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근역인수에 수록된 선조님 인장 사진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03-02-08 05:31 조회1,570회 댓글0건본문
<자료-근역인수에 수록된 선조님 인장 사진>
주회 종친과 항용 종친께서 이미 관련 자료를 올려 주신 바 있습니다.
그 중 항용 종친께서는 <애헌공 김시헌 선조님 낙관(칼러판) 소개>에서 컬러 사진으로 휘 시헌 할아버지 인장을, 주회 종친께서는 관련 내용을 상세히 소개해 주셨습니다.
다음은 근역인수에 수록된 선김 선조님들의 인장 사진입니다.
휘 세익 할아버지는 두 분 이상인 것 같아 어느 파에 속하는지 좀더 확인해야 하나 근역인수에 본관만 기록돼 있어 아직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휘 영록 할아버지는 현재 확인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역인수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선안동과 후안동을 각각 구분해서 정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편자 오세창 선생이 구한말 시대의 인물인 때문인지 조선조 말에 정권을 잡은 후안동을 앞부분에, 우리 선안동 할아버지들은 뒷부분에 각각 나누어 실었습니다.
휘 영록 할아버지는 안동김씨 항목 맨 뒤에 수록된 것으로 보아 선안동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휘 득수 할아버지와 휘 영록 할아버지 인장은 흑백이며, 다른 할아버지 낙관은 모두 붉은 인주를 사용한 것입니다.
휘 시양 할아버지 인장 중 첫째 사진 밑에 O표시는 근역인수를 편찬할 당시 글자를 알아볼 수 없다는 뜻으로 사용한 표시입니다.
1. 김시헌(金時獻)
자(字) 자징(子徵) 호(號) 애헌(艾軒) 본관(本貫) 안동(安東) 의재(毅齋), 제갑(悌甲)의 자(子)
2. 김시양(金時讓)
자(字) 자중(子中) 호(號) 하담(荷潭) 본관(本貫) 안동(安東) 비안현감(比安縣監) 인갑(仁甲)의 자(子)
3. 김세익(金世翊)
자(字) 호(號) 본관(本貫) 안동(安東)
4. 김득수(金得壽)
자(字) 덕로(德老) 호(號) 암적자(庵笛子) 본관(本貫) 안동(安東) 와암(窩庵), 주(澍)의 7세손(七世孫)
5. 김영록(金永祿)
자(字) 호(號) 본관(本貫) 안동(安東)
▣ 김주회 - 윤식 종친님! 제 눈이 휘둥그래지고 가슴이 두근두근합니다. 정말 귀한 자료를 찾아 소개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김세익 님의 인장은 안동김씨 앞쪽에 있나요? 뒤쪽에 있나요?
▣ 김윤식 - p313-p314 상단 = 휘 시헌, 휘 시양 할아버지, p314 하단 = 휘 세익, 휘 득수 할아버지, p315 상단 = 휘 영록 할아버지 이런 순서로 실려 있습니다.
▣ 김윤식 - 앞 부분에 선안동 충무공 휘 시민 할아버지와 휘자가 같은 분이 있으나, 아마도 후안동으로서 동명이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김윤만 - 엄청난 자료 제공에 그저 감탄하고 감사할 뿐입니다.
▣ 김정중 - 놀랄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예요 ~~!! 그저 고마울 따름
▣ 김발용 - 김시헌.김시양서조님 낙관은 일전에 항용종친께서 소개해주신 적이있는 낙관이군요. 김득수란 분은 어떤 분인가요?
▣ 김윤식 - 우리 홈에 올린 내용 외에 근역인수에 기록된 것이 없습니다. 휘 주 할아버지의 7세손이라는 내용을 근거로 찾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솔내영환 -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군요
▣ 김영윤 -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김항용 - 감사합니다. 지난 조사때 세밀히 살피지 못한 부분을 찾아 주시어 감사합니다.
▣ 김은회 - 감사합니다.
▣ 김태서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