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상락가승

 2) 백 곡 집

 3) 충익공 하담선생 유고

 4) 심곡비결

 5) 경진보 아류본

 6) 제학공파종회 연혁

 7) 墨香(묵향)

 8) 안동김씨 제학공파 원류통고

 9) 화 산 보

 10) 백계세고

 11) 파종회 발간 족보

 12) 송화공(松禾公-金 緯)묘소 출토 유물 소개

본문

p02.png 나. 서적 및 유물 소개

 

      4) 심곡비결(深谷秘訣)(2001. 10. 항용(제) 제공)

 

ankim04-11z44.jpg

 

가) 필자 : 南峰 金緻

나) 편집 발간자 : 김치

다) 발간 연대 :  1620년 경 추정

라) 구성 : 총 2冊(상기의 것은 발췌본임)

마) 소장처 : 1)국립중앙도서관(상기의서적), 2)규장각(2책으로 된 완본)

바) 내용 : 역서 (易書)    

. 연대 : 미상(1620년경으로 추정)

 

2. 판본 : 필본

3. 저자 : 南峯 金緻(김치.1577∼1625)

4. 소장처 : 1)규장각본(완본), 2)후손가 유전본

5. 내용 : 남봉 김치선생이 지은 역술서(자미두수)이다. 여러 異本들이 있는데 가장 완전한 것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총5冊이다. 상기의 것은 후손가에 家傳되던 것으로 심곡비결의 일부분인데 남봉 김치선생의 친필로 추정하고 있다.  

 

남봉 김치선생은 이 심곡비결(자미두수)로 능양군(인조)이 반정에 성공할 것을 예언하였으며 반정의 거사일을 잡아 주었고 자신의 운명도 정확하게 예언한 것 등으로 유명하다. 그 후 김치의 역술에 두려움을 느낀 정적 서인들이 김치를 죽이고 심곡비결을 금서로 만들고자 하자 김치는 본인의 임지인 안동(당시 경상도 관찰사)의 동헌 기둥 속에 이 서적을 감춰두고 그곳에서 죽었다. 그 뒤 모든 서적(심곡비결)이 수거되어 불태워졌으나 다행히 안동 동헌의 1부가 남아 오늘날 그 완본이 전하게 되었다.

 지난 2004년에는 규장각본을 기초로 한 역본 <심곡비결>(대유학당 간. 金善浩 譯)이 발간되기도 하였다.

 

 가. <심곡비결>(국립도서관 소장본)  

ankim04-11z44.jpg

    

  나. <심곡비결>(家傳本)                      

 ankim04-11z46.jpg   ankim04-11z47.jpg

<심곡비결. 가전본 표지>                                                      <심곡비결. 가전본 내부>

 

ankim04-11z48.jpg

<심곡비결. 가전본 내부>

 

  다) <심곡비결>(김태동(병천 거주) 소장본)

ankim04-11z49.jpg

<심곡비결. 김태동 소장본 표지>

 

ankim04-11z50.jpg

<심곡비결. 김태동 소장본 내부>

 

 라) <심곡비결> (국역본)

ankim04-11z51.jpg

 

ankim04-11z52.jpg

 

ankim04-11z53.jpg

<국역 심곡비결> (金善浩 譯. 대유학당 간. 2001. 7. 1)  (2004. 10. 항용(제) 제공)

 

지난 2004년 7월, 국역 <심곡비결>(深谷秘訣)이 간행되었다. 저자이신 남봉공(휘 김치) 선조님은 충무공 김시민 장군의 아드님이시며 조선 선조때 文科를 하시고 사가독서(賜假讀書)를 거쳐 광해군, 인조때 대사간 경상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신 바 있으며, 우리나라 자미두수 역술학계의 태두로 이름 높으신 분이시다. 이 국역본은 국내 최대 연구가인 이두(履斗) 金善浩 선생이 약 10여년간 심혈을 기울여 국역한 것이다.

 

이 <심곡비결>(규장각본)은 모두 5책, 875쪽이나 되는 방대한 서적으로 동양의 역술학(易術學) 중 자미두수 계열에 있어서 가장 방대한 역술서이다. 오늘날 전하고 있는 <심곡비결>로는 1)규장각본(이승윤 기증본), 2)김구열본(남봉공의 묘에서 발견된 것의 복사본), 3)김학수본(경상감영의 기둥속에서 발견된 필사본), 4)국립중앙도서관본 등이 있는데 이번에 발간한 국역본은 가장 완전한 서적인 규장각본을 기초로 했다.

 

이 <심곡비결>은 동양의 어느 책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이론과 예제를 가장 자세하게 갖추고 있다는데 큰 가치가 있다. 남봉공 김치는 이 심곡비결의 역술법으로 인조 반정의 성공을 예언하는 등 높은 적중률을 보이기도 하였다. 한때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들은 이토록 유명한 남봉공에 대한 불안감과 자미두수로 운명을 점친 경상도 선비들이 과거를 포기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공을 유배보내고 심곡비결을 수거하여 불태우기도 하였다.

 

*<심곡비결> 대유학당 학술총서 61. 김선호 역.  2004. 7. 대유학당 간. 값 43,200원. 출판사 연락처 : 02)2249-5630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