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 돈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부윤공(휘 돈) 소개

2. 졸기, 제문, 최종직

3. 중요 역사 자료 소개

 

1) 간의대

2) 보루각

3) 갑인자

4) 천체시계-일성정시의

5) 흠경각기에 대해

4. 각종 문헌 기록 내용

5. 앙부일구

6. 부윤공 묘소 찾기

 

 

본문

p11.png 1. 부윤공(휘 돈) 소개

1385(우왕11)∼1440(세종22)

 

조선 초기의 문신·과학자. 할아버지는 참의 후(厚)이며, 아버지는 칠양(七陽-군사공)으로 제 2子이다.

1417년(태종 17)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직제학과 승지를 거쳐 벼슬이 참판·좌승지·인수부윤(仁壽府尹)에까지 이르렀다. 세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그의 이름을 듣고 불렀으나 사양하였다.   급제하자 임금이 “내가 경을 보고자 하였으나 경이 나를 피하더니 이제는 나의 신하가 되었구나!”라고 기뻐하였다 한다.

1428년(세종 10) 왕명으로 《서한이하역대보계도 西漢以下歷代譜系圖》를 찬진하고, 종학박사와 사성을 역임하였다.

1434년(세종 16)에 필체가 좋아서 집현전 직제학으로서 그가 쓴 글로 동활자인 갑인자의 주조에 참여하였는데 속칭 위부인자(衛夫人字)라 하였다. 이듬해(1435년)에는 집현전 부제학으로서 불교의 폐단에 대하여 왕에게 상소하였고, 그 뒤 부승지가 되었다.

1438년 도승지가 되었으며, 탐진(강진)에 있는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여러 차례 외직을 원하였으며, 특히 역마를 보내어 탐라에 있는 어머니를 서울로 모시고 와서 봉양할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

 

한편, 천문관측에 정통하여 간의대(簡儀臺)와 보루각(報漏閣)을 만들 때도 참여하였다.  세종의 명으로 김조(金兆)와 함께 천추전(千秋殿) 서편 뜰에다 흠경각(欽敬閣)을 창설하고, 종이를 뭉쳐서 산을 만들되 높이가 일곱자 되게 하고, 또 그 안에 옥루기(玉漏器)를 설치하여 바퀴물로써 돌게 하였는데, 해의 도수와 그림자 누수(漏水)의 시각이 하늘의 운행과 조금의 차이도 없었다고 한다.  산의 사방에는 사시(四時)의 경물(景物)과 사람·새·짐승·초목의 형상을 만들어 그 절후에 맞추어놓아 백성이 농경의 어려움을 알도록 하였다.

또, 누기(漏器)를 설치하고 이름을 ‘보루각’이라 하고 이층으로 만들어 삼신(三神)을 그 위에 설치하였는데, 시간을 알릴 때는 종을, 경(更)을 알릴 때는 북을, 점(點)을 알릴 때는 징을 울리게 만들었다.

승지로 7년 동안이나 있으면서 논변이 상세하고 분명하였으며, 집현전출신으로 박학다식하고, 특히 과학기기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학자이었다. 세종 22년 인수부윤(仁壽府尹)으로 몰하였다. 묘소는 족보에 <墓 廣州郡 龜川面 古多只洞 艮坐>이라고 되어 있으나 현재 실전된 상태이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