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 구(金 九)1876(고종13). 7. 11.∼1949. 6. 26--(익)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백범 및 연보

 2. 영정

 3. 동영상

 4. 주요 사진 자료

 5. 창작 음악극 소개

 6. 백범 김구 노래

 7. 창작 오페라

 8. 한국 위인 전기 전집

 9. 백범기념관 개관 학술대회

10. 백범 동상 제막식

11. 보성 은거지 기념관 개관

12. 기타 각종 자료 소개

1) 북한의 백범 유적지

2) 백범 묘비문

3) 만시(장개석과 정인보)

4) 경순왕의 33대손 기록

 

본문

p11.png 7. 창작 오페라 소개--백범 김구와 상해 임시정부

           (2003. 8. 2 윤만(문) 제공)

1) 출전 및 동영상으로 보기 : http://www.besetoopera.or.kr/perform/perform2.html

2) 작품 소개  ▣ BESETO OPERA「백범김구와 상해임시정부」▣

 

- 우리의 소원은 통일, 민족의 별 "백범 김구 다시 부활하다!" -

  ankim02-6-88z89.gif

 

공연명 :「백범김구와 상해임시정부」

공연일시 : 1999년 7월 2일(금) ~ 7월 6일(화)

공연장소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평일 / 일요일 오후 7시 30분, 토요일 오후 3시 공연

주최 : 사단법인 베세토 오페라단

후원 : 문화관광부, KBS 한국방송공사, 국가 보훈처, 한국마사회, 한국문화 예술진흥원

협찬 : 현대증권, 대한투자신탁, 전국경제인연합회

공연문의 : (Tel) 02-3476-6224,6225 (Fax) 02-3476-6226

 

스탭

예술감독 : 강화자

대본 : 이종헌, 장수동

작곡 : 이동훈

지휘 : 정치용

연출 : 장수동

안무 : 조승미

합창지휘 : 김진택

무대미술 : 이학순

영상제작 : 노헌준

조명디자인 : 이상봉

의사디자인 : 이재희

소품디자인 : 구선미

분장디자인 : 구유진

무대감독 : SMC 유석용

무대조감독 : SMC 서형일

조연출 : 최수영

조연출보 : 서범걸

조안무 : 김길용

특수효과 : 에이스-박광남

무대제작 : 이학순 무대미술연구소

의상제작 : 신세계

소품제작 : 김지영, 김민경, 홍부용

분장 : S.F Make-up

사진 : 조석환

음악코치 : 최인숙

관현악 : 프라임 오케스트라

합창 : 베세토 오페라 합창단

무용 : 조승미 발레단

피아노 : 김지연

진행 : 김수연, 강진모, 구본영

 

출연진

김 구(바리톤) : 김성길, 류현승, 김진섭

윤봉길(테너) : 박성원 / 이 현

곽낙원(메조소프라노) : 강화자 / 황경희

최준례(소프라노) : 최자영 / 이아네스

이동령(베이스) : 김명지 / 김인수

진여옥(소프라노) : 신애령 / 신주련

정정화(메조소프라노) : 유승희 / 김수정

이승만, 신채호, 엄항섭(테너) : 이해정

이동휘, 무라이, 안공근(바리톤) : 강종영

안창호, 사라카와(테너) : 박찬우

김규식, 중국인 집주인, 노무라(테너) : 강진모

조소앙, 주경란(베이스) : 어명하 / 유훈형

김철, 가와바다(테너) : 김정훈

노점상A(테너) : 채혁

노점상 B(베이스) : 전준한

노점상 C, 토모노(바리톤) : 김경태

신문팔이(테너) : 이봉국

 

주요인물 소개

▶ 김구(Bar) : 독립운동가. (후에 임시정부 주석)

오랜 옥살이 끝에 동산평 농장의 인자한 감독으로 있던 김구는 일본인의 감시가 심해지자 상해로 건너가 임시정부에 몸담는다. 그는 임시정부에서 일본에 무력 투쟁을하며 이봉창과 천황 암살을 계획 했으나 실패하여 괴로워 하던 중 윤봉길과 함께 홍구 공원 폭탄투하를 계획해 실행에 옮긴다. 그 후 중국 명사들이 찿아와 윤봉길 의거를 중국 4억 인구가 못한 것을 한국청년 한 사람이 해냈다는 말에 지기 소원은 조국 독립임을 강하게 되새긴다.

 

▶ 윤봉길(Ten) : 독립운동가 (상해 홍구공원 폭파사건을 킴)

홍구 시장에서 애채 장사를 하던 윤봉길은 신문에 나온 일본 천황 생일 잔치가 홍구 공원에서 있다는 기사를 보고 큰 일을 결심하고, 김구와 함께 폭탄투하를 계획해 실행에 옮기나 독립 만세를 부르며 체포된다.

