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 49) 김동호(金東浩)

1860∼1921

字는 振宗, 號는 荷一. 進士 金友甲의 11世孫 金永年의 아들이다. 蔭仕로 벼슬이 秘書院 秘書監丞에 이르렀다. 書狀官으로 正使 閔丙奭 判書를 따라 청나라 북경에 들어가 高名한 서예가 翁方綱體를 배운바 있어 당대 名筆家로 名聲을 떨쳤고 현재 그의 遺品이 많이 남아 있다. 괴산군 칠성면 성산마을의 김태석씨 집(문화재) 사랑채에 있는 현판 <飛鶴樓>는 그의 글씨이다.

 

ankim04-11z415.jpg

 

ankim04-11z416.jpg

<아우 김항묵의 손 김기응 고가(자 김태석 거주)에 있는 친필 현판> (2004. 1. 항용(제) 촬영 제공)

 

 

p20.png