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 43) 김변광(金光)

1694(숙종20)∼1767(영조43)   

자는 경실(景實). 호는 혁임재(赫臨齋). 충북 괴산 출생. 승지 구만(龜萬)의 손자. 어려서부터 재지(才智)가 출중하여 칭찬을 많이 받았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에 임명되었다. 그 뒤 병조정랑 ·용강현감(龍岡縣監)을 지내고 1765년(영조 41) 공조참의에 올랐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향리에 돌아와서 후진들의 교육과 경전을 외며 자기수양에 진력했다.

 

용강현감으로 있을 때 권력을 쥐고 있던 윤모(尹某) 재상의 청탁을 물리친 일화가 《목민심서》에 전한다. 죽은 뒤 1796년(정조 20) 호군(護軍) 채홍(蔡弘)의 천거로 청백리(淸白吏)에 천거되기도 하였다.  

 

묘는 충남 당진군 장항(長項) 묘좌(卯坐)이다. 참의 윤규범(尹奎範)이 지은 묘갈이 있고 목재(木齋) 여주인(驪州人) 이삼환(李森煥)이 지은 행장이 있다. 공은 문장과 학행을 고루 갖추어 조야에 이름이 높았으며, 울진과 평남 용강에는 거사비(去思碑)가 있으며 세칭 호서육군자(湖西 六君子)의 한 분으로 불린다.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