 

▶ 곽낙원(M.Sop) : 김구의 어머니

읍내에 나가려는 아들을 만류 하나, 아들의 독립의지를 알고 격려한다.

 

▶ 최준례(Sop) : 김구의 아내

남편의 옥바라지를 했고 아들을 키우는 여인으로 읍내에 나가는 남편을 만류하나, 김구의 의지를 알고 이해한다.

 

▶ 이동령(Bass) : 상해임시정부 주석으로 이봉창 의거의 실패로 김구가 괴로워 할 때 그를 위로 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구국의 의지가 강하다.

 

▶ 정정화(M.Sop) : 상해임시정부를 도우는 여인으로 쓰레기통을 뒤져할 정도로 어려운 임정

상황에서 임정 식구를 위해 저녁을 준비하며 중국인 주인의 집세 독촉도 어렵게 물리치나,

임정식구들이 맛있게 저녁을 먹자, 즐거워 한다.

 

▶ 진여옥(Sop) : 한인 애국 여성단원으로 윤봉길과 함께 홍구 시장에서 장사를 하나 그와 함께 구국의 열정을 얘기한다.

 

줄거리

서주가 없이 막이 열리면 38선을 상징하는 철조망이 영상으로 보여진다. 그 앞에 하얀 도포 차림의 김구와 양복 차림의 이승만이 서로 마주보고 서 있다. 그 뒤로 한국인의 문제는 한국인의 손으로, 민족자결권을 보장하라, 미소공동위를 중지하라, 남한만의 정부를 수립하라 등의 현수막이 나부낀다.

 

제1막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의 총구에 아시아침략의 원흉 이등박문이 사살되자 일제의 대동아공영권이 노골화 된다. 이에 김구는 일제에 대항하기로 결심, 무력투쟁을 벌여 나가던 중 서간도에 광복군 무관학교를 세우려다 체포, 징역 17년을 언도 받고 서대문 감옥에 압송된다.

그 후 인천감옥으로 이감, 쇠고랑을 찬부두노역에 시달리다 가출옥하여 황해도 안악 동산평에서 농민계몽에 힘쓰다 3.1만세운동이 일어나자 본격적인 항일투쟁을 위해 가족을 남긴 채 압록강을 건넌다. 그때 그의 나이 마흔셋.

 

제2막

조국은 빼앗기고 우리나라 최초로 삼권분립과 민주공화국을 채택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중국 상해에 수립되고 임시정부의 정문에서 수위를 하겠다던 김구는 임시정부의 책임자가 된다.

 

2막 1장 : 날이 갈수록 임정에 대한 도괴작전, 극심한 재정난으로 활동이 극도로 위축되어 가고 만주사변 이후인 1931년 9월 임시정부는 여러 차례 국무회의를 열어 일제 군사력의 가곡할 침략상에 대항하기 위하여 테러작전을 채택하기에 이른다. 무대 위에는 식량이 떨어져 쓰레기더미에서 주워 온 배추로 저녁 준비를 하는 정정화, 집세 달라는 중국인 주인, 하나님께 감사하며 식사하는 임정의 국무위원들이 등장한다.  

 

2막 2장 : 상해 홍구시장 장터에서 윤봉길, 이화림의 밀담이 이어지고 중국인들의 양걸춤, 신문팔이 소년이 4월25일 홍구공원에서 일본 황제생일 축하식이 있음을 알린다.

 

제3막

3막 1장 : 거사준비로 김구와 윤봉길이 물병과 도시락폭탄을 준비한다. 두 사람은 지하에서 만나자는 약속을 하고 윤봉길은 홍구공원을 향해 떠난다.

 

3막 2장 : 홍구공원의 천장절 기념식과 전승축하기념 행사장. 수많은 일본군, 일본 거류민, 학생들이 도열해 있다. 일본국가가 연주되고 윤봉길이 단상을 향해 폭탄을 투척하고 체포된다.

 

제4막

거사후 김구의 독백.

중국인들이 찾아와 중국 4억 인구가 못한 일을 한국청년 한 사람이 해냈으니 를 노래하고, 김구의 아리아 내 소원은 첫째도 대한의 독립이오, 둘째도 우리나라 대한의 독립이오, 그리고 셋째는 완전한 자주독립이요 가 이어진다. 합창은 삼천리강산 강산, 영원 영원하리라 를 열창하며 애국가로 이어지고 막이 내린다

 

협찬 :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SK, 일진그룹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