하면 총 199명이 문과에 급제함.
(문과중시급제자수도 따로 계산한 결과임)
▣ 김항용 - 본 홈 <안동김씨 소개>의 <개관>란에 간략한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관직자별 분류는 아직 통계화 하지 않았습니다. 준비해 보겠습니다. 지적에 감사합니다.
▣ 김주회 -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해내야 할 우리의 숙제입니다.
▣ 김은회 -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