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e:강화도와 충렬공(4)길상면 상세탐구-유적 탐사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3-02-08 00:47 조회1,649회 댓글0건본문
이규보묘 李奎報墓
개요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길직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문신 이규보(1168~1241)의 묘.
지정번호 : 인천기념물 제15호
지정연도 : 1995년 3월 1일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길직리 산115
시대 : 고려시대
크기 : 봉분 높이 1.8m, 둘레 16m
분류 : 묘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전등사 가는 길 진강산 쪽에 자리잡고 있다.
여주이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1967년 후손들이 묘역을 정화하고 재실(齋室)을 복원하였다.
봉분의 높이 1.8m, 둘레는 16m이다. 봉분 앞쪽으로 상석과 석등 각 1기씩이 배열되어 있고 그 앞쪽
좌우로 망주석(望柱石) 1쌍이 세워져 있다.
이규보는 고려의 문호로서 1191년(명종 21) 진사시에 합격한 뒤 권신 최우의 신임을 받아 관직이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시문에 뛰어나 호탕한 민족 영웅시인 《동명왕편》과
8만대장경의 기원문인 《대장경각판군신기고문(大藏經刻板君臣祈告文)》을 지었다. 저서에
《동국이상국집》등이 있으며 묘소에는 시비가 세워져 있다. 시와 술, 거문고를 매우 좋아하여
삼혹호(三酷好) 선생으로 불렸다. 시호는 문순(文順)이다.
이규보 李奎報 [1168~1241]
개요
고려시대의 문신 ■문인.
본관 : 황려
호 : 백운거사■지헌■삼혹호선생, 시호 문순
별칭 : 자 춘경, 초명 인저
활동분야 : 문학
주요저서 :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본관 황려(黃驪:驪興). 자 춘경(春卿). 호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초명 인저(仁免). 시호 문순(文順).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 이듬해 문과에 급제, 1199년
(신종 2) 전주사록(全州司錄)이 되고 1202년(신종 5) 병마녹사 겸 수제(兵馬錄事兼修製)가 되었다.
1207년(희종 3)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권보직한림(權補直翰林)으로 발탁, 참군사(參軍事)■사재승
(司宰丞)■우정언(右正言)을 거쳐 1219년(고종 6)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하여
계양도호부부사(桂陽都護府副使)로 좌천되었다.
1220년(고종 7) 예부낭중(禮部郞中)■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를 거쳐 30년 위위시판사
(衛尉寺判事)가 되었으나, 팔관회(八關會) 행사에 잘못을 저질러 한때 위도(蝟島)에 유배되었으며
1232년(고종 19) 비서성판사(■書省判事)에 승진하고,이듬해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정당문학
(政堂文學)■참지정사(參知政事)■태자소부(太子少傅) 등을 거쳐 1237년(고종 24) 문하시랑평장사
(門下侍郞平章事)■감수국사(監修國事)■태자대보(太子大保)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은 당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는 유명하다.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시■술■거문고를 즐겨 삼혹호선생이라
자칭했으며, 만년에 불교에 귀의했다.
저서에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시(詩)에 〈천마산시(天摩山詩)〉 〈모중서회(慕中書懷)〉
〈고시십팔운(古詩十八韻)〉 〈초입한림시(初入翰林詩)〉 〈공작(孔雀)〉
〈재입옥당시(再入玉堂詩)〉 〈초배정언시(初拜正言詩)〉 〈동명왕편(東明王篇)〉,
문(文)에 〈모정기(茅亭記)〉 〈대장경각판군신기고문(大藏經刻板君臣祈告文)〉 등이 있다.
▣ 김주회 - 잘 보았습니다.
▣ 김윤식 -
▣ 김윤만 -
▣ 김항용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