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5일은 청명(淸明), 4월6일은 한식(寒食) 이네요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3-04-04 03:51 조회1,665회 댓글0건본문
4월5일은 청명(淸明), 4월6일은 한식(寒食) 이네요
●청명(淸明)
양력 4월 5일경.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이 되지요.
오늘날의 식목일과도 대개 겹쳐요.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논농사 준비 작업으로 논밭둑 가래질을 시작하지요.
●청명(淸明)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청명은 보통 한식과 겹치거나(6년에 한번씩) 하루 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매일반"이라 했다.
옛날에는 일년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淸明(청명), 여름에는 中元(중원, 음7월 15일), 가을에는 秋夕(추석), 겨울에는 冬至(동지)날, 눈길을 밟으며 찾아 뵙고 산소위의 눈을 쓸어 내렸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 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 사의 준비작업이 된다. 다음 절기인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농사 를 많이 짓는 경우에는 일꾼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청명, 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 기도 하였다.
청명 때는 삐삐, 또는 삘기라 부르는 띠(牙)의 어린순이 돋는데 군것질거리가 없던 농가의 아이들이 다투어 뽑아 먹기도 했다. 청명·한식 때가 되면 특히 바람이 심한데, 이때 불이 나기 쉬우므로 한식날은 불을 사용하 지 않고 찬밥을 그냥 먹기도 했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청명(淸明)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 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를 사화(賜火)라 했는데. 수령들은 한식(寒食)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寒食(한식)인 것이다. 이렇게 하여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동심일체를 다지고 같은 운명체로서 국가 의식을 다졌던..........
●한식 寒食
동지(冬至)부터 105일째 되는 날.
청명절(淸明節) 당일이나 다음날이 되는데 음력으로는 대개 2월이 되고 간혹 3월에 드는 수도 있다. 양력으로는 4월 5·6일경이며, 예로부터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일컫는다.
한식이라는 명칭은, 이 날에는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옛 습관에서 나온 것인데, 한식의 기원은 중국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개자추가 간신에게 몰려 면산(쿤山)에 숨어 있었는데 문공(文公)이 그의 충성심을 알고찾았으나 산에서 나오지 않자, 나오게 하기 위하여 면산에 불을 놓았다. 그러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고 말았으며, 사람들은 그를 애도하여 찬밥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나 고대에 종교적 의미로 매년 봄에 나라에서 새불[新火]을 만들어 쓸 때 이에 앞서 일정 기간 구화(舊火)를 일체 금한 예속(禮俗)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식날 나라에서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하고,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주과(酒果)를 마련하여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만일 무덤이 헐었으면 잔디를 다시 입히는데 이것을 개사초(改莎草)라고 한다. 또 묘 둘레에 나무도 심는다. 그러나 한식이 3월에 들면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날 성묘하는 습관은 당(唐)나라 때 중국에서 시작하여 전해진 것으로 신라 때부터 있었던 것 같다. 고려시대에는 한식이 대표적 명절로 숭상되어 관리에게 성묘를 허락하고 죄수의 금형(禁刑)을 실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민속적 권위가 더욱 중시되어 조정에서는 향연을 베풀기도 하였으나 근세에는 성묘 이외의 행사는 폐지되었다.
농가에서는 이 날 농작물의 씨를 뿌린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김윤식 -
▣ 김항용 -
▣ 솔내영환 -
▣ 김성회 - 화산군(휘 澍) 할아버님의 한식祭가 여주군 흥천면 귀백리 현장(묘소)에서 4월 6일에 거행됩니다. 또한 경진보를 제공해준 김포종중의 목사공(휘 公望)의 신도비를 옛문헌에 따라 4월 13일에 제막합니다 장소는 퇴계원 현지에서
▣ 김창우 -
▣ 김윤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