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004. 8. 18. 주회(안) 제공) 화산군(김주) 및 후손가 유물 소장현황--도서관 소장기록, 족보 기록, 그리고 용주종친님의 증언에 따른 정리.
1) 寓庵遺集 초간본 (1789년) ○화산군 재실 소장 (김태영 소장본, ※필사본) ○김영환(문) 소장 ○?본죽리 김영식 소장 ○규장각, 장서각, 영남대 등 소장
2) 寓庵集 중간본 (1934년) ○마천동 김문회 소장 ○?본죽리 김영식 소장 ○통문관 소장 ○성균관대, 국사편찬위원회(표지 우菴집) 등 소장
3) 화산군 필적 ○필적1 (우암집 초간본에 게재) ○필적2 (근묵에 게재) ○필적3 (정신문화연구원에 필름으로 소장) ※원본 소장처 확인불가 : 태영(군) 현지확인) ○필적4 (2000년 한국서화가인명사전에 게재) ※1928년 명가필보에는 선산김씨 농암 김주 필적으로 소개되어 있음
4) 광국공신녹권 : 1590년 8월 한석봉이 쓴 광국공신녹권. ○경북 안동 하회마을 충효당 영모각 소장
5) 광국지경록 : 조선 선조 때의 종계변무(宗系辨誣) 완수를 축하해 펴낸 시집. 1책. ○화산군 재실 소장 (김태영 소장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청주 고인쇄박물관 소장 (※광국지경록 목판) *속광국지경록 : 청(淸) 사서(史書)에 기록된 잘못된 조선 종계(宗系)를 바로잡아 편찬한 책.
6) 광국공신회맹록 : 1591년 회맹식에 화산군 자 의남, 계남 참석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7) 기타 후손가 유물 (1) 사손가 : (思弘---演根---禮卿---1960泰炯태형)는 현재 서울 상계동에 거주. 열람 안됨 (2) 백양동 도정공(휘공석) 사손가 : 사손이 1900년대 초 양평으로 이사하면서 고문서 등을 두 마차를 싣고 갔다고 하는데 연락 안됨 <용주 증언> (3) 김문연 후손가 : 거여동(현 마천동)에 거주하였다 함. 화산군 친필 8폭병풍이 있었는데 장마에 소실. 아들 찬회 손자 태봉 족보에 기록. 후손이 미국에 이민. 소재 불명, 연락 안됨<두회 78세 증언> (4) 김이경 후손가 : 일정시대에 서울 명륜동 거주. 호진, 이경 등이 알미늄 공장 운영으로 서울의 부호 재력가 됨. 해방후 백범 김구 선생이 정치자금 관계로 방문. 사진이 남아 있음. <이경 자 태준67세 사진 소장 증언> (5) 전 대종회 부회장 김두회 가 : 이천의 대부호로 부발중학교 부지 기증. 가전해 오던 고문서 등이 많이 있었으나 6.25때 큰 저택에 중공군사령부가 사용할때 전부 소실됨. (6) 본죽리 김영식 가 : 조부가 이경 등과 함께 종사에 헌신. 이천 본죽리에 가전되어 오던 고문서 유물이 많았으나 서울로 이사중 많이 분실. 현재 화산군 시호 교지(사간 윤흠, 정언 이지, 헌납 수결 있음), 우암집 초간본 1책, 중간본 3책, 서간문 다수와 그외 호패, 낙관, 규장각 옥편 등 오동나무 서류함 2개 분량 보관중 (7) 김태웅 가 : 선조 교지 13장 정도 다수 보관 (8) 백양동 일대 묘비 탁본 : 현재 화산군 재실 보관. 2003년 10월경, 여주문화원 관계자 (태웅 후배)가 여주의 금석문집 발간을 위하여 백양동 소재 묘비 등을 탁본. 공석 묘갈(김주 찬, 송인 서), 탁(구) 묘비, 성 묘비, 공량 묘갈 (정사룡 찬, 김로 서), 종손 묘비, 희 묘비, 수남 묘비, 태기 묘비, 화산군 신도비 (이돈우 찬, 김연하 서) 등 (9) 본죽리(本竹里) 일실사효(一室四孝) 현재 일실4효 정려는 소실되어 전하지 않지만 다행히 일실사효 정려에 소장하였던 현판 3개(1실4효 정려 현판, 목판 교지, 목판 정려판)가 화산군 사당 홍살문에 붙여 왔으나, 화산군 사당 또한 없어지면서 龍振(泰항) 집 문전에 걸려 있다가 현재 교식(용진의 子, 70세) 집에 보관하고 있는데 양호한 상태이고 이천시 홈페이지에도 소개되어 있다.또한 이곳 출신이자 화산군 후손인 起昌(植항, 전 면사무소 직원)씨가 이천군지 자료로 제공하기도 하였다. (2004.6.9 화산군 배위 불천위 기제사 참석후 容周 확인 제공)
(10) 화산군 불천위 사당 우암사(寓菴祠)재 이천 율면 본죽리 소재 (1999년 개축) ※원래 화산군 사당은 여주 백양동에 있었으나 60,70년전 이천 본죽리로 이전한 것으로 추정. 이때 여주 사당에 있던 모든 자료를 이천으로 옮김 (용주 증언) (11) 화산군 7세손 김득수 인장 : 오세창의 <근역인수>에 게재 김득수(金得壽) : 자(字) 덕로(德老) 호(號) 암적자(庵笛子) 본관(本貫) 안동(安東) 와암(窩庵), 주(澍)의 7세손(七世孫) (12) 족보기록상 유고 등 : 안렴사공파 파보에 기록
※ 최초의 파보인 1914년 갑인보 제작시에는 있었던 것으로, 주로 6.25를 거치면서 모두 소실된 것으로 추정됨 ---得悌득제는 호日省堂일성당으로 遺稿2권 ---득유는 유고와 묘갈(영상 이상황 찬, 판서 신위 서) ---稙직은 호尋樂亭심락정으로 흑산도로 피적한 바 있고, 유고 ---玘기는 호柳隱류은으로 유고와 誌(이량연 찬)가 있고, 6.25때 다 소실됨 ---鉉大현대는 호冑峰주봉으로 노주 오희상 문하이고 유고와 誌(대간 이경보 찬) ---好問호문은 호憩菴(게암)으로 화서 이항노에게 사사하였으며 유고와 묘갈(판서 신기선 찬) ---聖濂성렴은 호隱菴은암으로 송시열 문하 이고 소(신면) ---思黙사묵은 호柿北시북으로 효행이 있었으며, 유고2권 세가 소장, 행장(이판 金聲振 찬) ---志지는 행장(김학성 찬) ---(영식 8대조) 聖游성유는 돈녕도정을 역임, 행장(종자 김식 찬), 묘갈(여서 영상 조현명 찬, 김태기 묘갈 찬) ---聖涵성함은 행장(손 득제 찬) ---禾+巨거는 행장(자 득제 찬) ---聖溥성부는 효행이 있었고, 傳(참봉 김덕흠 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